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의 문학사가 ‘지식인’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던 4·19세대 젊은 남성 작가들과 단편들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여성 작가의 장편들은 예외적인 자리에 놓이며 누락되어왔다. 하지만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11816
2019
-
4·19혁명 ; 여성 시민권 ; 박경리 ; 노을 진 들녘 ; 손장순 ; 한국인 ; Aprill 19 Revolution ; women's citizenship ; Park Kyong-ni ; Sohn Jang-soon ;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35(2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의 문학사가 ‘지식인’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던 4·19세대 젊은 남성 작가들과 단편들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여성 작가의 장편들은 예외적인 자리에 놓이며 누락되어왔다. 하지만 정...
1960년대의 문학사가 ‘지식인’의 위치를 점유하고 있던 4·19세대 젊은 남성 작가들과 단편들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여성 작가의 장편들은 예외적인 자리에 놓이며 누락되어왔다. 하지만 정치와 젠더의 자리가 교차되는 박경리의 『노을 진 들녘』과 손장순의 『한국인』에서 4·19혁명이 여성의 시민권을 새롭게 창출해내는 방식을 읽어내는 일은 한국문학사에서 ‘여성주의적 특수성’이라는 틀 안에 갇혀있던 지점을 허무는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박경리의 장편 『노을 진 들녘』에서 4·19 혁명의 의미는 주실과 같이 문명 바깥의 무지에 방치된 채 운명의 굴레에 얽매어있던 존재를 발견하고, 이 ‘구성적 외부’로서의 여성 시민권을 지각하는 데서 출발한다. 계몽과 학습을 시도하는 남성 앞에서 주실의 야생성이 끝내 어디에도 예속되거나 종속되지 않는다는 점은 중요하다.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길들여지지 않는 주실을 통해 박경리는 사회 안에서 여성 시민권의 한계를 직시하는 동시에 자유롭고 평등할 수 있는 다른 위반의 방식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손장순의 장편 『한국인』에서 한국 사회의 모든 부패와 냉소의 중요한 배경이 되는 것은 4·19 혁명의 의미에 대한 망각이다. 소설은 시민권의 문제가 비단 여성에게만 결별과 투쟁으로 획득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에 경제적으로 속박된 한국이라는 지정학적 맥락 아래서 한국남성에게도 역시 새로 획득되어야 하는 것임을 상기시킨다. 이때 여성시민권은 한국의 취약한 경제적 주권을 미국으로부터 독립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한국인’이라는 커다란 틀로 묶인 채, 여성 시민권은 남성 시민권의 획득과 협력적 긴장관계를 성공적으로 유지해내는 것이다.
여성 시민권은 당시 4·19 혁명의 효력이 발휘되어야 했지만 미완으로 남았던 표지 중 하나다. 이에 대해 당시 여성 작가들이 뜨거운 열망을 담은 채 던졌던 질문과 해석을 살피는 작업은 2010년대 후반 현재의 국면에 있어서도 여성문학이 나아갈 바를 재정립하는 데 있어 유용한 참조점을 던져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literary history of the 1960s was reorganized around the '4.19 generation' young male writers and short stories that occupied the position of 'intellectuals', the features of female writers were left out in an exceptional position. However, rea...
As the literary history of the 1960s was reorganized around the '4.19 generation' young male writers and short stories that occupied the position of 'intellectuals', the features of female writers were left out in an exceptional position. However, reading the way that the Aprill 19 Revolution revives the citizenship of women in Park Kyong-ni's "The Fields of the Light" and Sohn Jang-soon's "Koreans", where politics and gender stand in the intersection, It can be an important task to destroy the point that was trapped in the frame.
The meaning of the Aprill 19 Revolution in Park Kyong-ni's novel "The Fields of Nocturnal" was found in the ignorance of civilization outside of civiliza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wildness of the master in front of a man who is trying to enlighten and learn does not end up being subjugated or subordinate anywhere. Park Kyong-ni, through surviving to the last and not being tamed, is suggesting another way of violation that can face the limits of women 's citizenship in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be free and equal.
It is the obliv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Aprill 19 Revolution that is an important background of all corruption and cynicism in Korean society in the feature "Korean" of Sohn Jang-soon. The novel reminds us that the issue of citizenship should not be acquired only by women's separation and struggle, but should also be newly acquired by Korean men under the geopolitical context of Korea, which is economically tied to the United States. At this time, women 's citizenship can be a minimum starting point for constructing Korea' s weak economic sovereignty independently from the United States. Women 's citizenship is tied up with a big frame called' Koreans', and successful acquisition of male citizenship and cooperative tension.
