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패권국 지위 변화와 동북아 질서 재편: 동북아 다자협력질서의 특징을 중심으로 =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and Politics of Power Transition in Northeast As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3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prospects for power transition from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receiving more scholarly attention in academia and policy communities, this article examines how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in Northeast Asia may affect the politics of power transition in the forthcoming future. The article criticizes the no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from neoliberal institutionalism and supplements it with a constructivist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The article argues that Northeast Asia has showcased proliferating culture of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by referring to multilateral mini-institutions in the region. As the data analysis informed by constructivist institutinalism elaborates, the region has progressed with a wide range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at are target-oriented, task-specific and flexible. The article predicts that with the progressing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in Northeast Asia, the politics of power transition may be contained not to be conflictual. And the region may be insulated from the conflictual politics of power trans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short, the article assess that the cooperative regional order may be able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unfolding of Northeast Asia's future.
      번역하기

      As prospects for power transition from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receiving more scholarly attention in academia and policy communities, this article examines how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in Northeast Asia may affect the politics of power t...

      As prospects for power transition from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receiving more scholarly attention in academia and policy communities, this article examines how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in Northeast Asia may affect the politics of power transition in the forthcoming future. The article criticizes the notion of multilateral cooperation from neoliberal institutionalism and supplements it with a constructivist institutionalist perspective. The article argues that Northeast Asia has showcased proliferating culture of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by referring to multilateral mini-institutions in the region. As the data analysis informed by constructivist institutinalism elaborates, the region has progressed with a wide range of institutional arrangements that are target-oriented, task-specific and flexible. The article predicts that with the progressing multilateral cooperative order in Northeast Asia, the politics of power transition may be contained not to be conflictual. And the region may be insulated from the conflictual politics of power trans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short, the article assess that the cooperative regional order may be able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the unfolding of Northeast Asia's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패권과 부상, 그리고 다자협력이 동북아 질서를 설명하는 데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경험적 증거와 이론적 함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미국의 패권적 지위 변화와 중국의 급속한 부상이 파생하는 세력전이의 정치과정 속에 동북아의 다자협력질서는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동북아 다자협력질서는 유럽에 비해 제도화의 수준과 공식성에 있어 매우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다자협력질서의 현황과 유형 그리고 특성은 경험적으로 실증해야 할 문제일 것이다. 본 논문의 차별성은 다자주의의 공식성, 즉 제도의 확립에 대한 비판을 다자주의 개념의 재고찰을 통해 확립하고자 한다는 점에 있다. 다자주의협력은 제도의 공식화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협력형태가 아님을 구성주의적 제도주의의 틀을 이용하여 주장할 것이다. 둘째, 동북아 다자협력질서는 향후 미중 간 세력전이의 정치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까? 구조현실주의적 관점에서 패권국의 하락과 신흥국의 부상이라는 국제정치의 구조적 변이과정은 지역의 안정적 질서 형성을 저해하고 분열과 분쟁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세력전이 현상과정 중 지역의 자생적 질서는 패권국가의 지위 변화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이해된다. 역사적으로 강대국 국제정치 속성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던 곳이 바로 동북아, 특히 한반도였음을 상기하면, 미중 간 ‘세력전이’의 국제정치는 현실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동북아 다자협력질서가 세력전이 현상과정 속 동북아 지역안정도에 어떠한 함의가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패권과 부상, 그리고 다자협력이 동북아 질서를 설명하는 데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경험적 증거와 이론적 함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

