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of Elderly in the Era of Conver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992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신뢰, 네트워크, 규범, 참여 등의 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2명이다. 분석결과, 노인이 교육수준이 낮고 종교가 없으며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와 규범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우울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전체의 네트워크를 활성하고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노인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활동공간 확장과 다양한 융복합 컨텐츠의 프로그램 개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신뢰, 네트워크, 규범, 참여 등의 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신뢰, 네트워크, 규범, 참여 등의 융복합 시대의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02명이다. 분석결과, 노인이 교육수준이 낮고 종교가 없으며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와 규범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우울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사회적 자본의 네트워크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노년기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 전체의 네트워크를 활성하고 확대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노인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지역사회의 활동공간 확장과 다양한 융복합 컨텐츠의 프로그램 개발, 노인교육프로그램의 확대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현숙, "재가노인의 우울억제와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241-266, 2013

      2 이후연,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69-581, 2016

      3 성준모,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및 가구 경제 요인: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한 패널 회귀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07-228, 2013

      4 정순둘,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5 오현옥,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의 사회자본과 우울 및 삶의 질" 한국체육학회 53 (53): 535-547, 2014

      6 신화경,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6 (26): 99-108, 2015

      7 김지훈,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분석: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25-50, 2013

      8 김창곤,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941-956, 2021

      9 최미영,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미치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 노인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307-328, 2014

      10 염동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7-50, 2014

      1 권현숙, "재가노인의 우울억제와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61) : 241-266, 2013

      2 이후연,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569-581, 2016

      3 성준모,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및 가구 경제 요인: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한 패널 회귀분석" 사회과학연구소 24 (24): 207-228, 2013

      4 정순둘,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2 (32): 249-272, 2012

      5 오현옥, "신체활동 참여노인들의 사회자본과 우울 및 삶의 질" 한국체육학회 53 (53): 535-547, 2014

      6 신화경, "사회적 자본과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6 (26): 99-108, 2015

      7 김지훈,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 인식과 사회적 자본 형성간의 관계분석:자원봉사 및 기부활동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0 (40): 25-50, 2013

      8 김창곤,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941-956, 2021

      9 최미영, "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미치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영향: 노인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6) : 307-328, 2014

      10 염동문,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30 (30): 27-50, 2014

      11 이홍직, "노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자본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25-42, 2009

      12 박소영, "노인의 건강 특성과 사회적 관계망이 우울 증상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154-190, 2018

      13 이영균, "노인사회활동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정책과학학회 20 (20): 151-180, 2016

      14 정동희, "노인 우울 증상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의 네트워크 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31 (31): 549-570, 2019

      15 김명일, "노년기 우울과 자기방임 간 관계에서 사회자본이 가지는 조절효과: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60 : 37-63, 2019

      16 김진현, "노년기 사회자본의 차이가 우울궤적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81-201, 2015

      17 이진향, "개인수준의 사회적 자본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6 (36): 73-86, 2011

      18 N.Y.Kim, "The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on the Depression in the Older Genera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ographic Accessibilit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20

      19 K.O.Seong, "The Effects of Aging Anxiety and Ego Integrity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 mediating model of social capital"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016

      20 S.H.Ahn,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Double Mediation Effect of Mental Health and Social Dysfunction"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2020

      21 H. Litwin, "Social networks and mental health among older Europeans : are there age effects?" 12 (12): 299-309, 2015

      22 R. D. Putnam, "Social capital: Measurement and consequences" 2 (2): 41-51, 2001

      23 K.H.Kim, "Social capital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s aged over 70 in Rural area"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5

      24 S. C. Lew, "Social capital and Korean society" 8 : 87-125, 2002

      25 H. B. Park, "Social Capital" Jomyeong munhwasa 2009

      26 K. K. Chon,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6 (6): 59-76, 2001

      27 P. Bourdieu,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241-258, 1986

      28 HIRA, "Disease Statistics of National Interest"

      29 KOSTAT, "2020 Elderly Statistics"

      30 T. H. Kim, "(The)influence of baby boomer retirees'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The Graduate School of Soong Sil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9-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물인터넷학회논문지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 Internet of Things Society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