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우리나라와 일본의 사례 비교를 통한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의 개선 방향 모색 연구 = An Analysis of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 using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Korea's and Jap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651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 지역의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과 일본 요코하마시의 학습지도요령을 각각 자국의 국가 교육과정과 비교ㆍ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는 국가 교육과정 총론의 규정이 대체로 반복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반면 교과 교육과정 관련 규정이 매우 간략하게 제시되어 있었는데, 요코하마시의 문서에서는 총론의 교육과정의 방향에서부터 교과 교육과정의 소단원별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에 이르기까지 요코하마시의 특색이 골고루 반영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가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육 지표 및 시책을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였는가의 측면에서부터 발생하였다는 점을 밝히고, 국가 교육과정의 모든 규정을 재해석하기보다는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육 지표 및 시책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항목만을 선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지역화가 필요한 항목의 선정과 더불어 보다 근본적으로 국가 및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의 역할 구분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 지역의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과 일본 요코하마시의 학습지도요령을 각각 자국의 국...

      본 연구는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 지역의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과 일본 요코하마시의 학습지도요령을 각각 자국의 국가 교육과정과 비교ㆍ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는 국가 교육과정 총론의 규정이 대체로 반복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반면 교과 교육과정 관련 규정이 매우 간략하게 제시되어 있었는데, 요코하마시의 문서에서는 총론의 교육과정의 방향에서부터 교과 교육과정의 소단원별 교육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에 이르기까지 요코하마시의 특색이 골고루 반영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차이가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육 지표 및 시책을 시ㆍ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지침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구체화하였는가의 측면에서부터 발생하였다는 점을 밝히고, 국가 교육과정의 모든 규정을 재해석하기보다는 시ㆍ도 교육청 수준의 교육 지표 및 시책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항목만을 선정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지역화가 필요한 항목의 선정과 더불어 보다 근본적으로 국가 및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의 역할 구분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find out the MPOE (MetropolitanㆍProvince Office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To fulfill its aim, this study us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one province's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and Korea's national curriculum and between Yokohama's curriculum and Japan's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these : The MOP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in Korea has almost similar regulations on the general guidelines compar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very brief guidelines on the subject-matters. However the Yokohama's curriculum has newly-interpreted regulations according to its own and detailed educational aims. According to these,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rove directions for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First, educational policy on the metropolitan or province has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aims and objectives of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Second, not all but a few regulations in the national curriculum have to be deliberately selected and interpreted in detail to realize of the aims and objectives of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Third, selecting the national regulations which are needed to be localized and distinguishing the curricular roles between national and local levels have to be discussed consistentl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find out the MPOE (MetropolitanㆍProvince Office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To fulfill its aim, this study us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one province's Curriculum Ar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find out the MPOE (MetropolitanㆍProvince Office of Education)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To fulfill its aim, this study used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one province's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and Korea's national curriculum and between Yokohama's curriculum and Japan's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these : The MOP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in Korea has almost similar regulations on the general guidelines compar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very brief guidelines on the subject-matters. However the Yokohama's curriculum has newly-interpreted regulations according to its own and detailed educational aims. According to these,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rove directions for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First, educational policy on the metropolitan or province has to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aims and objectives of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Second, not all but a few regulations in the national curriculum have to be deliberately selected and interpreted in detail to realize of the aims and objectives of the MPOE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Guideline. Third, selecting the national regulations which are needed to be localized and distinguishing the curricular roles between national and local levels have to be discussed consistent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Ⅰ. 서론 Ⅱ. 우리나라와 일본의 지역 수준 교육과정의 특징 Ⅲ. 분석 방법 Ⅳ.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 분석 Ⅴ. 일본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 분석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 <요약> Ⅰ. 서론 Ⅱ. 우리나라와 일본의 지역 수준 교육과정의 특징 Ⅲ. 분석 방법 Ⅳ.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 분석 Ⅴ. 일본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 분석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3 교육과학기술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박순경, "제7차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연구(I), 교육과정 문서 및 적용 지원 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5 공병호, "일본의 지방교육행정체제의 개혁 동향" 40 (40): 5-25, 2000

      6 공병호, "일본의 중앙 및 지방 교육행정 체제 연구" 한국일본교육학회 13 (13): 87-101, 2009

      7 고전, "일본교육개혁 흑백서-21세기 교육신생플랜의 환상과 실상" 학지사 2003

      8 전철/윤강구, "일본 지역화 교육의 실천 사례 연구"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8 (28): 219-256, 2004

      9 이명희, "일본 사회과 교육에서 ‘地域學習’의 실태 : 千葉縣 館山市 小,中,高等學校 의 事例를 中心으로" 3 (3): 208-235, 1999

      10 김양주, "인류학적 측면에서 본 일본지역사회의 사회교육 : 유스하라정의 결사체를 중심으로 한 민족지적 접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4 : 55-89, 1995

      1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3 교육과학기술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4 박순경, "제7차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연구(I), 교육과정 문서 및 적용 지원 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5 공병호, "일본의 지방교육행정체제의 개혁 동향" 40 (40): 5-25, 2000

      6 공병호, "일본의 중앙 및 지방 교육행정 체제 연구" 한국일본교육학회 13 (13): 87-101, 2009

      7 고전, "일본교육개혁 흑백서-21세기 교육신생플랜의 환상과 실상" 학지사 2003

      8 전철/윤강구, "일본 지역화 교육의 실천 사례 연구"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8 (28): 219-256, 2004

      9 이명희, "일본 사회과 교육에서 ‘地域學習’의 실태 : 千葉縣 館山市 小,中,高等學校 의 事例를 中心으로" 3 (3): 208-235, 1999

      10 김양주, "인류학적 측면에서 본 일본지역사회의 사회교육 : 유스하라정의 결사체를 중심으로 한 민족지적 접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4 : 55-89, 1995

      11 한혜정, "시, 도 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지침 실태 분석 및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12 교육부, "국민학교 교육과정"

      13 박순경, "국가 교육과정 적용에서의 교육과정 지역화의 실효성 논의(I)- 시·도교육청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연구·개발 과업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과정학회 21 (21): 111-127, 2003

      14 정영근, "국가 교육과정 관련 문서 체제 개선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15 박순경, "교육과정‘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85-105, 2010

      16 横浜市教育委員会, "横浜版学習指導要領 - 総則編"

      17 横浜市教育委員会, "横浜版学習指導要領 - 社会科編"

      18 "横浜市教育委員会 공식 웹사이트"

      19 "文部科学省 공식 웹사이트"

      20 文部科学省, "小学校新学習指導要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 1.69 2.047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