      이 글은 패권과 부상, 그리고 다자협력이 동북아 질서를 설명하는 데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경험적 증거와 이론적 함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본 논문은 다음의 두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첫째, 미국의 패권적 지위 변화와 중국의 급속한 부상이 파생하는 세력전이의 정치과정 속에 동북아의 다자협력질서는 어떠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가? 동북아 다자협력질서는 유럽에 비해 제도화의 수준과 공식성에 있어 매우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의 다자협력질서의 현황과 유형 그리고 특성은 경험적으로 실증해야 할 문제일 것이다. 본 논문의 차별성은 다자주의의 공식성, 즉 제도의 확립에 대한 비판을 다자주의 개념의 재고찰을 통해 확립하고자 한다는 점에 있다. 다자주의협력은 제도의 공식화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협력형태가 아님을 구성주의적 제도주의의 틀을 이용하여 주장할 것이다. 둘째, 동북아 다자협력질서는 향후 미중 간 세력전이의 정치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을까? 구조현실주의적 관점에서 패권국의 하락과 신흥국의 부상이라는 국제정치의 구조적 변이과정은 지역의 안정적 질서 형성을 저해하고 분열과 분쟁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세력전이 현상과정 중 지역의 자생적 질서는 패권국가의 지위 변화에 따라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이해된다. 역사적으로 강대국 국제정치 속성의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했던 곳이 바로 동북아, 특히 한반도였음을 상기하면, 미중 간 ‘세력전이’의 국제정치는 현실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동북아 다자협력질서가 세력전이 현상과정 속 동북아 지역안정도에 어떠한 함의가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보혁, "탈냉전기 북한의 대미 정체성 정치: 작동방식과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7 (37): 199-218, 2003

      2 김애경, "중국의‘화평굴기’론 연구:논쟁과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215-234, 2005

      3 조선일보, "중국의 시대 예상보다 빨리 온다 .”(2009년 8월 26일)"

      4 서진영,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중국의 부상에 관한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의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67-92, 2008

      5 강동완, "정책네트워크 분석(Policy-Network Analysis)을 통한 대북지원정책 거버넌스 연구:정책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293-323, 2008

      6 최종건, "신현실주의 이론의‘무정부 신화’에 대한 구성주의적 비판" 한국정치학회 42 (42): 345-361, 2008

      7 홍우택, "상대적 국력이 국가간 협력에 미치는 영향: 경험분석을 통한 전쟁이론의 확장" 한국국제정치학회 47 (47): 27-52, 2007

      8 남궁곤, "동아시아 전통적 국제질서의 구성주의적 이해"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7-31, 2003

      9 김근식, "대북포용정책의 개념, 평가, 과제: 포용의 진화 관점에서" 극동문제연구소 24 (24): 1-34, 2008

      10 우승지, "김정일 시대 북한의 국제관계론 이해를 위한 시론" 한국국제정치학회 47 (47): 53-76, 2007

      1 서보혁, "탈냉전기 북한의 대미 정체성 정치: 작동방식과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7 (37): 199-218, 2003

      2 김애경, "중국의‘화평굴기’론 연구:논쟁과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215-234, 2005

      3 조선일보, "중국의 시대 예상보다 빨리 온다 .”(2009년 8월 26일)"

      4 서진영, "중국의 부상을 바라보는 국제사회의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중국의 부상에 관한 미국과 아시아 주변국의 여론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67-92, 2008

      5 강동완, "정책네트워크 분석(Policy-Network Analysis)을 통한 대북지원정책 거버넌스 연구:정책 결정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국제정치학회 48 (48): 293-323, 2008

      6 최종건, "신현실주의 이론의‘무정부 신화’에 대한 구성주의적 비판" 한국정치학회 42 (42): 345-361, 2008

      7 홍우택, "상대적 국력이 국가간 협력에 미치는 영향: 경험분석을 통한 전쟁이론의 확장" 한국국제정치학회 47 (47): 27-52, 2007

      8 남궁곤, "동아시아 전통적 국제질서의 구성주의적 이해"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7-31, 2003

      9 김근식, "대북포용정책의 개념, 평가, 과제: 포용의 진화 관점에서" 극동문제연구소 24 (24): 1-34, 2008

      10 우승지, "김정일 시대 북한의 국제관계론 이해를 위한 시론" 한국국제정치학회 47 (47): 53-76, 2007

      11 Organski, A. F. K., "World Politics" Alfred A. Knopf 1960

      12 Checkel, Jeffrey T., "Why Comply? Social Learning and European Identity Change" 55 (55): 553-588, 2001

      13 Kegley, Charles W., "When Trust Breaks Down: Alliance Norms and World Politics"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0

