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방송대학 신·편입생들에게 학교에 대한 소속감 부재와 학습과정에서의 고립감은 학업 지속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신·편입생들의 학업 지속률을 높이기 위해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409168
2006년
Korean
dCollection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방송대학 신·편입생들에게 학교에 대한 소속감 부재와 학습과정에서의 고립감은 학업 지속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신·편입생들의 학업 지속률을 높이기 위해서�...
현재 방송대학 신·편입생들에게 학교에 대한 소속감 부재와 학습과정에서의 고립감은 학업 지속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신·편입생들의 학업 지속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전공학과, 연령, 성별 등에 따른 다양한 교육 요구와 학습저해 요인을 고려한 개별적인 학습 지원 및 안내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학습자간 멘토링 프로그램은 방송대학을 먼저 경험한 선배학습자들이 신·편입생들에게 대학생활과 학습방법에 관하여 조언하고 정서적인 지원을 제공함으로써 신·편입생들의 학습동기를 유지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방송대학 신·편입생들의 대학 생활 적응 및 학업 중단 방지를 위한 개별적인 학습지원 프로그램으로서 멘토링 모형을 개발하고 멘토링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세부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의 개념과 이론적 논의 분석, 둘째, 방송대생의 멘토링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셋째, 국내·외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넷째, 방송대생을 위한 멘토링 모형 개발, 다섯째, 방송대생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및 활성화 방안 수립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