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 뉴노멀(New Normal)시대 지역사회복지의 변화와 방향 = Changes and New Directions of Community Welfare in the Era of New Normal after COVID-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7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지역사회의 변화를 진단하고,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현재의 거대한 변화의 동인은 4차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디지털사회이며 코로나19팬데믹이다. 뉴노멀 시대의 ‘지역사회의 복지’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공동체성 회복과 새로운 공동체를 창조해야 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의 전체를 관통하는 새로운 흐름은 과학기술의 진보에 적응 또는 활용하는 방식으로 언컨택트 사회의 컨택트화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수평적, 개방적 공동체 또는 지역사회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셋째, 주민자치를 위한 효과적인 다양한 주민참여활동을전개해야 한다. 즉, 실질적인 직접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방식이 논의될 것이며 전자민주주의(디지털 민주주의)가 나타날 것이다. 넷째, 디지털 디바이드 극복을 위한 주민(공동체 구성원)의 IT역량강화 및 사회적응을 위한 평생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돌봄노동이 사회화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인력수요를 준비해야 한다. 여섯째, 지역사회에 존재하는복지시설 등 각종 물리적 공간의 재구조화를 모색해야 한다. 일곱째, 지리적 지역사회, 기능적 지역사회, 그리고 사이버 지역사회 등에서 공동체 복지를 위한 모바일기반 스마트 지역사회만들기를 실천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지역사회의 변화를 진단하고,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현재의 거대한 변화의 동인은 4차산업혁...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지역사회의 변화를 진단하고, 지역사회복지의 새로운 표준(뉴노멀)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현재의 거대한 변화의 동인은 4차산업혁명으로 표현되는 디지털사회이며 코로나19팬데믹이다. 뉴노멀 시대의 ‘지역사회의 복지’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공동체성 회복과 새로운 공동체를 창조해야 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의 전체를 관통하는 새로운 흐름은 과학기술의 진보에 적응 또는 활용하는 방식으로 언컨택트 사회의 컨택트화를 지향해야 한다. 둘째, 수평적, 개방적 공동체 또는 지역사회문화를 형성해야 한다. 셋째, 주민자치를 위한 효과적인 다양한 주민참여활동을전개해야 한다. 즉, 실질적인 직접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다양한 방식이 논의될 것이며 전자민주주의(디지털 민주주의)가 나타날 것이다. 넷째, 디지털 디바이드 극복을 위한 주민(공동체 구성원)의 IT역량강화 및 사회적응을 위한 평생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돌봄노동이 사회화 될 것이며, 이에 대한 인력수요를 준비해야 한다. 여섯째, 지역사회에 존재하는복지시설 등 각종 물리적 공간의 재구조화를 모색해야 한다. 일곱째, 지리적 지역사회, 기능적 지역사회, 그리고 사이버 지역사회 등에서 공동체 복지를 위한 모바일기반 스마트 지역사회만들기를 실천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aims; one is to diagnose the changes of our community caused by COVID-19 pandemic in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other is to define what would be new standards, or new normal, of community welfare. It can be argued that the new direction, new normal, of community welfare under this circumstance should be based on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let alone the creation of a new community.
      Various strategies could be identified for those.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affecting the whole area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s. Either adapting or making use of it, we should get uncontact society back to contact one. Community culture should be cultivated on the basis of equality and openness. Various and effective civil participations should be made possible to facilitate citizen autonomy.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utilized to invite local residents into a new world of IT technology, which could help them empowered stronger, realize more successive social adaptation, and thus overcome ‘digital divide’. Care labor, which used to be in the realm of family, will be socialized, and we need to prepare for it. There are many welfare facilities in community, we may need to restructurize their physical space to be suitable for the new environment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s.
      Finally, a smart community might be created, which is based on mobile connecting.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aims; one is to diagnose the changes of our community caused by COVID-19 pandemic in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other is to define what would be new standards, or new normal, of community w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aims; one is to diagnose the changes of our community caused by COVID-19 pandemic in the wav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other is to define what would be new standards, or new normal, of community welfare. It can be argued that the new direction, new normal, of community welfare under this circumstance should be based on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let alone the creation of a new community.
      Various strategies could be identified for those.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affecting the whole area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s. Either adapting or making use of it, we should get uncontact society back to contact one. Community culture should be cultivated on the basis of equality and openness. Various and effective civil participations should be made possible to facilitate citizen autonomy. Lifelong education needs to be utilized to invite local residents into a new world of IT technology, which could help them empowered stronger, realize more successive social adaptation, and thus overcome ‘digital divide’. Care labor, which used to be in the realm of family, will be socialized, and we need to prepare for it. There are many welfare facilities in community, we may need to restructurize their physical space to be suitable for the new environment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s.
      Finally, a smart community might be created, which is based on mobile connect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승규, "포스트 코로나 우리는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한빛비즈 2020

