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8~19세기 전라도 나주목 자은도의 촌락편제와 인구변동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분석 자료는 『癸巳年正月日慈恩島家坐成冊』이다. 이 자료는 1893년에 자은도 주민들을 세금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4273
2018
Korean
전라도 ; 나주목 ; 자은도 ; 家坐成冊 ; 촌락 ; 인구 ; 세금 ; 목장 ; Jeolla Province ; Naju-mok ; Ja Eun Island ; Gajwaseongchack(家坐成冊) ; villages ; population ; tax ; horse field
KCI등재
학술저널
5-38(34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8~19세기 전라도 나주목 자은도의 촌락편제와 인구변동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분석 자료는 『癸巳年正月日慈恩島家坐成冊』이다. 이 자료는 1893년에 자은도 주민들을 세금 ...
이 글은 18~19세기 전라도 나주목 자은도의 촌락편제와 인구변동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분석 자료는 『癸巳年正月日慈恩島家坐成冊』이다. 이 자료는 1893년에 자은도 주민들을 세금 부과 대상자로 관리하기 위해 작성된 문서라는 점과 19세기 자은도의 촌락과 인구 정보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주목되었다.
18세기 자은도는 나주목 소속 35개의 부속도서 가운데 호구수는 2위, 인구수는 3위를 차지하였으며, 자은도 목장에서 말 300필을 방목하였다. 이러한 자은도의 인적․물적 기반은 서남해역의 邑治 후보지로 거론될 만큼 요충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9세기에 자은도의 호구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그 원인은 섬 주민들에게 부과되었던 세금 때문이었다. 19세기 자은도 주민들은 목장 운영을 비롯하여 토지세, 어망세, 염전세, 선박세 등 각종 부세 부담에 직면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prepared to review the changes of village system and population in Ja Eun Island, Naju-mok(羅州牧), Jeolla Province in 18th to 19th century. The analyzed data was ‘Ja Eun Island Gajwaseongchack(家坐成冊) in January Gesa Year...
This article is prepared to review the changes of village system and population in Ja Eun Island, Naju-mok(羅州牧), Jeolla Province in 18th to 19th century. The analyzed data was ‘Ja Eun Island Gajwaseongchack(家坐成冊) in January Gesa Year’. This has the value that was prepared to control the inhabitants of Ja Eun Island in 1893 for taxation and provided the village and population information of Ja Eun Island in 19th century.
Ja Eun Island was ranked as the second and third among 35 islands of Naju-mok in terms of number of households and population, respectively, in 18th century. They grazed 300 horses in the ranch established in the island. Because of its basis for population and materials, it was perceived as the strategic point enough to be considered as the candidate of Eupchi(邑治) in Southwest coast. However, the number of households was decreased drastically in 19th century because of various taxes to the inhabitants. The inhabitants of Ja Eun Island in 19th century faced the challenges of ranch operation as well as the tax burdens including real-estate tax, fishing net tax, salt pond tax, and so 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利川徐氏江湖公派譜 (庚午譜)"
