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족어의 격 어미 및 부치사, 첨사 범주와 그 유형론적 함의 = A Study on Case-markers, Adpositions and Particles, and in Korean and their typological Impli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ase-markers, adpositions and particles in the Korean Descriptive Grammar and clarify their typological implications. The writer interpreted the early Westerner's grammatical cognitions in terms of the generative grammar and the recent theory of grammaticalization, demonstrating the validity of the three grammatical categories in Sung-Nyong Lee(1966). Moreover, by establishing Adpositions, namely postpositions the writer tidied up the belonging of semi-particles which had been blurred in classification of word-class. When compared with Tungusic, Mongolian and Turkish showing genetic and structural affinities to Korean, Korean shares with them those characteristics that case endings are built in monosyllabic and take morphophonemic alternation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preceding noun stems. Altaic Adpositions are similar to Korean in that their origins are nouns, verbs and adverbs. Korean has the richest particles among the Altaic languages; the interrogative particles of Middle Korean are shared with Tungusic and Mongoli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at while Altaic case endings combine with each other, Korean shows the free combination of case endings and particles.
      번역하기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ase-markers, adpositions and particles in the Korean Descriptive Grammar and clarify their typological implications. The writer interpreted the early Westerner's grammatical cognitions in terms of the generative grammar a...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case-markers, adpositions and particles in the Korean Descriptive Grammar and clarify their typological implications. The writer interpreted the early Westerner's grammatical cognitions in terms of the generative grammar and the recent theory of grammaticalization, demonstrating the validity of the three grammatical categories in Sung-Nyong Lee(1966). Moreover, by establishing Adpositions, namely postpositions the writer tidied up the belonging of semi-particles which had been blurred in classification of word-class. When compared with Tungusic, Mongolian and Turkish showing genetic and structural affinities to Korean, Korean shares with them those characteristics that case endings are built in monosyllabic and take morphophonemic alternation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of preceding noun stems. Altaic Adpositions are similar to Korean in that their origins are nouns, verbs and adverbs. Korean has the richest particles among the Altaic languages; the interrogative particles of Middle Korean are shared with Tungusic and Mongolia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that while Altaic case endings combine with each other, Korean shows the free combination of case endings and partic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희, "不定格의 定立을 위하여, In 東亞文化 6, In 현대국어문법" 계명대학교 출판부 1966

      2 최동주,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사적 고찰" 30 : 201-224, 1997

      3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4 고석주, "현대 한국어의 조사의 연구 (I)" 한국문화사 2004

      5 홍윤표, "현대 국어의 후치사 {가지고}" 14 : 25-40, 1984

      6 H. G. Underwood, "한영문법"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1890

      7 고영근, "한국의 언어 연구" 역락 2001

      8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9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의 판별기준과 구성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1

      10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 월인 2003

      1 안병희, "不定格의 定立을 위하여, In 東亞文化 6, In 현대국어문법" 계명대학교 출판부 1966

      2 최동주, "현대국어의 특수조사에 대한 통사적 고찰" 30 : 201-224, 1997

      3 유하라, "현대국어 조사의 배열 양상"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4 고석주, "현대 한국어의 조사의 연구 (I)" 한국문화사 2004

      5 홍윤표, "현대 국어의 후치사 {가지고}" 14 : 25-40, 1984

      6 H. G. Underwood, "한영문법"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1890

      7 고영근, "한국의 언어 연구" 역락 2001

      8 임동훈, "한국어 조사의 하위 부류와 결합 유형" 국어학회 (43) : 119-154, 2004

      9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의 판별기준과 구성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1

      10 목정수, "한국어 문법론" 월인 2003

      11 안주호, "한국어 명사의 문법화 현상 연구" 한국문화사 1997

      12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 유형론적 접근" 23 : 47-78, 1998

      13 최기용, "한국어 격과 조사의 생성 통사론" 한국문화사 2008

      14 "하스펠마트(M. Haspelmath)와 쾨니히(König)"

