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 『내일의 태양』 원작소설과 영화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iginal Novels and Films of ‘When you cross the hill’ and ‘The sun of tomorrow’ of Park Hwa-su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방 후 단편 소설만 발표했던 박화성은 1955년 한국일보에 장편 『고개를 넘으면』을 연재하였고 문단과 신문 독자층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고개를 넘으면』(1955)과 이후 발표된 『내일의 태양』(1958)은 각각 1959, 1962년에 영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함께 주목할 만하다.
      박화성은 젊은 세대의 연애와 결혼을 중심으로 한 서사에서 여성, 가족, 세대 간의 문제 등을 다양하게 다루면서 전후의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부정적인 과거와 계승해야 할 전통을 선별하고 새롭게 꾸려지는 가정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고 있다. 소설 『고개를 넘으면』의 친부 찾기 테마와, 『내일의 태양』의 총각과 이혼녀의 커플 결합기는 표면적으로는 출생의 비밀과 통속적인 연애를 통해 그려지고 있다는 점에서 신문소설로서 소비되고 영화화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영화화되면서, 작가의 계몽적 의도가 투영된 현실 인식과 여성 인물의 특성이 상이한 방향으로 변이되면서 신파성과 가족주의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소설 『고개를 넘으면』에서는 ‘부모 찾기’보다 ‘부부 되기’가 더 중요한 주제가 됨으로써 혈연주의를 기반으로 한 일의적 가족주의에 균열을 낸다. 또한 횡적으로는 설희를 비롯한 새로운 젊은 세대의 결합을 이루면서 종적으로는 장훈의 대를 건너 젊은 세대가 독립운동가였던 조부 혁암선생과 직접 결합되도록 결말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국가주의에 포섭되지 않을 수 있는 역사적 주체를 상상한 것으로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새로운 세대와 가정에 대한 작가의 기대가 축소되고 설희의 친부 찾기에 집중하여 신파성을 높이고, 아버지를 수용하고 원가족이 결합되는 결말로 각색하면서 가족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각색 과정에서, 자신과 가족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통해 성장하는 여성 주체의 모습이 누락되었다.
      박화성의 소설 『내일의 태양』은 초혼에 실패 후 ‘헌계집’이라는 낙인의 자리에서 초인적인 노력을 기울여 전통적인 관습을 깨고 재혼에 이르는 남희라의 투쟁기로, 연재 도중에 영화사와 계약하고 1962년 영화가 개봉하였다. 소설에는 결혼이 전(前) 세대로부터의 인정과 자유를 가능케하는 주권을 획득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으나, 영화에서는 결혼이 남성을 보조하며 훌륭한 자식을 낳기 위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소설 속에서 새로운 가정을 지향하게 하는 근본적 조건인 전후 현실과 관련된 서사적 요소와 캐릭터가 사라지는 한 편 새로운 연애와 결혼을 지향하며 슈퍼우먼과 같이 그려졌던 희라와 희숙 자매의 모습이 고부갈등의 피해자와 부박한 아프레걸로 각색되어 큰 낙차를 보인다.




      주제어: 문학의 영화화, 전후, 세대 담론, 결혼, 혈연주의, 국가주의, 슈퍼우먼
      번역하기

      해방 후 단편 소설만 발표했던 박화성은 1955년 한국일보에 장편 『고개를 넘으면』을 연재하였고 문단과 신문 독자층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고개를 넘으면』(1955)과 이...