2 "梁氏大同譜游擊公篇 (己未譜)"
3 "羅州牧邑誌"
4 "金海金氏家乘譜 (庚午譜)"
5 "金海金氏三賢派八都派譜 (甲子譜)"
6 "한국지명총람" 한글학회 1982
7 정진영, "촌락문서 연구현황과 과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85-113, 2006
8 조경만, "청산도의 농업환경과 문화적 적응에 관한 일고찰 부흥리 일대 수도작의 전통적 방식을 대상으로"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9 : 107-133, 1991
9 차명수, "조선후기의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증가: 네 족보에 나타난 1700~1899년간 생몰 기록을 이용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32 (32): 113-137, 2009
10 김경옥, "조선후기 도서연구" 혜안 2004
1 "利川徐氏江湖公派譜 (庚午譜)"
2 "梁氏大同譜游擊公篇 (己未譜)"
3 "羅州牧邑誌"
4 "金海金氏家乘譜 (庚午譜)"
5 "金海金氏三賢派八都派譜 (甲子譜)"
6 "한국지명총람" 한글학회 1982
7 정진영, "촌락문서 연구현황과 과제"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85-113, 2006
8 조경만, "청산도의 농업환경과 문화적 적응에 관한 일고찰 부흥리 일대 수도작의 전통적 방식을 대상으로"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9 : 107-133, 1991
9 차명수, "조선후기의 출산력, 사망력 및 인구증가: 네 족보에 나타난 1700~1899년간 생몰 기록을 이용한 연구" 한국인구학회 32 (32): 113-137, 2009
10 김경옥, "조선후기 도서연구" 혜안 2004
11 서호철, "조선 후기의 인구와 통치- 『일성록』 ‘헌민수’ 자료의 검토" 한국사회사학회 (74) : 215-250, 2007
12 이해준, "조도지역의 역사적 배경"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 : 63-92, 1984
13 김경옥, "열무정 사포계 : 조선후기 영암지방 활 쏘는 사람들의 조직" 혜안 2005
14 "신안통계연보"
15 "신안군지"
16 김경옥, "섬과 바다의 사회사" 민속원 2012
17 "輿地圖書"
18 "英祖實錄"
19 "苞山郭氏世譜 (戊辰譜)"
20 "癸巳年正月日慈恩島家巫成冊"
21 "牧羊地圖"
22 "湖南邑誌"
23 李鍾吉, "朝鮮後期 慶尙道地方 牧場釐 一考" 한국고문서학회 28 : 155-181, 2006
24 김경옥, "智島郡叢錄을 통해 본 19세기 서남해 도서지역의 위상변화" 호남사학회 (29) : 197-235, 2007
25 吳宖黙, "智島郡叢琑錄"
26 "晉州姜氏世譜 (癸亥譜)"
27 "昌寧成氏大同譜 (庚子譜)"
28 김건태, "戶名을 통해 본 19세기 職役과 率下奴婢" 한국사연구회 (144) : 201-238, 2009
29 "戶口總數"
30 "密城朴氏竹隱公派世譜 (壬子譜)"
31 "密城朴氏忠憲公派譜(丁丑譜)"
32 "原州李氏大同譜 (필사본)"
33 "全州李氏師傳公派譜 (필사본)"
34 "丹陽禹氏安靖公派譜 (戊寅譜)"
35 "世宗實錄"
36 김기혁, "『목장지도』에 나타난 17세기 국마(國馬) 목장의 분포와 변화" 부경역사연구소 (24) : 77-116, 2009
37 "4陽川許氏慈山公派世譜 (필사본)"
38 김준형, "19세기 전반 晉州 大谷里의 토지소유 양상과 신흥계층" 경남문화연구원 (33) : 197-228, 2012
39 김경옥, "19세기 전라도 진도목장의 운영 실태" 남도문화연구소 (32) : 357-387, 2017
40 허원영, "18세기 후반 순천부 농민의 존재양태와 농업경영 - <順天府西面家座冊>(1774) 분석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소 (47) : 43-86, 2013
41 임학성, "18세기 후반 洞里의 증가와 ‘新’里 생성 ―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 호서사학회 (49) : 133-169, 2008
42 임학성, "18~19세기 仁川 德積島 住民들의 거주 양상-金海 金氏 일가의 古文書 분석 사례-" 한국학연구소 (45) : 403-432, 2017
43 송양섭, "1896년 智島郡 創設과 西南海 島嶼 支配構造의 再編 ―吳宖默의 『智島郡叢刷錄』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26) : 197-243, 2007
44 송양섭, "1888년 영해부 호구분쟁에 나타난 戶政運營의 일단-호적색 윤일찬의 ‘捧賂減戶’에 대한 마을민의 등소 사례-" 조선시대사학회 (82) : 329-372, 201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4-01-1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71 | 1.169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