Women's citizenship was one of the signs that the Aprill 19 Revolution had to be effective, but remained unfinished. The study of the questions and interpretations that the female writers threw at the time with a passion for fostering a useful reference point in reestablishing the progress of women's literature in the current phases of the late 2010s.
참고문헌 (Reference)
1 크리스티나 폰 브라운, "히스테리" 여이연 2003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2" 민음사 2002
3 칼 하인츠 보러, "절대적 현존" 문학동네 1998
4 미셸 푸코,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푸코-하버마스 논쟁 재론" 새물결 1999
5 김영미, "욕망의 좌절과 시기 감정: 1960년대 한국 엘리트의 감정 구조- 손장순의 <한국인> 중심으로 -" 비교문화연구소 46 : 1-20, 2017
6 캐롤 페이트먼, "여자들의 무질서" 도서출판 b 2018
7 김우영, "여성 지식인의 외부자 되기와 그 임계(臨界) : 손장순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7) : 63-90, 2016
8 방민호,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9 김영찬, "손창섭의 『길』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들" 세계문학비교학회 (47) : 35-58, 2014
10 손장순, "손장순 문학전집 1, 2" 푸른사상사 2009
1 크리스티나 폰 브라운, "히스테리" 여이연 2003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2" 민음사 2002
3 칼 하인츠 보러, "절대적 현존" 문학동네 1998
4 미셸 푸코, "자유를 향한 참을 수 없는 열망: 푸코-하버마스 논쟁 재론" 새물결 1999
5 김영미, "욕망의 좌절과 시기 감정: 1960년대 한국 엘리트의 감정 구조- 손장순의 <한국인> 중심으로 -" 비교문화연구소 46 : 1-20, 2017
6 캐롤 페이트먼, "여자들의 무질서" 도서출판 b 2018
7 김우영, "여성 지식인의 외부자 되기와 그 임계(臨界) : 손장순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7) : 63-90, 2016
8 방민호, "아프레게르와 손장순 문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9 김영찬, "손창섭의 『길』이 제기하는 몇 가지 문제들" 세계문학비교학회 (47) : 35-58, 2014
10 손장순, "손장순 문학전집 1, 2" 푸른사상사 2009
11 이혜경, "박경리의 『노을 진 들녘』에 나타난 여성성 연구 - 에코페미니즘적 관점을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44) : 313-352, 2015
12 조윤아,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폭력 희생자들의 원죄의식" 인문학연구원 (41) : 137-168, 2011
13 황호덕, "두명 윤병로 교수 정년기념 국어국문학논총" 국학자료원 2001
14 주디스 버틀러, "누가 민족국가를 노래하는가" 산책자 2008
15 박경리, "노을 진 들녘" 마로니에북스 2013
16 연세대학교 젠더연구소, "그런 남자는 없다―혐오사회에서 한국 남성성 질문하기" 오월의봄 2017
17 정혜경, "『사상계』 등단 신인여성작가 소설에 나타난 청년 표상" 우리어문학회 (39) : 579-609, 2011
18 김양선, "‘한국여류문학상’이라는 제도와 1960년대 여성문학의 형성" 한국여성문학학회 (31) : 121-147, 2014
19 김미란, "‘순수’한 청년들의 ‘평화’ 시위와 오염된 정치 공간의 정화 - 4월혁명기에 선호된 어휘에 대한 개념사적 접근을 중심으로" 상허학회 31 : 173-209, 2011
20 조연정, "‘무능한 남성’과 ‘불온한 예술가’, 그리고 '여성혐오'-여성주의 시각으로 김수영 문학을 '다시' 읽는 일" 한국시학회 (57) : 239-281, 2019
21 최원식, "4월 혁명과 한국문학" 창비 2002
22 백지연, "4.19 혁명과 젠더 평등의 의미 -강신재와 박경리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2 (22): 81-107, 2018
23 권보드래, "1960년을 묻다" 천년의 상상 2012
24 복도훈, "1960년대 한국 교양소설 연구 : 4·19 세대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4
25 이선미, "1960년대 여성지식인의 ‘자유’ 담론과 미국"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417-452, 2006
2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60년대 사회변화 연구: 1963~1970" 백산서당 1999
27 조윤아, "1960년 전후 박경리의 글쓰기에 나타난 역사의식 -『내 마음은 호수』·『노을진 들녘』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29 : 59-81, 2011
후위(後衛)의 공포와 전위(前衛)의 환상 :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장애인의 타자화된 몸과 윤리적 주체
다산 정약용의 강진 유배와 문학적 형상화 -『소설 목민심서』, 『다산』을 중심으로
4.19 혁명의 재현과 여성 시민권의 창출 -박경리와 손장순의 장편소설을 중점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5-1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7 | 1.07 | 0.9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5 | 0.9 | 1.801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