      2 최재붕, "포노사피엔스" 쌤앤파커스 166-169, 2020

      3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대비 사회복지시설 대응지침"

      4 구인회, "코로나19위기,그 이후의 세상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41) : 2020

      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코로나19와 사회복지. 앞으로의 과제는?" (141) : 2020

      6 장영신, "코로나19가 사회복지시설에 미친 영향 및 대응방안"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41) : 2020

      7 보건복지부, "코로나19 대응조치" 2020

      8 유발 하라리, "초예측" 웅진지식하우스 2019

      9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 추진계획"

      10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돌봄 모형 개발 본격화 된다"

      1 임승규, "포스트 코로나 우리는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 한빛비즈 2020

      2 최재붕, "포노사피엔스" 쌤앤파커스 166-169, 2020

      3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대비 사회복지시설 대응지침"

      4 구인회, "코로나19위기,그 이후의 세상은?"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41) : 2020

      5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코로나19와 사회복지. 앞으로의 과제는?" (141) : 2020

      6 장영신, "코로나19가 사회복지시설에 미친 영향 및 대응방안"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41) : 2020

      7 보건복지부, "코로나19 대응조치" 2020

      8 유발 하라리, "초예측" 웅진지식하우스 2019

      9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돌봄 선도사업 추진계획"

      10 보건복지부, "지역사회통합돌봄 모형 개발 본격화 된다"

      11 이재완, "지역사회복지 교육의 정체성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8) : 165-200, 2014

      12 행정안전부, "주민자치회 제도개선 통해 풀뿌리 주민자치 강화한다"

      13 이병렬, "주민자치회 시범실시의 제도적 한계와 발전과제"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157-180, 2015

      14 제주연구원, "제주형 커뮤니티케어 운영모델 연구" 사회복지연구 419-422, 2019

      15 고승희, "자치역량강화를 위한 주민자치회 활성화 방안" 충남연구원 89 : 2019

      16 牧里 每治, "일본의 지역복지계획을 둘러싼 주민참가의 의의와 과제" 2013

      17 원석조, "사회보장론" 양서원 2014

      18 Yuval Noah Harari, "사피엔스" 김영사 2015

      19 Eric Liu, "민주주의의 정원" 웅진지식하우스 199-201, 2019

      20 강명세, "민주주의 복지국가 그리고 재분배" 도서출판 선인 2014

      21 EBS다큐프라임<민주주의>제작팀,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2016

      22 박태영, "마을복지계획 어떻게 세울까" 공동체 15-, 2020

      23 여관현, "마을만들기 추진단계별 주민자치의 실천에 관한 연구 -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회 29 (29): 263-291, 2015

      24 이재완, "마을만들기 사업의 참여경험이 평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61) : 29-51, 2017

      25 대통력직속정책기획위원회, "국민의 삶을 바꾸는 포용과 혁신의 사회정책"

      26 유현준, "공간이 만든 공간" 을유문화사 387-388, 2020

      27 행정안전부, "‘18년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 구축 추진계획"

      28 "https://www.nursingtimes.net/news/coronavirus"

      29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5081111314988"

      30 김용섭, "Uncontact" 퍼블리온 2020

      31 Pyles, L., "Progressive Community Organizing" Routledge 2009

      32 Arnstein, R.,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35 : 216-224, 1969

      33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주요기술 대상 기술수준평가 및 기술수준 향상방안" 과학기술부 2018

      34 최인덕,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보험제도 변화의 탐색적 고찰" 한국사회보장학회 34 (34): 295-326, 2018

      35 김인숙, "4차 산업혁명, 새로운 미래의 물결" 호이테북스 2016

      36 이재완, "2014년 복지행정분야 명강의 선집"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115-,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