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천진지역 한인의 이주와 정착 = The Move of the Korean People to Tianjin Area and Their Settl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1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인들이 본격적으로 천진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로 보인다. 그들은 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서 이주하였다. 반면, 1920년대에 들어서자 한인 남성을 중심으로 하는 이주자가 늘어났다. 1931년 일제의 만주침공 이후에는 전쟁특수를 배경으로 부를 축적하기 위해 천진으로 다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주를 이루었다. 한인들의 천진 이주는 중일전쟁 이후 최고조에 달해 그 수는 전쟁 전의 세배에 달했다. 이 때문에 일제가 한인의 이주를 엄격히 제한하면서 한인의 이주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천진으로 이주한 한인들이 정착해 생활한 지역은 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1910년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초기 천진지역 한인들을 프랑스조계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프랑스조계 당국이 한인들의 정치활동을 묵인하고 비호 해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제1차 세계대전의 경기호황을 목적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주로 일본조계에서 생활하였다. 그러나 중일전쟁으로 이주 일본인의 수가 조계의 규모를 넘어서면서 조계 내 주택부족문제가 심각해졌다. 일본인들은 그 해결방안으로 조계 내의 한인과 중국인들을 조계 밖으로 구축하였고, 어쩔 수 없이 조계 밖으로 쫓겨난 한인들은 화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집거지를 형성하였다.
      천진에 이주한 한인들은 생활을 위해 경제활동을 영위해야만 했다. 1920년대 중반까지 주를 이루던 한인독립운동가들은 전적으로 독립운동에 전념하거나 혹은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경제활동에 종사하며 매우 곤궁한 생활을 했다. 반면 일본의 화북경기를 이용해 이주한 한인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도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불법적인 일에 종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한인 간에도 경제상태의 격차가 커 천진지역 한인들은 전체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경제구조를 보였다.
      번역하기

      한인들이 본격적으로 천진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로 보인다. 그들은 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서 이주하였다. 반면, 1920년대에 들어서자 한인 남성을...

      한인들이 본격적으로 천진지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한 것은 1910년 이후로 보인다. 그들은 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한 정치적 목적에서 이주하였다. 반면, 1920년대에 들어서자 한인 남성을 중심으로 하는 이주자가 늘어났다. 1931년 일제의 만주침공 이후에는 전쟁특수를 배경으로 부를 축적하기 위해 천진으로 다시 이주해 온 사람들이 주를 이루었다. 한인들의 천진 이주는 중일전쟁 이후 최고조에 달해 그 수는 전쟁 전의 세배에 달했다. 이 때문에 일제가 한인의 이주를 엄격히 제한하면서 한인의 이주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천진으로 이주한 한인들이 정착해 생활한 지역은 시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1910년부터 1920년대 중반까지 초기 천진지역 한인들을 프랑스조계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프랑스조계 당국이 한인들의 정치활동을 묵인하고 비호 해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제1차 세계대전의 경기호황을 목적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주로 일본조계에서 생활하였다. 그러나 중일전쟁으로 이주 일본인의 수가 조계의 규모를 넘어서면서 조계 내 주택부족문제가 심각해졌다. 일본인들은 그 해결방안으로 조계 내의 한인과 중국인들을 조계 밖으로 구축하였고, 어쩔 수 없이 조계 밖으로 쫓겨난 한인들은 화가를 중심으로 새로운 집거지를 형성하였다.
      천진에 이주한 한인들은 생활을 위해 경제활동을 영위해야만 했다. 1920년대 중반까지 주를 이루던 한인독립운동가들은 전적으로 독립운동에 전념하거나 혹은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경제활동에 종사하며 매우 곤궁한 생활을 했다. 반면 일본의 화북경기를 이용해 이주한 한인들은 남녀를 불문하고 쉽게 구할 수 있으면서도 고소득을 올릴 수 있는 불법적인 일에 종사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한인 간에도 경제상태의 격차가 커 천진지역 한인들은 전체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경제구조를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ve of the Korean people to Tianjin area started to occur in full scale after 1910. The purpose of their move back then was mainly political, as they aimed to launch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1920s, however, more people, especially Korean men, started to move to Tianjin due to economic reasons. After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on Manchuria in 1931, many people re-entered Tianjin to make profits from the special procurements of war. The move of the Korean people to Tianjin area was most active after the Sino-Japanese War, as the number of migrants was three times of that before the war.
      The regions where the Korean people settled down in Tianjin differ greatly following their time of move-in. From 1910 to mid-1920s, the early Koreans who moved to Tianjin area launched their independence movement mostly in the French Concession A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people who came to profit from the booming economy during World War I mostly lived in the Japanese Concession Area. After the Sino-Japanese War, however, the Korean people started to form new enclaves mostly in Chinese residence (華街).
      The Korean people who moved to Tianjin area carried on economic activities for their living. Independence activists solely concentrated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r carried on economic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launching independence movement. Yet, their life was very harsh. On the other hand, Koreans who moved to Tiajin after the Japanese Empire occupied the area tend to engage in illegal works, which were easy to find and highly profitable. The difference in economic statuses among Koreans was very large, and thus, the overall economic structure of the Korean people was very unstable.
      번역하기

