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병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稿本): <알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2 (2): 67-84, 1977
2 김민수, "초기 국어문전 연구 - 특히 「대한문전」을 중심으로 하여 -" 통문관 1975
3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에 대한 형태 통사론적 접근" 국어학회 11 : 25-46, 1982
4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 일지사 5 (5): 126-144, 1979
5 김병문, "주시경의 근대적 언어 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6 고영근, "주시경 연구의 어제와 오늘" 주시경연구소 1 : 7-48, 1988
7 허웅, "주시경 선생의 학문" 동방학연구소 12 : 1-63, 1971
8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연구 - 형태론 성립과 그 계승" 문성출판사 1991
9 최낙복, "주 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한글학회 (281) : 145-178, 2008
10 최현배, "조선어품사분류론, In 조선어문연구, In 연희전문학교문과연구집 제1권" 연희전문학교출판부 51-99, 1930
1 이병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稿本): <알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2 (2): 67-84, 1977
2 김민수, "초기 국어문전 연구 - 특히 「대한문전」을 중심으로 하여 -" 통문관 1975
3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에 대한 형태 통사론적 접근" 국어학회 11 : 25-46, 1982
4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 일지사 5 (5): 126-144, 1979
5 김병문, "주시경의 근대적 언어 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6 고영근, "주시경 연구의 어제와 오늘" 주시경연구소 1 : 7-48, 1988
7 허웅, "주시경 선생의 학문" 동방학연구소 12 : 1-63, 1971
8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연구 - 형태론 성립과 그 계승" 문성출판사 1991
9 최낙복, "주 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한글학회 (281) : 145-178, 2008
10 최현배, "조선어품사분류론, In 조선어문연구, In 연희전문학교문과연구집 제1권" 연희전문학교출판부 51-99, 1930
11 이병근, "조선광문회 편 ≪말모이≫(사전)" 한국문화연구소 7 : 177-303, 1986
12 김민수, "이규영의 문법연구" 일지사 6 (6): 57-86, 1980
13 최낙복, "씨설정" 한글학회 1 : 69-97, 1988
14 이병근, "국어사전사 편고, In 한국어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15 안병희, "국어사자료의 서명과 권책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7 : 269-292, 1982
16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0
17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18 고영근, "1988년 이후의 주시경 연구의 흐름, In 한국의 언어연구" 역락 2001
19 김민수, "(증보판)주시경연구" 탑출판사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