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여성소설의 담론 특성 = A study on the feature of discourse of 1930's female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828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feature of discourse of 1930's female novels. Through integrated methodology based on feminism, the feature of discourse of 1930's female novels (Gang-gyung-aeㆍBaeg-sin-aeㆍChoi-jung-heeㆍPark-hwasungㆍLee-sun-hee) ...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feature of discourse of 1930's female novels. Through integrated methodology based on feminism, the feature of discourse of 1930's female novels (Gang-gyung-aeㆍBaeg-sin-aeㆍChoi-jung-heeㆍPark-hwasungㆍLee-sun-hee) are interpreted by comparing the language of all textuality.
      1930's female novels had various kinds of writing strategies, such as self reflective writing, which creates a space objectifying women's own experiences and establishing their own identities.
      Gang-gyung-ae established the identity through the discourse of confession. Choi-jung-hee refused the painful situations by the autobiograpic language. Park-hwa-sung revealed the painful antinomic situations by the ideological language. And Lee-sun-hee represnted all aspects of pressure of body and desire of the female in the masculinist society.
      These various features of discoures in 1930's female novels can reveal an alternative plan on how and where our literature should develop. This thesis also points out that some clues for understanding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1930's female writers by observing the links and changes in female liter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여성성의 자각과 새로운 담론의 모색
      • Ⅱ. 고백의 담론
      • Ⅲ. 이념 지향적 언어의 담론화
      • Ⅳ. 탈주 욕망의 언어
      • Ⅴ. 결론
      • Ⅰ. 여성성의 자각과 새로운 담론의 모색
      • Ⅱ. 고백의 담론
      • Ⅲ. 이념 지향적 언어의 담론화
      • Ⅳ. 탈주 욕망의 언어
      • Ⅴ. 결론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현대 영미 페미니즘과 <여성중심비평>" 겨울호 1988

      2 "한국의 페미니즘문학 어디까지 왔나" 또하나의 문화 제3호 1987

      3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4 "한국여성문학비평론" 개문사 1995

      5 "한국 현대 여성문학론" 지평 1988

      6 "한국 근대 서간체 소설연구형성과 구조변이를 중심으로" 1990

      7 "포스트모더니즘과 철학" 이대출판부 1994

      8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이다" 한길사 1999

      9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10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1 "현대 영미 페미니즘과 <여성중심비평>" 겨울호 1988

      2 "한국의 페미니즘문학 어디까지 왔나" 또하나의 문화 제3호 1987

      3 "한국여성소설과 페미니즘" 신구문화사 1996

      4 "한국여성문학비평론" 개문사 1995

      5 "한국 현대 여성문학론" 지평 1988

      6 "한국 근대 서간체 소설연구형성과 구조변이를 중심으로" 1990

      7 "포스트모더니즘과 철학" 이대출판부 1994

      8 "페미니즘은 휴머니즘이다" 한길사 1999

      9 "페미니즘과 소설비평" 한길사 1995

      10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1988

      11 "페미니즘 사상-종합적 접근" 한신문화사 1995

      12 "페미니스트의 시학" 1992

      13 "자서전의 규약" 문학과 지성사 1998

      14 "일제 강점기 한국여류소설 연구" 1987

      15 "이제 여성도 말하기 시작한다" 1990

      16 "우리시대의 여성작가" 문학과 지성사 1999

      17 "여성해방과 문학" 지평 1988

      18 "여성의 자기 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제9호 1992

      19 "언어와 여성" 1994

      20 "성차와 <여성적 글쓰기>의 정치적/무의식" 1992

      21 "문학과 비평사" 1989

      22 "몸으로 글쓰기 여성해방문학의 논리" 1990

      23 "더이상 어머니는 없다" 평민사 1995

      24 "낭만적 사랑과 사회" 1985

      25 "Thinking about Women" 1968

      26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 "Fiction of Female Development"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2 0.5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