      The move of the Korean people to Tianjin area started to occur in full scale after 1910. The purpose of their move back then was mainly political, as they aimed to launch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1920s, however, more people, especially Korean...

      The move of the Korean people to Tianjin area started to occur in full scale after 1910. The purpose of their move back then was mainly political, as they aimed to launch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1920s, however, more people, especially Korean men, started to move to Tianjin due to economic reasons. After the Japanese Empire’s Invasion on Manchuria in 1931, many people re-entered Tianjin to make profits from the special procurements of war. The move of the Korean people to Tianjin area was most active after the Sino-Japanese War, as the number of migrants was three times of that before the war.
      The regions where the Korean people settled down in Tianjin differ greatly following their time of move-in. From 1910 to mid-1920s, the early Koreans who moved to Tianjin area launched their independence movement mostly in the French Concession Area.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people who came to profit from the booming economy during World War I mostly lived in the Japanese Concession Area. After the Sino-Japanese War, however, the Korean people started to form new enclaves mostly in Chinese residence (華街).
      The Korean people who moved to Tianjin area carried on economic activities for their living. Independence activists solely concentrated on the independence movement, or carried on economic activities for the purpose of launching independence movement. Yet, their life was very harsh. On the other hand, Koreans who moved to Tiajin after the Japanese Empire occupied the area tend to engage in illegal works, which were easy to find and highly profitable. The difference in economic statuses among Koreans was very large, and thus, the overall economic structure of the Korean people was very unstabl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이주 배경과 목적
      • 3. 한인 집거지의 형성과 변화
      • 4. 한인들의 생활실태
      • 5. 맺음말
      • 1. 머리말
      • 2. 이주 배경과 목적
      • 3. 한인 집거지의 형성과 변화
      • 4. 한인들의 생활실태
      • 5.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요약
      • 영문요약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유자명 수기: 한 혁명자의 회억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2 "매일신보"

      3 "독립신문"

      4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사료선집 6" 국사편찬위원회 2008

      5 周俊旗, "民国天津社会生活史" 天津社会科学院出版社 2004

      6 "東亞日報"

      7 "朝鮮日報"

      8 "朝鮮中央日報"

      9 "日本外務省警察史:支那ノ部"

      10 天津日本商工會議所, "天津經濟事情" 天津日本商工會議所 1939

      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유자명 수기: 한 혁명자의 회억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2 "매일신보"

      3 "독립신문"

      4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사료선집 6" 국사편찬위원회 2008

      5 周俊旗, "民国天津社会生活史" 天津社会科学院出版社 2004

      6 "東亞日報"

      7 "朝鮮日報"

      8 "朝鮮中央日報"

      9 "日本外務省警察史:支那ノ部"

      10 天津日本商工會議所, "天津經濟事情" 天津日本商工會議所 1939

      11 天津居留民團, "天津日本居留民團三十周年記念志" 天津居留民團 1941

      12 天津居留民團, "天津居留民團二十周年記念志" 天津居留民團 1931

      13 天津地域史硏究會, "天津史" 東方書店 1999

      14 八木哲郎, "天津の日本少年" 草思社 1997

      15 "北支那 第5卷 第6號"

      16 "北支那 第5卷 第10號"

      17 "京津日日新聞"

      18 小倉知正, "京津在留邦人官商錄" 天津興信所 1925

      19 朝鮮總督官房外務部, "中華民國在留朝鮮人槪況" 朝鮮總督府 1939

      20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3)"

      21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2)"

      22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支那各地(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1.44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