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시경 문법에서의 ‘씨난’의 변천 과정 = A Study on the Changing Process of ‘Ssinan’ in Ju Si-gyung's Gramm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u, Si-gyung was the scholar who established a certain theoretical system about the Korean grammar in the earliest period, and his theory has still become the subject for examin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is writing examined how the establishment of categories specially on a unit of ‘gi’ or ‘ssi’ in his theory has changed. The essential contents about this matter could be summarized as acknowledgment of the predication of ‘hyeongyong/eot’(adjective), granting an independent category to ‘hyeongmyeong/eon’(determiner) and ‘hyeongseong/eok’(adverb), and the analysis of the verbal adnominal form & adverbial form, and its consequential new categorization of prepositions and the endings, etc. Such a process is not simply a terminological change, but it seems to join crisscross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his theory in general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nother grammatical concept of ‘byeonche’(transformed body) and its consequential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sentence.
      번역하기

      Ju, Si-gyung was the scholar who established a certain theoretical system about the Korean grammar in the earliest period, and his theory has still become the subject for examin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is writing examined how the establish...

      Ju, Si-gyung was the scholar who established a certain theoretical system about the Korean grammar in the earliest period, and his theory has still become the subject for examin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his writing examined how the establishment of categories specially on a unit of ‘gi’ or ‘ssi’ in his theory has changed. The essential contents about this matter could be summarized as acknowledgment of the predication of ‘hyeongyong/eot’(adjective), granting an independent category to ‘hyeongmyeong/eon’(determiner) and ‘hyeongseong/eok’(adverb), and the analysis of the verbal adnominal form & adverbial form, and its consequential new categorization of prepositions and the endings, etc. Such a process is not simply a terminological change, but it seems to join crisscross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his theory in general such as the introduction of another grammatical concept of ‘byeonche’(transformed body) and its consequential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sent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稿本): <알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2 (2): 67-84, 1977

      2 김민수, "초기 국어문전 연구 - 특히 「대한문전」을 중심으로 하여 -" 통문관 1975

      3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에 대한 형태 통사론적 접근" 국어학회 11 : 25-46, 1982

      4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 일지사 5 (5): 126-144, 1979

      5 김병문, "주시경의 근대적 언어 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6 고영근, "주시경 연구의 어제와 오늘" 주시경연구소 1 : 7-48, 1988

      7 허웅, "주시경 선생의 학문" 동방학연구소 12 : 1-63, 1971

      8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연구 - 형태론 성립과 그 계승" 문성출판사 1991

      9 최낙복, "주 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한글학회 (281) : 145-178, 2008

      10 최현배, "조선어품사분류론, In 조선어문연구, In 연희전문학교문과연구집 제1권" 연희전문학교출판부 51-99, 1930

      1 이병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稿本): <알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회 2 (2): 67-84, 1977

      2 김민수, "초기 국어문전 연구 - 특히 「대한문전」을 중심으로 하여 -" 통문관 1975

      3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에 대한 형태 통사론적 접근" 국어학회 11 : 25-46, 1982

      4 고영근, "주시경의 문법이론" 일지사 5 (5): 126-144, 1979

      5 김병문, "주시경의 근대적 언어 인식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2

      6 고영근, "주시경 연구의 어제와 오늘" 주시경연구소 1 : 7-48, 1988

      7 허웅, "주시경 선생의 학문" 동방학연구소 12 : 1-63, 1971

      8 최낙복, "주시경 문법의 연구 - 형태론 성립과 그 계승" 문성출판사 1991

      9 최낙복, "주 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한글학회 (281) : 145-178, 2008

      10 최현배, "조선어품사분류론, In 조선어문연구, In 연희전문학교문과연구집 제1권" 연희전문학교출판부 51-99, 1930

      11 이병근, "조선광문회 편 ≪말모이≫(사전)" 한국문화연구소 7 : 177-303, 1986

      12 김민수, "이규영의 문법연구" 일지사 6 (6): 57-86, 1980

      13 최낙복, "씨설정" 한글학회 1 : 69-97, 1988

      14 이병근, "국어사전사 편고, In 한국어사전의 역사와 방향" 태학사 2000

      15 안병희, "국어사자료의 서명과 권책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7 : 269-292, 1982

      16 이기문, "개화기의 국문연구" 일조각 1970

      17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18 고영근, "1988년 이후의 주시경 연구의 흐름, In 한국의 언어연구" 역락 2001

      19 김민수, "(증보판)주시경연구" 탑출판사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