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운영하면서 수문 현상을 관측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획득하고, 산지 소하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이를 이용하여 지점별 ...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에 위치한 설마천 시험유역을 운영하면서 수문 현상을 관측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획득하고, 산지 소하천의 유출특성을 분석하는 것과 이를 이용하여 지점별 대표단위도를 유도하여 국내 수문특성에 적합한 합성단위도를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올해에도 예년과 같이 지속적으로 수문관측이 수행되었으며, 자료의 질을 높이고 결측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측기기의 일상점검과 꾸준한 유지관리와 보수가 있었다. 시험유역에서 생성된 자료는 5개 우량관측소의 우량자료, 2개 수위관측소의 수위, 유량측정 성과, 수질 자료, 1개 기상관측소의 기상자료 등의 관측자료가 있으며, 이로부터 산정된 유역평균우량과 유량자료 등이 있다. 관측자료와 가공자료는 10분, 1시간, 1일 자료로 구성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운영하는 수문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여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험유역의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지표면 유출과 중간유출, 지하수 유출의 감수특성, 홍수유출율, 홍수도달시간, 합리식의 유출계수 등 산지 소하천의 기본적인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시험유역의 사방댐과 전적비교 등 2개 지점과 국제수문개발계획 대표유역인 평창강, 보청천, 위천의 17개 지점에 대해 그 동안 축적된 강우-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지점 대표단위도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19개 지점의 대표단위도와 기존의 단위도 관련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새로운 합성단위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합성단위도는 유역특성인자와 단위도 특성치와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유역면적-유로연장-유로경사의 3가지 변수로 구성되는 회귀식으로 제안되었다. 기존 합성단위도 방법 및 대표단위도와 비교한 결과, 실제 대표단위도를 가장 잘 재현하고 있었으며, 유역면적의 변화에 따른 편차가 가장 작게 나타나는 등 기존 합성단위도 방법보다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