      14 Ruggie, John G., "What Makes the World Hang Together? Neo-utilitarianism and the Social Constructivist Challenge" 52 (52): 855-885, 1998

      15 Stein Tønnesson, "WHAT IS IT THAT BEST EXPLAINS: THE EAST ASIAN PEACE SINCE 1979? A CALL FOR A RESEARCH AGENDA" 극동문제연구소 33 (33): 111-136, 2009

      16 Jervis, Robert, "Unipolarity: A Structural Perspective" 61 (61): 188-213, 2009

      17 Ikenberry, G. John, "Unipolarity, State Behavior and Systemic Consequences" 61 (61): 1-27, 2009

      18 Russett, Bruce, "Triangulating Peace: Democracy, Interdependence,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W.W. Norton & Co. 2001

      19 Waltz, Kenneth N.,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McGraw- Hill 1979

      20 Carr, E.H., "The Twenty Years’ Crisis, 1919-1939: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Macmillian 1946

      21 Nabers, Dirk, "The Social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e Case of ASEAN+3" 3 (3): 111-136, 2003

      22 Georgy Toloraya, "The Six Party Talks: A Russian Perspective" 극동문제연구소 32 (32): 45-69, 2008

      23 Keohane, Robert O., "The Promise of Institutionalist Theory" 20 (20): 39-51, 1995

      24 Ikenberry, G. John, "The Political Foundation of American Relations with East Asia in The United States and Northeast Asia: Debates, Issues, and New Order" Rowman & Littlefield 19-38, 2008

      25 Brown, Michael E., "The Perils of Anarchy: Contemporary Realism and International Security" 1995

      26 Waltz, Kenneth N., "The Origins of War in Neorealist Theory" 18 (18): 615-628, 1988

      27 Walt, Stephen M., "The Origins of Allianc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28 Kim, Samuel S.,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Northeast Asia" Roman & Littlefield 2004

      29 Solingen, Etel, "The Genesis, Design and Effects of Regional Institutions: Lessons from East Asia and the Middle East" 52 (52): 261-294, 2008

      30 Zakaria, Fareed, "The Future of American Power: How America Can Survive the Rise of the Rest" 87 (87): 18-43, 2008

      31 Axelrod, Robert,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asic Books 1984

      32 Kugler, Jacek, "The Asian Ascent: Opportunity for Peace or Precondition for War?" 7 (7): 36-42, 2006

      33 Bull, Hedley, "The Anarchical Society: A Study of Order in World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5

      34 Little, Richard, "The Anarchical Society in a Globalized World" Palgrave Macmillan 2006

      35 Chu Shulong, "THE SIX-PARTY TALKS: A CHINESE PERSPECTIVE" 극동문제연구소 32 (32): 29-43, 2008

      36 Blyth, Mark., "Structures Do Not Come with an Instruction Sheets: Interests, Ideas and Progress in Political Science" 1 (1): 695-706, 2003

      37 Adler, Emanuel, "Security Commun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8 Tomz, Michael, "Reputation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Sovereign Debt across Three Centur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39 Pempel, T. J., "Remapping East Asia: The Construction of a Re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2005

      40 Keohane, Robert O., "Reciprocity in International Relations" 40 (40): 1-27, 1986

      41 Mueller, John, "Quiet Cataclysm: Reflections on the Recent Transformation of World Politics" Harper Collins 1995

      42 Tammen, Ronald L., "Power Transitions: Strategies for the 21st Century" Chatham House 2000

      43 Goldstein, Avery, "Power Transition, Institutions, and China’s Rise in East Asia: Theoretical Expectations and Evidence in The United States and Northeast Asia: Debates, Issues, and New Order" Rowman & Littlefield 39-78, 2008

      44 Rapkin, David, "Power Transition, Challenge and the (Re)emergence of China" 29 (29): 315-342, 2003

      45 Wendt, Alexander, "On Constitution and Causa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24 (24): 101-117, 1998

      46 Ruggie, John G., "Multilateralism: The Anatomy of an Institution" 46 (46): 561-598, 1992

      47 Keohane, Robert O., "Multilateralism: An Agenda for Research" 45 (45): 731-764, 1990

      48 Job, Brian L., "Matters of Multilateralism: Implications for Regional Conflict Management in Regional Orders: Building Security in a New World"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65-191, 1997

