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원 미로의 형태와 의미에 관한 역사적 고찰 = A Historical Study of the Form and Meaning of the Garden Labyrint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원의 한 요소인 정원 미로의 유형과 형태 그리고 그곳에서의 행위의 특정과 의미를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인류의 문명사에서 가장 오래된 상정 중 하나인 미로는 어원적 정...

      본 연구는 정원의 한 요소인 정원 미로의 유형과 형태 그리고 그곳에서의 행위의 특정과 의미를 살펴봄을 목적으로 한다. 인류의 문명사에서 가장 오래된 상정 중 하나인 미로는 어원적 정의나 물리적 형태상 기본적으로 위요된 장소인 정원과 많은 요소를 공유하고 있다. 고대부터 발전해온 미로는 르네상스 시기에 정원의 요소로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다양한 형태로 발달한다. 평면적이고 상징적 종교적 의미가 강했던 고대와 중세의 미로와 달리 입체적으로 조영된 정원 미로에는 공감각적 유희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 시기에는 문학작품과 회화를 통해 정원 미로의 개념이 먼저 보급되었고, 이 중에서도 특히 '사랑의 정원' 유형의 정원 미로가 유행했다. 이어 17세기 베르사유 정원에 이르러서는 하나의 길을 따라 가는 형태를 벗어나 다양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미로의 형태가 나타난다. 기하학적인 형태상 정형식 정원에 도입이 용이했던 정원 미로는 이후 취향의 변화 등으로 정원의 요소로서는 점차 쇠퇴하지만, 그 의미는 다른 형태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공간이면서 동시에 상징적인 장소이기도 한 미로와 지상에서 가장 안락한 장소인 정원이라는 두 요소가 만나 정원 미로라는 새로운 의미를 형성해 가는 과정을 조망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survey of the labyrinth/maze in gardens. The term 'garden labyrinth' may seem an oxymoron given that the garden represents the terrestrial paradise, while the labyrinth is a symbol of the most chaotic face of the world. I...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survey of the labyrinth/maze in gardens. The term 'garden labyrinth' may seem an oxymoron given that the garden represents the terrestrial paradise, while the labyrinth is a symbol of the most chaotic face of the world. In etymological and ontological terms, however, gardens are enclosed places and this characteristic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of the labyrinth, which is the one of the oldest signs in human civilization, symbolizing the paths of human life filled with uncertainty and complexity. The garden labyrinth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nd shapes since the Renaissance period. Literature and paintings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of the concepts of the garden labyrinth, especially in the form of the 'garden of love'. While the labyrinths in ancient and medieval times focused on plane shapes and symbolic and/or spiritual meanings, later garden labyrinths emphasized the three dimensional form and synesthetic pleasures. New patterns, which deviated from the classical unicursal form, emerged in the Petit Parc at Versailles in the 17th century. The garden labyrinth/maze was easy to adopt in formal gardens because of its geometric form, but for that reason, it went on to decline during the fad of picturesque garden. In this study, a brief history of labyrinths, the patterns, forms, and arrangement of the garden labyrinths in the formal gardens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and its meanings are review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Ovidius, "변신이야기" 민음사 2002

      2 박혜성, "미로에서의 공간 체험과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2000

      3 Attali, Jacques, "미로: 지혜에 이르는 길" 영림카디널 1997

      4 봉일범, "미로" 시공문화사 2005

      5 김윤겸, "미궁과 미로의 구성원리에서 나타나는 공간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24 (24): 487-490, 2004

      6 Cooper, J. C., "그림으로 보는 세계 상징 문화 사전" 까치 2001

      7 강민성, "건축놀이: 미로, 피복, 텍토닉"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8 Kern, Hermann, "Through the Labyrinth: Designs and Meanings over 5,000 Years" Prestel 2000

      9 Tafuri, Manfredo, "The Sphere and the Labyrinth: avant-gardes and architecture from Piranesi to the 1970s" MIT Press 1987

      10 Pérez-Gomez, Alberto, "The Myth of Daedalus" 10 : 49-52, 1985

      1 Ovidius, "변신이야기" 민음사 2002

      2 박혜성, "미로에서의 공간 체험과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2000

      3 Attali, Jacques, "미로: 지혜에 이르는 길" 영림카디널 1997

      4 봉일범, "미로" 시공문화사 2005

      5 김윤겸, "미궁과 미로의 구성원리에서 나타나는 공간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24 (24): 487-490, 2004

      6 Cooper, J. C., "그림으로 보는 세계 상징 문화 사전" 까치 2001

      7 강민성, "건축놀이: 미로, 피복, 텍토닉"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2

      8 Kern, Hermann, "Through the Labyrinth: Designs and Meanings over 5,000 Years" Prestel 2000

      9 Tafuri, Manfredo, "The Sphere and the Labyrinth: avant-gardes and architecture from Piranesi to the 1970s" MIT Press 1987

      10 Pérez-Gomez, Alberto, "The Myth of Daedalus" 10 : 49-52, 1985

      11 Wright, Craig, "The Maze and the Warrior: Symbols in Architecture, Theology, and Music"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12 Oechslin, Werner, "The Labyrinth as the Apotheosis of Garden Architecture" 3 : 52-58, 1982

      13 Lazzaro, Claudia, "The Italian Renaissance Garden" Yale University Press 1990

      14 Doob, Penelope Reed, "The Idea of the Labyrinth from Classical Antiquity to the Middle Ages" Cornell University Press 1990

      15 Conan, Michel, "The Conundrum of Le Nôtre's Labyrinthe, Garden History: Issues, Approaches, Methods"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119-150, 1992

      16 Thacker, Christopher, "That Long Labyrinth of Darkness: The Landscape Garden and the Maze" 3 : 59-69, 1982

      17 Serlio, Sebastiano, "Sebastiano Serlio on Architecture: Translated from the Italian with an Introduction and Commentary by Vaughan Hart and Peter Hicks" Yale University Press 1996

      18 Alberti, Leon Battista, "On the Art of Building in Ten Books Trans" The MIT Press 1989

      19 Weiss, Allen S., "Mirrors of Infinity: The French Formal Garden and 17th-Century Metaphysics"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1995

      20 Matthews, William Henry, "Mazes and Labyrinths: Their History and Development" Dover 1922

      21 Pennick, Nigel, "Mazes and Labyrinths" Robert Hale Ltd 1996

      22 Brunon, Hervé, "Le jardin comme labyrinthe du monde" PU Paris-Sorbonne 2008

      23 Colliectif, "Labyrinthes: du mythe au virtuel" Paris-Musée 2003

      24 Carpeggiani, Paolo, "Labyrinth in the gardens of the Renaissance, The History of Garden Design: The Western Tradition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Day" Thames & Hudson 84-87, 1990

      25 Jung, Carl Gustav, "Introduction à l'essence de la mythologie. L'enfance divin, la jeune fille divine" Payot & Rivages 2001

      26 Hunt, John Dixon, "Greater Perfections: The Practice of Garden Theory" Thames & Hudson 2000

      27 Foucault, Michel, "Dits et écrits 1954-1988, IV, 1980-1988" Gallimard 1994

      28 Ferrari, Giovanni Battista, "De Florum Cultura Libri Ⅳ" excudebat Stephanus Paulinus 1633

      29 Colomina, Beatriz, "Architectureproduction, This is not Architecture: Media Constructions" Routledge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