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령왕릉은 삼국시대 분묘유적 가운데 유일하게 묘(墓)의 주인공이 밝혀지고 도굴의 피해를 전혀 입지 않아 매장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유적이다. 고고학, 미술사학, 역사학, 서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무령왕릉은 삼국시대 분묘유적 가운데 유일하게 묘(墓)의 주인공이 밝혀지고 도굴의 피해를 전혀 입지 않아 매장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유적이다. 고고학, 미술사학, 역사학, 서지...
무령왕릉은 삼국시대 분묘유적 가운데 유일하게 묘(墓)의 주인공이 밝혀지고 도굴의 피해를 전혀 입지 않아 매장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유적이다. 고고학, 미술사학, 역사학, 서지학(書誌學), 보존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무령왕릉에 대한 연구를 축적해 왔으나, 대부분 묘제보다는 출토유물을 대상으로 한 것이었다. 따라서 본고는 묘제에 중점을 두고 사진 및 보고문 등 발굴 당시의 자료를 토대로 매장 당시의 모습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이는 무령왕릉 연구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자료의 한계로 연도부(羨道部)만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새로이 현문(玄門)과 제대(祭台)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청대(淸代)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 수록 <조선도(朝鮮圖)>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베트남 도자기의 현황과 자료적 가치
4세기대 함안 지역 토기의 변천과 영남 지방 토기의 양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