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 대상 자료 본 연구의 자료는 근대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이다. 본 연구진은 전통 음식조리 관련 자료 중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연구 문헌과 본 연구책임자가 새로 발견한 자료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6120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연구 대상 자료 본 연구의 자료는 근대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이다. 본 연구진은 전통 음식조리 관련 자료 중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연구 문헌과 본 연구책임자가 새로 발견한 자료를 ...
1. 연구 대상 자료
본 연구의 자료는 근대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이다. 본 연구진은 전통 음식조리 관련 자료 중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연구 문헌과 본 연구책임자가 새로 발견한 자료를 더하여 26권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자료에는 <주방문>(하생원댁), <주방문>(김승지댁), <온주법>(안동 의성김씨종가댁), <주식시의>(동춘당 송준길 후손가), <쥬식방문>(노가재공댁) 등이 있다.
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2.1 연구 대상 자료 선정 및 분석 : 자료를 분석하는 본 과제에서 연구의 대상이 될 자료를 확보하고, 그 가운데 대상 자료를 선정하여야 하는 것이 일차 과제이다.
2.2 원시 말뭉치 및 원시-현대어역 병렬 말뭉치 구축
(1) 원전 텍스트 판독 및 전산화를 위한 기초 연구
○ 입력을 위한 필사본의 원문 판독과 입력 : 한글 초서체를 읽어낸 수많은 경험과 국어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원문을 바로 판독하고, 이를 전산 자료로 입력하여 연구의 바탕을 마련한다.
○ 문헌 정보의 체계적․통일된 입력을 위한 지침서 작성 : 추후 이 전자 문서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한국어 고문헌 자료에 대한 DTD(document type definition) 연구를 선행한다. 그리고 말뭉치 구축 작업에서 다수의 입력자들을 관리하여 통일된 자료를 얻기 위해 입력 지침서를 작성한다. 마지막으로 입력시 사용할 문자코드, 파일명 정하는 방법, 입력 도구 등에 대한 논의와 표준 방안 설정 작업이 수반된다.
(2) 원시 말뭉치 구축 : 첫째 원전 텍스트를 입력하고, 둘째 원전 텍스트를 알기 쉽게 번역한 현대어역 텍스트를 입력한다. 입력된 원시 말뭉치는 이전 단계에서 작성한 마크업 지침에 따라 서지 정보를 헤더에 기록하고 마크업 과정에 대한 정보도 기록해 둔다.
(3) [원전-현대어역] 병렬 말뭉치 구축 : 본 연구 자료는 원전 텍스트와 이를 번역한 현대어역 텍스트가 쌍으로 존재하므로 이들의 매칭을 위한 정렬 번호를 생성하여 파일에 기록한다. 이전 단계에서 연구된 XML을 마크업 언어로 채택하며, 정렬 번호 마킹 후에는 텍스트 구조를 표시하게 되는데, 문장 분할과 상위 구조 표시 작업을 한다.
2.3 전통 조리 용어 추출을 위한 형태 주석·의미 주석 말뭉치 구축
(1) 주석 말뭉치(annotated corpus)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 수행 : 문법 주석(형태소 분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형태 분석 태그셋을 결정하고 작업자를 위한 형태 분석 지침서를 작성한다.
(2) 형태 분석 말뭉치 구축 : 위 (1)의 과정에서 개발된 형태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형태소 분석 작업을 수행한다. 형태 분석 말뭉치는 ‘용례 기반 형태 분석 프로그램(example-based analyser)’을 활용하여 구축될 것이다.
(3) 의미 정보 주석 말뭉치 구축 : 형태 분석 태깅에 이어 의미 정보 태깅을 실시한다. 먼저 의미 부류 태그셋을 결정할 때 전문 분야의 기존 wordnet 연구-특히 본 연구 영역에 해당하는 식품 분야나 lexicon 사전 등을 검토한다.
2.4 전통 조리 용어 후보 어휘 목록 추출 및 표제어 선정
(1) 기존 빈도 프로그램(KNU Frequency)을 활용한 어휘 빈도 목록 추출 : 앞 단계에서 주석된 수만 개의 어휘 말뭉치에서 중요도를 결정하여 다음 단계의 작업에 반영한다. 어휘 중요도 결정은 품사별로 실시하며, 어휘 출현 빈도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2) 목록 검토를 통한 전통 조리 용어 선정 : 어휘 빈도에 의해 중요도가 결정된 어휘들을 검토하여 전통 조리 용어 선정한다. 또, 자료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 [옛말-현대어] 용어 대조표도 작성한다.
2.5 전통 음식 용어 어휘 자료집 편찬 및 통합 검색 프로그램 개발
(1) 표제 어휘 문맥 색인 생성 : 어휘 자료집을 편찬하기 위해서 전 단계에서 추출한 주요어 목록을 중심으로 하여 용례 추출 작업을 한다. 용례 추출 작업은 기존의 문맥색인(KWIC) 프로그램을 활용한다.
(2) 전통 음식조리 용어 어휘 자료집 모형 개발 및 어휘 자료집 DB 구축 : 전통 음식조리 용어 어휘 자료집을 편찬하기 위해서 우선 거시구조 및 미시구조 표제항(entry)을 결정하고 사전의 최종 모습을 반영한 모형을 개발한다. 표제어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가 결정되면 이 정보들을 담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계하고 이를 프로그래밍으로 구현한다.
(3) 전통 음식 조리 용어 어휘 자료집 편찬 : 음식조리서의 학문적․실용적 활용을 위해 음식조리 관련 어휘를 조리명사, 조리동사, 조리형용사, 조리 관련 부사 등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앞서 개발한 사전 모형본을 바탕으로 자료집을 편찬한다.
(4) 검색 프로그램 및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 : 다양한 프로그래밍 도구를 쉽게 이용하기 위해서 하이퍼링하이퍼링크로 구현한다. 또, 프로그램을 인터넷만으로 이용하도록 웹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