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9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 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 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경희, "한국 장난감도서관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5 (5): 79-100, 2008

      2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홈페이지"

      3 유해미,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2

      4 김수정, "전국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00

      6 동윤진, "어린이 도서관과 장난감 도서관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인식조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8 "도쟁이 홈페이지"

      9 최은희, "놀이감 대여 프로그램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10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1 장경희, "한국 장난감도서관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5 (5): 79-100, 2008

      2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홈페이지"

      3 유해미,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2

      4 김수정, "전국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00

      6 동윤진, "어린이 도서관과 장난감 도서관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인식조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8 "도쟁이 홈페이지"

      9 최은희, "놀이감 대여 프로그램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10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11 沈剑娜, "儿童玩具图书馆的发展及其社会服务功能的探讨" 16-18, 2013

      12 "Wikipedia Home page"

      13 Dockrell, Julie, "Toy libraries: what's in a name?" 49 (49): 27-36, 1989

      14 Mayfield, Margie I, "Toy libraries: Promoting play, toys, and family support internationally" 87 (87): 1-13, 1993

      15 National Association of Toy and Leisure Libraries, "Toy Libraries their benefits for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Capacity and Play Matters

      16 Malik, Abida, "Sure Start West Bowling Local Evaluation of Toy Library"

      17 "ITLA Home page"

      18 Powell, Robat, "A Treasure Chest of Service : the Role of Toy Libraries Within Play Policy in Wales" NFER 2007

      19 Moore, Julia E, "A History of Toy Lending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35" Kent State Univers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95

      20 WAATL, "A Guide to Starting and Running a Community-Based Toy Libra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