      해방 후 단편 소설만 발표했던 박화성은 1955년 한국일보에 장편 『고개를 넘으면』을 연재하였고 문단과 신문 독자층 모두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고개를 넘으면』(1955)과 이후 발표된 『내일의 태양』(1958)은 각각 1959, 1962년에 영화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함께 주목할 만하다.
      박화성은 젊은 세대의 연애와 결혼을 중심으로 한 서사에서 여성, 가족, 세대 간의 문제 등을 다양하게 다루면서 전후의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부정적인 과거와 계승해야 할 전통을 선별하고 새롭게 꾸려지는 가정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고 있다. 소설 『고개를 넘으면』의 친부 찾기 테마와, 『내일의 태양』의 총각과 이혼녀의 커플 결합기는 표면적으로는 출생의 비밀과 통속적인 연애를 통해 그려지고 있다는 점에서 신문소설로서 소비되고 영화화가 될 수 있었다. 그러나 영화화되면서, 작가의 계몽적 의도가 투영된 현실 인식과 여성 인물의 특성이 상이한 방향으로 변이되면서 신파성과 가족주의가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소설 『고개를 넘으면』에서는 ‘부모 찾기’보다 ‘부부 되기’가 더 중요한 주제가 됨으로써 혈연주의를 기반으로 한 일의적 가족주의에 균열을 낸다. 또한 횡적으로는 설희를 비롯한 새로운 젊은 세대의 결합을 이루면서 종적으로는 장훈의 대를 건너 젊은 세대가 독립운동가였던 조부 혁암선생과 직접 결합되도록 결말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국가주의에 포섭되지 않을 수 있는 역사적 주체를 상상한 것으로 새롭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새로운 세대와 가정에 대한 작가의 기대가 축소되고 설희의 친부 찾기에 집중하여 신파성을 높이고, 아버지를 수용하고 원가족이 결합되는 결말로 각색하면서 가족주의를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각색 과정에서, 자신과 가족에 대한 성찰의 시간을 통해 성장하는 여성 주체의 모습이 누락되었다.
      박화성의 소설 『내일의 태양』은 초혼에 실패 후 ‘헌계집’이라는 낙인의 자리에서 초인적인 노력을 기울여 전통적인 관습을 깨고 재혼에 이르는 남희라의 투쟁기로, 연재 도중에 영화사와 계약하고 1962년 영화가 개봉하였다. 소설에는 결혼이 전(前) 세대로부터의 인정과 자유를 가능케하는 주권을 획득하는 것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으나, 영화에서는 결혼이 남성을 보조하며 훌륭한 자식을 낳기 위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소설 속에서 새로운 가정을 지향하게 하는 근본적 조건인 전후 현실과 관련된 서사적 요소와 캐릭터가 사라지는 한 편 새로운 연애와 결혼을 지향하며 슈퍼우먼과 같이 그려졌던 희라와 희숙 자매의 모습이 고부갈등의 피해자와 부박한 아프레걸로 각색되어 큰 낙차를 보인다.




      주제어: 문학의 영화화, 전후, 세대 담론, 결혼, 혈연주의, 국가주의, 슈퍼우먼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경,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7-48, 2006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개정증보판" 도서출판 소도 2004

      3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개정증보판" 도서출판 소도 2004

      4 김미현,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 김미현,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 변재란, "전후영화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재현: <미망인>(박남옥감독)에서 <여판사>(홍은원감독)까지" 인문학연구소 36 (36): 137-170, 2017

      7 안미영, "전후 지식인의 연애 윤리-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회 4 : 151-178, 2010

      8 한영현, "전후 재건 공간의 영화적 재현과 계몽의 변증법 - 1950년대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회 34 : 195-220, 2018

      9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한국여성문학학회 (16) : 177-209, 2006

      10 김종욱, "일제강점기 박화성 소설의 지역성 연구 – 동반자작가로서의 위상과 관련하여" 한국현대문학회 (42) : 207-235, 2014

      1 김은경, "한국전쟁 후 재건윤리로서의 '전통론'과 여성" 아시아여성연구원 45 (45): 7-48, 2006

      2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개정증보판" 도서출판 소도 2004

      3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개정증보판" 도서출판 소도 2004

      4 김미현,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5 김미현, "한국영화사 開化期에서 開花期까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6 변재란, "전후영화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재현: <미망인>(박남옥감독)에서 <여판사>(홍은원감독)까지" 인문학연구소 36 (36): 137-170, 2017

