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 경기도교육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ffice of Education -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97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scusses identit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as well as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ublic and school libraries. The study suggests education - centric paradigm, differentiation between school library support and lifelo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council by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space changes for public libraries within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framework. The study shares thoughts on identities of public libraries i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will be utilized as the model for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scusses identit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K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study discusses identiti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for public librari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libraries as well as cooperative systems between public and school libraries. The study suggests education - centric paradigm, differentiation between school library support and lifelong education, establishment of council by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space changes for public libraries within the creative and intellectual framework. The study shares thoughts on identities of public libraries in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will be utilized as the model for future development for public libraries in othe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기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11

      2 한윤옥,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337-357, 2004

      3 최문경,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상호협력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허춘자, "학교도서관 지원 체제의 분석을 통한 협력 방안 연구 : 경기도 공공도서관과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장지숙,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 분석 - 중장기 계획과 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 21 (21): 15-28, 2010

      6 김지봉,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의 과제와 발전방향" 63 : 3-46, 2011

      7 차미경, "도서관 활성화 2단계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86-, 2006

      8 정미경,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1 (41): 347-363, 2007

      9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8

      10 경기도교육청,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

      1 송기호,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활성화 모델 개발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11

      2 한윤옥,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5 (35): 337-357, 2004

      3 최문경,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상호협력 현황과 발전방안 연구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허춘자, "학교도서관 지원 체제의 분석을 통한 협력 방안 연구 : 경기도 공공도서관과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장지숙,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 분석 - 중장기 계획과 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 한국비블리아학회 21 (21): 15-28, 2010

      6 김지봉, "서울시 공공도서관 운영의 과제와 발전방향" 63 : 3-46, 2011

      7 차미경, "도서관 활성화 2단계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86-, 2006

      8 정미경, "도서관 통합서비스 모델로서의 Information Commons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1 (41): 347-363, 2007

      9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 디지털자료실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08

      10 경기도교육청, "기초교양 창의지성 프로그램"

      11 양승의,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조성일, "공공도서관 현안과 과제: 교육청공공도서관의 미래" 27 : 113-123, 2011

      13 "The Library as Places: Tales from the Community Learning Commons"

      14 Donald R, "The Information Commons Handbook" Neal-Schuman Publishers 3-4, 2006

      15 "Learning Commons and Public Libraries"

      16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매체와 교수매체론" 조은글터 89-93,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