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교육목표의 진술체제와 구성 요소를 분석·비교함으로써 그 변화 경향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특수학교 제1�...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13983
2010
Korean
370
학술저널
97-121(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교육목표의 진술체제와 구성 요소를 분석·비교함으로써 그 변화 경향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특수학교 제1�...
본 연구는 우리나라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교육목표의 진술체제와 구성 요소를 분석·비교함으로써 그 변화 경향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특수학교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8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인적자원부가 고시한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제시된 총론의 교육목표였으며, 진술체제 분류체제, 내용요소 행동요소, 진술방법의 다섯 가지 분석준거를 토대로 분석·비교 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교육목표의 진술체제는 항목식 진술체제와 종합적인 목표를 제시한 서술식과 항목식 진술을 함께하는 체제로 제시되어 있다. 둘째, 교육목표의 분류체제는 학교(급)별 목표와 일반 목표를 제시하는 방식과 장애영역별 목표와 학교(급)별 목표를 나누어 제시하는 방식에서 2008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장애영역별로 구분하지 않은 학교(급)별 목표를 제시한 체제로 변화하였다.셋째, 교육과정 시기별 진술방식의 변화는 Tyler의 내용+행동요소와 Gagne 의 행동, 대상, 사상, 도구, 능력(학습되어진)의 방식을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 넷째, 교육목표의 내용요소의 변화 경향성을 보면, 제 1 차, 제 2 차, 저 16 차, 제 7 차, 2008개정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경험중심 교육과정, 저 13 차 교육과정은 학문중심 교육과정, 제 4 차 저 15 차 교육과정은 인간중심 교육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 교육목표의 행동요소의 변화 경향성을 보면, 행동요소의 교육과정 시기별 비율은 대체로 정의적 영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3 차, 4 차, 5 차 교육과정에서 정의적 영역의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꼬리표 붙은 중학생에 대한 담임교사들의 대응전략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동화 확장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