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신라삼국통일론 검토
- Ⅲ. 백제통합전쟁론 검토
- Ⅳ. 남북국시대론 검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45775
2018
Korean
911
KCI등재
학술저널
67-108(4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徐榮敎, "羅唐戰爭史硏究" 아세아문화사 2006
2 拜根興, "칠세기 중엽 나당관계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2
3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통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4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전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5 鄭求福,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신라사 인식" 신라사학회 10 : 2007
6 김수태, "일연의 삼한·삼국통일론" 인문과학연구소 (43) : 155-192, 2015
7 김흥규, "신라통일 담론은 식민사학의 발명인가" 창작과 비평사 2009
8 李昊榮, "신라의 통일의식과 ‘일통삼한’ 의식의 성장" 26 : 1996
9 김수태, "신라의 천하관과 삼국통일론" 신라사학회 (32) : 25-81, 2014
10 김병남, "신라의 삼국통일 의식과 그 실제" 한국사상문화학회 (24) : 145-174, 2004
1 徐榮敎, "羅唐戰爭史硏究" 아세아문화사 2006
2 拜根興, "칠세기 중엽 나당관계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2
3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통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4 사회과학원력사연구소, "조선전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9
5 鄭求福,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신라사 인식" 신라사학회 10 : 2007
6 김수태, "일연의 삼한·삼국통일론" 인문과학연구소 (43) : 155-192, 2015
7 김흥규, "신라통일 담론은 식민사학의 발명인가" 창작과 비평사 2009
8 李昊榮, "신라의 통일의식과 ‘일통삼한’ 의식의 성장" 26 : 1996
9 김수태, "신라의 천하관과 삼국통일론" 신라사학회 (32) : 25-81, 2014
10 김병남, "신라의 삼국통일 의식과 그 실제" 한국사상문화학회 (24) : 145-174, 2004
11 辛鍾遠, "신라불교의 개척자들" 글마당 2016
12 박남수, "신라 문무대왕의 삼국통일과 宗廟制 정비" 신라사학회 (38) : 263-316, 2016
13 盧泰敦, "삼국통일전쟁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14 具蘭憙, "발해와 일본의 교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15 정영진, "발해사연구 1" 연변대학출판사 1990
16 구난희, "대한제국기~1950년대 교과서를 통해 본 발해 인식의 변화" 한국역사교육학회 (21) : 7-46, 2015
17 조인성, "남북국시대론-1960년대 초 북한의 고대사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학회 (47) : 197-222, 2007
18 盧泰敦,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19 盧重國, "高句麗・百濟・新羅사이의 力關係變化에 대한 一考察"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8 : 1981
20 정원주, "高句麗 滅亡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2013
21 鄭求福, "韓百謙의 史學과 그 影響" 진단학회 63 : 1987
22 鄭求福, "韓國近世史學史(朝鮮中・後期篇)" 景仁文化社 2008
23 李基白, "韓國史講座Ⅰ(古代篇)" 一潮閣 1982
24 鄭求福, "韓國古代史學史" 景仁文化社 2008
25 金瑛河, "韓國古代史入門3-신라와 발해" 신서원 2006
26 鄭求福, "韓國中世史學史(Ⅱ)-朝鮮前期篇-" 景仁文化社 2002
27 盧泰敦, "韓㳓劤博士停年紀念史學論叢" 知識産業社 1981
28 "資治通鑑"
29 "舊唐書"
30 "續日本記"
31 申瀅植, "統一新羅史硏究" 三知院 1990
32 張元燮, "百濟初期東界의 형성에 관한 一考察-靺鞨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韓國精神文化硏究院淸溪史學會 7 : 1990
33 "東國通鑑"
34 "東國輿地志"
35 "東國地理誌"
36 "東史綱目"
37 "日本書紀"
38 李基東, "新羅骨品制社會와 花郞徒" 一潮閣 1980
39 李基白, "新羅政治社會史硏究" 一潮閣 1974
40 辛鍾遠, "新羅初期佛敎史硏究" 民族社 1992
41 辛鍾遠, "新羅佛敎公認의 實相" 新羅文化宣揚會 14 : 1993
42 박남수, "新羅 中古期 花郞徒의 敎育과 出仕" 역사교육연구회 (108) : 99-125, 2008
43 "新增東國輿地勝覽"
44 "新唐書"
45 "後漢書"
46 盧泰敦, "對唐戰爭期(669~676) 新羅의 對外關係와 軍事活動" 국방군사연구소 34 : 1997
47 "大東地志"
48 "唐會要"
49 안정준, "唐代 墓誌銘을 통해 본 고구려·백제 遺民 一族의 동향 - 총론 -" 한국역사연구회 (101) : 23-34, 2016
50 "三國遺事"
51 河日植, "三國統一後新羅支配體制의 推移" 서경문화사 23 : 2001
52 李康來, "三國史記에 보이는 靺鞨의 軍事活動" 2 : 1986
53 "三國史記"
54 "三國史節要"
55 윤선태, "‘통일신라’의 발명과 근대역사학의 성립" 신라문화연구소 (29) : 5-5, 2007
56 윤선태, "‘신라통일론’을 다시 말한다"
57 김영하, "7세기 후반 한국사의 인식문제 -신라의 백제통합론과 삼국통일론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46) : 361-389, 2009
58 주보돈, "7世紀 羅唐關係의 始末" 영남문화연구원 (20) : 131-172, 201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58 | 0.981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