      49 Trondal, Jarle, "Is There Any Social Constructivist-Institutional Divide? Unpacking Social Mechanisms Affecting Representational Roles among EU Decision-Makers" 8 (8): 1-23, 2001

      50 Bobrow, Davis B., "International Relations-New Approaches" Free Press 1972

      51 Caporaso, James A.,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and Multilateralism: The Search for Foundations in Multilateralism Matters: The Theory and Praxis of an Institutional Form" Columbia University Press 51-90, 1993

      52 Kimura, Fukunari, "International Production and Distribution Networks in East Asia: Eighteen Facts, Mechanics, and Policy Implications" 1 (1): 326-344, 2006

      53 Finnemore, Martha, "International Norm Dynamics and Political Change" 52 (52): 887-917, 1998

      54 Jupille, Joseph, "Integrating Institutions: Rationalism, Constructivism and the Study of the European Union" 36 (36): 7-40, 2003

      55 Acharya, Amitav, "How Ideas Spread: Whose Norms Matter? Norm Localization and Institutional Change in Asian Regionalism" 58 (58): 239-275, 2004

      56 NIC, "Global Trends 2025: A Transformed World" NIC 2009

      57 Kang, David C., "Getting Asia Wrong: The Need for New Analytical Frameworks" 27 (27): 57-85, 2003

      58 Christensen, Thomas J., "Fostering Stability or Creating a Monster? The Rise of China and U.S. Policy toward East Asia" 31 (31): 81-126, 2006

      59 Liu, Fu-Kuo, "East Asian Regionalism: Theoretical Perspectives in Regionalism in East Asia: Paradigm Shifting?" Routledge 3-29, 2003

      60 Barnett, Michael N., "Domestic Sources of Alliances and Alignments: The Case of Egypt, 1962-73" 45 (45): 369-395, 1991

      61 Scott L. Kastner, "Does economic integration across the Taiwan Strait make military conflict less likely?" 동아시아연구원 6 (6): 319-346, 2006

      62 Chung-in Moon, "Diplomacy of Defiance and Facilitation: The Six Party Talks and the Roh Moo Hyun Government" 극동문제연구소 32 (32): 71-105, 2008

      63 Acharya, Amitav, "Crafting Cooperation: Regional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64 Oye, Kenneth A., "Cooperation under Anarch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6

      65 Adler, Emanuel, "Constructivism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Handbook of International Relations" Sage 95-118, 2002

      66 Wendt, Alexander,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and the International State" 88 (88): 384-396, 1994

      67 Brzezinski, Zbigniew, "Clash of the Titans" 146 : 46-50, 2005

      68 Christensen, Thomas J., "China, the U.S.-Japan Alliance, and the Security Dilemma in East Asia" 23 (23): 49-80, 1999

      69 Kang, David C., "China Rising: Peace, Power, and Order in East Asia"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

      70 Shambaugh, David, "China Engages Asia: Reshaping the Regional Order" 29 (29): 64-99, 2004

      71 Financial Times, "China Edges ahead of Germany in Race to be World Export Champion"

      72 Montgomery, Evan Braden, "Breaking Out of the Security Dilemma: Realism, Reassurance, and the Problem of Uncertainty Export" 31 (31): 151-185, 2006

      73 Hawksworth, John and Gordon Cookson, "Beyond the BRICs: A Broader Look at Emerging Market Growth Prospects (Price Water House Coopers, The World in 2050 Series)"

      74 Schweller, Randall L., "Bandwagoning for Profit: Bringing the Revisionist State Back in" 19 (19): 72-107, 1994

      75 New York Times, "Asia’s Recovery Highlights China’s Ascendance"

      76 Wendt, Alexander, "Anarchy is What States Make of It: The Social Construction of Power Politics" 46 (46): 391-425, 1992

      77 Walt, Stephen M., "Alliances in a Unipolar World" 61 (61): 86-120, 2009

      78 Keohane, Robert O., "After Hegemony: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