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国際調査からみる日韓大学生の依頼談話意識 = An International Survey on Japanese and Korean Requests, Customs, Attitudes and Dis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0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a quantitative international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request discourses. Between November 2018 and January 2019, Japa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358 and 377 individuals, respectively)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The questionnaire employed was designed to verify the findings of a previous qualitative study, conducted using an introspective method, in which the authors examined their own discursive practices and drew on thei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ir respective native cultures. The research is based on synchronous discourse theory, which focuses on social culture, attitudes, the contents and the expressions of language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four aspect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ircles of acquaintance. 95% or more of both the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had close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in contact frequency were clearly significant. While more than 6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ntacted close friends only when they had a reason to do so, more than 80% of the Koreans contacted close friends frequently even when they had nothing in particular that they needed to convey. Such socio-cultural differences also influenced the way the respondents thought as well a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their discourse. Fewer than 50% of the Japanese students agreed that ‘expressing oneself clearly is polite’, whereas more than 90% of the Koreans agreed with this stat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oliteness is not universal. More than 7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when asking to borrow something of little value from a close friend, they would explain why they needed to make the request. On the other hand, more than 50% of the Koreans thought no explanation was necessary in this situation, and more than 40% answered that a detailed explanation was unnecessary. The Japanese students indicated that, when an invitation to the movies was declined with the expression “I’m sorry”, they would feel satisfied that they had understood the reasons for the refusal. More than 70% of the Koreans, however, stated that while they would feel that they had understood, they would still prefer some explanation of the reasons that led to the invitation being declined. These results confirm the findings of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undertaken by the authors.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a quantitative international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request discourses. Between November 2018 and January 2019, Japa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nd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a quantitative international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request discourses. Between November 2018 and January 2019, Japa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358 and 377 individuals, respectively)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The questionnaire employed was designed to verify the findings of a previous qualitative study, conducted using an introspective method, in which the authors examined their own discursive practices and drew on their intuitive understanding of their respective native cultures. The research is based on synchronous discourse theory, which focuses on social culture, attitudes, the contents and the expressions of language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se four aspect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ircles of acquaintance. 95% or more of both the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had close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in contact frequency were clearly significant. While more than 6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ntacted close friends only when they had a reason to do so, more than 80% of the Koreans contacted close friends frequently even when they had nothing in particular that they needed to convey. Such socio-cultural differences also influenced the way the respondents thought as well a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of their discourse. Fewer than 50% of the Japanese students agreed that ‘expressing oneself clearly is polite’, whereas more than 90% of the Koreans agreed with this statement. This result shows that politeness is not universal. More than 70% of the Japanese respondents answered that, when asking to borrow something of little value from a close friend, they would explain why they needed to make the request. On the other hand, more than 50% of the Koreans thought no explanation was necessary in this situation, and more than 40% answered that a detailed explanation was unnecessary. The Japanese students indicated that, when an invitation to the movies was declined with the expression “I’m sorry”, they would feel satisfied that they had understood the reasons for the refusal. More than 70% of the Koreans, however, stated that while they would feel that they had understood, they would still prefer some explanation of the reasons that led to the invitation being declined. These results confirm the findings of previous qualitative research undertaken by the auth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에 걸쳐 일본 대학생 358명과 한국 대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뢰담화의 한일 차에 관한 조사 결과를 분석 고찰하였다. 조사표는 동시결절모델에 입각하여 의뢰담화를 산출하는 사회문화, 의식태도, 담화내용, 담화표현과 이들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내성관찰법(內省觀察法)을 통해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검증하는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의 범위는 한일 간에 큰 차이가 없으며, 양 국민 모두 90% 이상이 곤란한 일을 상담할 수 있는 친한 친구 (이하, 친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친구와의 교제 실태는 크게 달라서 일본에서는 용건이 있을 때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60% 정도인 데 반해, 한국에서는 특별한 용건이 없어도 빈번하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80%를 넘었다. 이러한 사회문화로서의 교류실태가 친구에 대한 의 뢰의식, 담화내용과 표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담화태도에서는 전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말하는 것이 정중하다고 느끼 는 사람의 비율이 일본에서는 50%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에 한국에서는 90%를 넘기고 있다. 이는 폴라이트네스 의식에 각 언어문화만의 개별 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친구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려달라고 의뢰할 수 있다는 점은 한일 양국이 공통되지만 담화 내용과 담화표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일본에서는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리는 일에도 70%를 넘는 사람이 사정이나 이유를 언급하며 부탁하는 것에 반해, 한국에서는 55%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일일이 설명하지 않고 빌린다는 사람의 비율도 45%나 되었다. 영화를 보러 가자는 권유를 거절하는 경우에도 “미안, 그건 조금...”을 끝으로 그 이상의 표현을 요구하지 않는 일본에 반해, 한국에서는 가지 못하는 이유나 사정을 설명해주었으면 하는 사람이 70%를 넘었다는 점에서 양국의 차이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한일 대학생의 의뢰담화의식의 유사점과 차이점 이외에 선행연구의 정성(定性)적인 분석결과를 정량(定量)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 조담화론적 내성관찰법”이라는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 또한 의미가 매우 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에 걸쳐 일본 대학생 358명과 한국 대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뢰담화의 한일 차에 관한 조사 결과를 분석 고찰하였다. 조사표는 동시결절모델에 입...