      15 고영근, "표준중세국어문법론(제3판)" 집문당 2010

      16 정인승, "표준중등말본" 아문각 1949

      17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2011

      18 정인승, "표준고등말본" 신구문화사 1956

      19 고영근, "특수조사의 의미 분석" 3 : 7-21, 1976

      20 이용성, "터키어" 이담 2012

      21 고영근, "최현배의 학문과 사상" 집문당 1995

      22 이희승, "초급국어문법" 박문출판사 1949

      23 언어 문학연구소, "조선어문법(1)"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1960

      24 과학원, "조선어 문법(1)"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과학원 언어문학연구소 1960

      25 김수경, "조선어 문법" 조선어문연구회 1949

      26 이극로, "조선말 임자씨의 토(1, 2, 3)" 3.3-3.4 : 1935

      27 김진형, "조사연속구성과 합성조사에 대하여" 2 (2): 59-72, 2000

      28 이숭녕, "조사 설정의 재검토" 대구대학 동양문화연구소 5 : 1966

      29 고영근,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일지사 1993

      30 최현배, "우리말본(최종판)" 샘문화사 1971

      31 최현배, "우리말본(고친판)" 정음사 1955

      32 최현배, "우리말본" 연희전문학교 출판부 1937

      33 허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5

      34 고영근, "역대한국문법의 통합적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35 고영근, "언어 유형론 노트(1)" 13 (13): 91-105, 2012

      36 유동석, "양태 조사의 통보 기능에 대한 연구" 60 : 1984

      37 P. Aalto, "알타어어 형태론 개설" 민음사 1985

      38 정렬모, "신편 고등국어문법" 한글문화사 1946

      39 고영근, "손호민의 The Korean Language(1999)에 대한 소견, In 손호민 선생 정년퇴임기념논문집"

      40 고영근, "석독 구결의 국어사적 가치" 3 : 1-28, 1998

      41 고영근, "민족어학의 건설과 발전" 제이앤씨 2010

      42 고영근, "민족어 동사 체계의 형태․통사론과 그 유형적 함의"

      43 김방한, "몽골어와 퉁구스어" 민음사 1986

      44 홍윤표, "근대국어연구(I)" 태학사 1994

      45 최규련, "국어의 초점사 현상" 한국문화사 2005

      46 김민수, "국어의 격에 대하여" 49-50 : 25-45, 1970

      47 서정수, "국어문법" 한세본 1994

      48 황화상, "국어 조사의 문법" 지식과 교양 2012

      49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50 유동석, "국어 매개 변인 문법" 신구문화사 1995

      51 이숭녕, "고등국어문법(개정판)" 1960

      52 이숭녕, "格의 獨立 品詞 是非" 3 : 1954

      53 이남순, "格과 格 標識" 월인 1998

      54 유시욱, "朝鮮文典, 프린트본, 영인본" 도서 출판 역락 2007

      55 안병희, "文法史"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5 : 1967

      56 이기문, "改訂 國語史槪說" 민중서관 1972

      57 趙奎卨, "所謂 助詞類의 連結考" 62-78, 1963

      58 이남순, "國語의 格 標識와 格助詞의 省略" 탑출판사 1988

      59 이숭욱, "國語文法體系의 史的 硏究" 일조각 101-116, 1973

      60 고영근, "國語形態論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61 이극로, "國語學論叢" 정음사 1948

      62 이기문, "國語史槪說(新訂版)" 태학사 1997

      63 고영근, "國語 文法의 硏究" 탑출판사 1983

      64 강복수, "國語 文法史 硏究" 형설출판사 1972

      65 이숭녕, "古語의 音韻과 文法" 문화당 1949

      66 이숭녕, "古典文法" 을유문화사 1954

      67 안병희, "中世國語文法論" 학연사 1990

      68 이숭녕, "中世國語文法(개정판)" 을유문화사 1981

      69 이숭녕, "中世國語文法" 을유문화사 1961

      70 B. Tokkanen, "converbs" 1112-1123, 2001

      71 W. Sasse, "Zur sequentiellen Ordnung der Nominal Endungen im Koreanischen" 11 : 153-166, 1975

      72 "Universals 2" W. de Gruyter 1112-1123,

      73 M. Tallerman, "Understanding Syntax(2nd ed.)" Arnold 2005

      74 이용성(LI Yong-Sǒng), "Türk Dillerinde Sontakılar [Die Postpositionen in den Turksprachen-deutsche Zusammenfassung]" LI Yong-Sǒng 2004

