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분점국회의 교착상태에서 본 양원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The Problem of Bicameralism Examined by an Analysis on the Gridlock in Divided Diet of Jap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4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Bicameralism is adopted because it is expected to represent various will of the people and prevent the thoughtlessness, absolutism, and decay of the Lower House. Accordingly, it is natural and rational that different parties take power of each House and the conflict between two Houses takes place. In Japan, by the advent of 'divided diet', the Diet is in the limelight of mass communication. But because of the gridlock caused by divided diet, a political vacuum takes place and Japanese people criticize the Diet. The cause of the gridlock is politicalization of Senate, a defect of the institution to settle conflicts between two Houses, the political culture based on precedent and agreement.


      To make use of merits of bicameralism, that is redundancy and representation, and to reduce the gridlock, by the case study on Japan's divided diet, two systems are indispensable. First, we must minimize the overlapping of two Houses within the limit of redundancy principle. Second, we must weaken the party discipline and strengthen autonomy of Senate, and rearrange the institution to settle conflicts between two Houses efficiently.
      번역하기

      Bicameralism is adopted because it is expected to represent various will of the people and prevent the thoughtlessness, absolutism, and decay of the Lower House. Accordingly, it is natural and rational that different parties take power of each House a...

      Bicameralism is adopted because it is expected to represent various will of the people and prevent the thoughtlessness, absolutism, and decay of the Lower House. Accordingly, it is natural and rational that different parties take power of each House and the conflict between two Houses takes place. In Japan, by the advent of 'divided diet', the Diet is in the limelight of mass communication. But because of the gridlock caused by divided diet, a political vacuum takes place and Japanese people criticize the Diet. The cause of the gridlock is politicalization of Senate, a defect of the institution to settle conflicts between two Houses, the political culture based on precedent and agreement.


      To make use of merits of bicameralism, that is redundancy and representation, and to reduce the gridlock, by the case study on Japan's divided diet, two systems are indispensable. First, we must minimize the overlapping of two Houses within the limit of redundancy principle. Second, we must weaken the party discipline and strengthen autonomy of Senate, and rearrange the institution to settle conflicts between two Houses efficien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제럴드 커티스(Gerald L. Curtis), "흔들리는 일본의 정당정치:전환기 일본 정치개혁의 구조와 논리" 한울 2003

      2 한배호, "한국정치문화와민주정치" 법문사 2003

      3 김준섭, "통치구조, In 일본정치론" 논형 161-190, 2007

      4 이시카와마쓰미(石川眞澄), "일본전후정치사: 일본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전개" 후마니타스 2006

      5 송주명, "일본의 개헌논의와 양원제의 개혁방향: 의원내각제의 집권적 재해석과 참의원 약화 구상" 13 (13): 143-165, 2007

      6 장달중, "세계화와전후정치체제의변화, In 세계화와일본의구조전환" 서울대학교 출판부 1-36, 2002

      7 김기석, "대통령제와 내각책임제 하에서의 연립정권 비교연구: 1990년대의 한국과 일본"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151-174, 2003

      8 임경훈, "대의민주주의의 원리와 대안, In 현대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43-76, 2003

      9 草野厚, "連立政權: 日本の政治" 文芸春秋 1999

      10 衆議院憲法調査會, "衆議院憲法調査會報告書"

      1 제럴드 커티스(Gerald L. Curtis), "흔들리는 일본의 정당정치:전환기 일본 정치개혁의 구조와 논리" 한울 2003

      2 한배호, "한국정치문화와민주정치" 법문사 2003

      3 김준섭, "통치구조, In 일본정치론" 논형 161-190, 2007

      4 이시카와마쓰미(石川眞澄), "일본전후정치사: 일본민주주의의 보수적 기원과 전개" 후마니타스 2006

      5 송주명, "일본의 개헌논의와 양원제의 개혁방향: 의원내각제의 집권적 재해석과 참의원 약화 구상" 13 (13): 143-165, 2007

      6 장달중, "세계화와전후정치체제의변화, In 세계화와일본의구조전환" 서울대학교 출판부 1-36, 2002

      7 김기석, "대통령제와 내각책임제 하에서의 연립정권 비교연구: 1990년대의 한국과 일본"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151-174, 2003