      7 안미영, "전후 지식인의 연애 윤리-박화성의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세계한국어문학회 4 : 151-178, 2010

      8 한영현, "전후 재건 공간의 영화적 재현과 계몽의 변증법 - 1950년대 한국 영화를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회 34 : 195-220, 2018

      9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한국여성문학학회 (16) : 177-209, 2006

      10 김종욱, "일제강점기 박화성 소설의 지역성 연구 – 동반자작가로서의 위상과 관련하여" 한국현대문학회 (42) : 207-235, 2014

      11 박유희, "영화배우 최은희를 통해 본 모성 표상과 분단체제" 한국극예술학회 (33) : 129-164, 2011

      12 김경숙, "신문소설의 영화적 변용연구 - 정비석의 자유부인 그리고 한형모의 자유부인" 영화연구소 11 (11): 117-144, 2018

      13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58-1961" 공간과 사람들 2005

      14 한국영상자료원,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58-1961" 공간과 사람들 2005

      15 김종태, "발전 시대 이전 발전 담론의 위상: 1950년대 대중매체의 발전, 문명 인식" 한국사회학회 49 (49): 101-129, 2015

      16 서정자, "박화성의 해방 후 소설과 역사의식" 한국현대소설학회 (24) : 49-72, 2004

      17 김동윤, "박화성의 1950년대 신문소설 연구"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87-112, 2011

      18 한민영, "박화성 전후 장편소설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19 최창근, "박화성 소설 연구 : 1950-60년대 소설의 담론적 실천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20 변신원, "박화성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2001

      21 변신원, "박화성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2001

      22 서정자, "박화성 문학전집 제6권 내일의 태양" 푸른사상사 2004

      23 서정자, "박화성 문학전집 제3권 고개를 넘으면" 푸른사상사 2004

      24 이선미, "미국적 가치의 대중적 수용과 통제의 메카니즘- 1950년대 대중서사의 부부/가족 표상을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54) : 45-87, 2011

      25 강옥희, "문화콘텐츠로서 대중소설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연구-1950년대 대중소설을 중심으로" 대중서사학회 20 (20): 303-338, 2014

      26 "동아일보 기사"

      27 서정자, "눈보라와 휴화산의 문학" 문학춘추사 34-49, 1995

      28 "내일의 태양 시나리오"

      29 "경향신문기사"

      30 강지윤, "개인과 사회, 그리고 여성 - 1950∼1960년대 문학의 내면과 젠더" 민족문학사학회 (67) : 511-548, 2018

      31 이수형, "<광장>에 나타난 해방공간의 나라 만들기와 가족로망스" 한국현대소설학회 (38) : 269-291, 2008

      32 노지승, "1960년대, 근대 소설의 영화적 재생산 양상과 그 의미" 한국현대문학회 (20) : 503-534, 2006

      33 박유희,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 전환의 구조와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32) : 167-193, 2006

      34 김미향, "1950년대 전후소설에 나타난 가족 형상화와 그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43) : 227-253, 2010

      35 김은경, "1950년대 신생활운동 연구 - 가정개량론과 소비통제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11) : 203-240, 2009

      36 김진기, "1950년대 소설에 나타난 파시즘 연구 - 선우휘 소설에 나타난 가족주의를 중심으로 -" 상허학회 12 : 283-312, 2004

      37 김복순, "1950년대 박화성 소설에서의 대중성의 재편과 젠더" 대중서사학회 (26) : 229-260, 2011

      38 이봉범, "1950년대 문화정책과 영화 검열" 한국문학연구소 (37) : 409-467, 2009

      39 노지승, "1950년대 문화 수용자로서 여성의 자기표현과 영화 관람" 국제비교한국학회 18 (18): 177-216, 2010

      40 이호걸, "1950년대 대중서사와 남성성의 정치적 징후" 동악어문학회 (52) : 229-266, 2009

      41 최창근, "1950년대 국가주의 담론과 청년 문화"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3 : 201-225,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