      본 연구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월에 걸쳐 일본 대학생 358명과 한국 대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의뢰담화의 한일 차에 관한 조사 결과를 분석 고찰하였다. 조사표는 동시결절모델에 입각하여 의뢰담화를 산출하는 사회문화, 의식태도, 담화내용, 담화표현과 이들의 관계성에 주목하며 내성관찰법(內省觀察法)을 통해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분석결과를 검증하는 형식으로 작성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의 범위는 한일 간에 큰 차이가 없으며, 양 국민 모두 90% 이상이 곤란한 일을 상담할 수 있는 친한 친구 (이하, 친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친구와의 교제 실태는 크게 달라서 일본에서는 용건이 있을 때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60% 정도인 데 반해, 한국에서는 특별한 용건이 없어도 빈번하게 연락을 한다는 사람이 80%를 넘었다. 이러한 사회문화로서의 교류실태가 친구에 대한 의 뢰의식, 담화내용과 표현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담화태도에서는 전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말하는 것이 정중하다고 느끼 는 사람의 비율이 일본에서는 50%에도 미치지 못한 반면에 한국에서는 90%를 넘기고 있다. 이는 폴라이트네스 의식에 각 언어문화만의 개별 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친구에게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려달라고 의뢰할 수 있다는 점은 한일 양국이 공통되지만 담화 내용과 담화표현에는 차이가 있었다. 일본에서는 부담이 되지 않는 작은 물건을 빌리는 일에도 70%를 넘는 사람이 사정이나 이유를 언급하며 부탁하는 것에 반해, 한국에서는 55%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일일이 설명하지 않고 빌린다는 사람의 비율도 45%나 되었다. 영화를 보러 가자는 권유를 거절하는 경우에도 “미안, 그건 조금...”을 끝으로 그 이상의 표현을 요구하지 않는 일본에 반해, 한국에서는 가지 못하는 이유나 사정을 설명해주었으면 하는 사람이 70%를 넘었다는 점에서 양국의 차이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한일 대학생의 의뢰담화의식의 유사점과 차이점 이외에 선행연구의 정성(定性)적인 분석결과를 정량(定量)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대 조담화론적 내성관찰법”이라는 방법론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 또한 의미가 매우 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석우, "의뢰행동의 한일대조연구" 한국일본어학회 (42) : 3-19, 2014

      2 강석우, "韓國人と日本人のコミュニケ-ション行動に關する比較對照硏究- 依賴行動における依賴主の意識に注目して -" 한국일본어학회 (19) : 13-29, 2007

      3 沖裕子, "日韓中の外言談話にみる発想と表現―日本語と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礎的研究" 信州大学  44 : 1-25, 2010

      4 오키 히로코, "日本語依頼談話の結節法" 한국일본어학회 (28) : 119-136, 2010

      5 沖裕子, "依頼談話の発想と表現―異文化接触問題の解決をめざした日韓中対照談話論-" 社会言語科学会  21 (21): 80-95, 2018

      6 沖裕子, "依頼談話の発想と表現" 社会言語科学会  13 (13): 138-143, 2011

      7 井出祥子, "わきまえの語用論" 大修館書店 2006

      1 강석우, "의뢰행동의 한일대조연구" 한국일본어학회 (42) : 3-19, 2014

      2 강석우, "韓國人と日本人のコミュニケ-ション行動に關する比較對照硏究- 依賴行動における依賴主の意識に注目して -" 한국일본어학회 (19) : 13-29, 2007

      3 沖裕子, "日韓中の外言談話にみる発想と表現―日本語と日本語教育のための基礎的研究" 信州大学  44 : 1-25, 2010

      4 오키 히로코, "日本語依頼談話の結節法" 한국일본어학회 (28) : 119-136, 2010

      5 沖裕子, "依頼談話の発想と表現―異文化接触問題の解決をめざした日韓中対照談話論-" 社会言語科学会  21 (21): 80-95, 2018

      6 沖裕子, "依頼談話の発想と表現" 社会言語科学会  13 (13): 138-143, 2011

      7 井出祥子, "わきまえの語用論" 大修館書店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19 0.09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