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ESG 인지 유무에 따른 ESG 차이와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권역 A대학교 재학생 113명이다. SPSS 25.0과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ESG 인지 유무에 따른 ESG 차이와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권역 A대학교 재학생 113명이다. SPSS 25.0과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ESG 인지 유무에 따른 ESG 차이와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청권역 A대학교 재학생 113명이다. SPSS 25.0과 엑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IPA 분석,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그리고 현재 인식 수준 및 중요도 간의 차이를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ESG 인지 유무에 따른 ESG 현재 인식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ESG 현재 인식 수준과 하위영역인 Environment 현재 인식 수준, Social 현재 인식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Governance 현재 인식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ESG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ESG 중요도와 하위영역인 Environment 중요도, Social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Governance 중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ESG를 인지하고 있는 예비유아교사의 ESG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 HH 항목과 Borich의 요구도 분석의 우선순위에서 도출된 공통 항목은 ‘12.유아교육기관의 부적절한 경영 승계 수단 방지’, ‘13.유아교육기관 구성원(조직원)의 횡령 등 비도덕적 행위 방지’, ‘14.유아교육기관의 지배구조 건전성 노력’으로 투명한 유아교육기관 운영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결과이다. 셋째, ESG를 인지하고 있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의 ESG에 대한 교육 요구도 분석 결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에서 1사분면 HH 항목과 Borich의 요구도 분석의 우선순위에서 도출된 공통 항목은 나타나지 않았지만, Borich의 요구도 분석결과에서 3순위는 The Locus for Focus Model의 우선순위로 도출되어 ‘10.유아교육기관의 협력사 공정거래, 부패방지, 윤리경영 확보방침 수립 및 실행’을 가장 우선순위로 지원해 주어야 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과의 ESG 교과목 도입에 있어 윤리 및 도덕, 철학, 조직행동론, 리더십, 사회적 책임 등의 교육내용으로 구성한 교과목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를 바탕으로 ESG 경영 측면에서 유아교육 적용 융합과목을 제안하고자 한다.
유아의 자기통제가 적응과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메타분석
부모로서 경험한 유아교사의 교사와 부모 관계에 대한 질적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