      8 임경훈, "대의민주주의의 원리와 대안, In 현대정치의 이해" 인간사랑 43-76, 2003

      9 草野厚, "連立政權: 日本の政治" 文芸春秋 1999

      10 衆議院憲法調査會, "衆議院憲法調査會報告書"

      11 自由民主, "第75回大會"

      12 岩井奉信, "立法過程: 現代政治學叢書" 東京大學出版會 1988

      13 川人貞史₩吉野孝, "現代の政と選擧" 有斐閣 2000

      14 21世紀臨調, "現下の政治姿勢に對する緊急提言"

      15 河野太郞, "機能不全の國會を改革する八つの方策" 2008

      16 이상윤, "日本의 參議院制度에 관한 硏究-參議院改革의 現代的 課題-" 한국헌법학회 8 (8): 191-235, 2002

      17 田中嘉彦, "日本國憲法制定過程における二院制諸案" 2004

      18 加藤一彦, "日本國憲法における第二院の役割: 參議院の憲法的値としての論據" 15 : 2007

      19 福元健太郞, "日本の國會政治: 全政府立法の分析" 東京大學出版會 2000

      20 21世紀臨調, "政治の構造改革" 東信堂 2002

      21 21世紀臨調, "政權選擇時代の政治改革課題に關する提言"

      22 石川眞澄, "戰後政治史" 岩波書店 2006

      23 蒲島郁夫, "戰後政治の奇跡: 自民システムの形成と容" 岩波書店 2004

      24 讀賣新聞社, "憲法改正: 讀賣試案" 中央公論社 2004

      25 口陽一, "憲法の國會議論:日本國憲法資料集" 三省堂 1994

      26 世界平和硏究所, "平和硏憲法試案"

      27 大山子, "國會學入門" 三省堂 2003

      28 岩井奉信, "國會を甦らせるために, In 政治の構造改革" 東信堂 2002

      29 國立國會書館, "國政課題の槪要: 第169回國會" (606) : 2008

      30 21世紀臨調, "參議院議員選擧のあり方に關する我の見解: 政權公約(マニフェスト)と參議院議員選擧の位置づけ"

      31 東大法₩第5期蒲島郁夫ゼミ, "參議院の硏究: 第2卷議員₩國會編" 木鐸社 2005

      32 東大法₩第5期蒲島郁夫ゼミ, "參議院の硏究: 第1卷選擧編" 木鐸社 2004

      33 田中嘉彦, "二院制をめぐる論点" 429 : 2003

      34 參議院憲法調査會, "二院制と參議院の在り方に關する小委員會調査報告書"

      35 田中嘉彦, "シリ一ズ憲法の論点6: 二院制" 國立國會書館調査及び立法調査局 2005

      36 濟同友會, "わが國の二院制の改革: 憲法改正による立法府の構造改革を"

      37 西澤利夫, "ねじれ國會を振り返る" 285 : 2008

      38 世界平和硏究所, "ねじれ國會の時代における國會改革に向けた緊急提言現下の政治情勢に對する緊急提言"

      39 篠原一, "ねじれ國會の政治的意味: 國會に討議型のデモクラシ一" 2008

      40 河野太郞, "ねじれこそ千載一遇のチャンス" 2008

      41 Curtis, L. Gerald, "The Logic of Japanese Politics: Leaders, Institutions, andthe Limits of Chang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42 Patterson, Samuel C, "Senates: Bicameralism in the Contemporary World"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99

      43 Mughan, Anthony, "Senates: A Comparative Perspective" 1999 : 333-349, 1999

      44 Patterson, Samuel C, "Senates and the Theory ofBicameralism" 1999 : 1-31, 1999

      45 Lijphart, Arend, "Patterns of Democracy: Government Forms and Performancein Thirty-six Countries" Yale University Press 1999

      46 Uhr, John, "Generating Divided Government: The Australian Senate" 1999 : 93-119, 1999

      47 Tsebelis, George, "Bicameralism" CambridgeUniversity Press 1997

      48 田中愛治他, "2009年、なぜ政權交代だったのか" 勁草書房 2010

      49 民主, "2008年度活動方針案"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7-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and World Politics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2 0.9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95 1.32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