      75 Asli Göksel, "Turkish : a comprehensive grammar" Routledge 2005

      76 J. Kornfilt, "Turkish" Routledge 1997

      77 Anna Trofimova, "To the Problem of Postpositions in Udihe" 한국알타이학회 15 (15): 27-40, 2005

      78 조한슨, "The Turkic Languages" Routledge 1998

      79 손호민, "The Korean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80 H. Paul, "Prinzipien der Sprachgeschichte" Niemeyer 1968

      81 Injoo Choi-Joonin, "Particles and pospositions in Korean" 133-170, 2008

      82 R. Kullmann, "Mongolian Grammar" Ulaanbaatar 1996

      83 김주원, "Materials of Spoken Manchu" SNU Press 2008

      84 M. C. Imbault-Haurt, "Manuel de la langue coréenne parlée" Imprimerie Nationale 1889

      85 L. Gorelova, "Manchu Grammar" Brill 2002

      86 M. Haase, "Lokalkasus und Adposition, In Language Typology and Language Universals 1" de Gruyter 736-740, 2001

      87 Ch. Dallet, "La langue coréenne, In Histoire de l'église de Corée(Tome première)" Victor Parmé 1874

      88 에카르트, "Koreanische Konversations-Grammatik [歷文 24]"

      89 양인석, "Korean Syntax" 백합출판사 1973

      90 Homin Sohn, "Korean" Routledge 1994

      91 N. Poppe, "Khalkha-mongolische Grammatik" Franz Steiner Verlag 1951

      92 John Hinds, "Japanese" Routledge 2005

      93 L. de Roth, "Grammatik der koreanischen Grammatik" Abt. St. Benedikt 1936

      94 이성하, "Grammaticalization of Spatio-Temporal Postpositions in Korean" 언어과학회 1 (1): 169-188, 2004

      95 포페, "Grammar of Written Mogolian" Otto Harrassowitz 1954

      96 F. Ridel, "Grammaire Coréenne" Lévy et S. Salabelle 1881

      97 람스테트, "Einführung in Altaischen Sprachwissenschaft: II" Suomalais-Ugrilainen Seura 1952

      98 J. Benzing, "Die tungusischen Sprachen: Versuch einer vergleichenden Grammatik" Franz Steiner Verlag 1955

      99 B. Heine, "Conceptual Schift" Universität Köln 34/35 : 1993

      100 P. H. Buck, "Comparative Study of Postpositions in Mongolian Dialects" Ma 1956

      101 B. J. Blake, "Case, In The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2nd ed" Elsevier 2006

      102 L. de Rosny, "Apeçu de la langue coréenne" 6 (6): 287-325, 1864

      103 N. Tsujimura, "An Introduction to Japanese Linguistics" Blackwell 1996

      104 A. von Gabain, "Alttürkische Grammatik" Franz Steiner Verlag 1950

      105 Adler, Silvia, "Adpositions : pragmatic, semantic and syntactic perspectives" Benjamins

      106 C. Hagége, "Adposi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07 S. Adler, "Adpositions" Benjamains 2008

      108 유원수, "A Study of the Tacheng Dialect of the Dagur language"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8

      109 이용성, "A Study of the Middle Dialect of Chelym Language" SNU PRESS 2008

      110 이용성, "A Study of Dolga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1

      111 S. E. Martin, "A Reference Grammar of Korean" Turttle 1992

      112 G. J. Ramstedt, "A Korean Grammar" Suomalais-Ugrilainen 1939

      113 I. Nikolaeva, "A Grammar of Udihe" Mouton de Gruyter 2001

      114 김주원, "A Grammar of Ewen" SNU Press 2011

      115 서종학, "15세기 국어의 후치사 연구" 53 : 1982

      116 홍윤표, "15세기 국어의 격 연구" 21 :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