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동집합동산양도담보의 문제점과 등기제도의 개선방안 = The problem of current collective movable property transfer mortgage and improvement of registration syste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vable property has a limitation for being used as mortgage system such as the right of pledge because of its unstable disclosure system. According to the civil law, the right of pledge by occupation revision. Especially, validity of current collective movable property as transfer mortgage has been discussed because of its difficulty of specificity. Recently, to use movable property as mortgage, many countries are introducing disclosure system, that is registration.
      Hereupon, Korea and Japan which are following the civil law legislated a law for registration of movable property transfer mortgage. However, both contries are showing little of difference in the subject and object, and purpose and effectiveness of registration. I will suggest the problem through examine problems of both system. Although the system mentioned above is introduced, it does not mean that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approved. Also it does not mean that legal configuration and specific method etc.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developed in a new form.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approved, for legal configuration and specific problems, the existing theory has to be applied. However, according to new legislation, for being provided as mortgage, collective movable property can be the object of registration. So further research on this is required. To clarify registration of transfer for true transfer and mortgage is another problem occurred by introduction of new disclosure system. This can be led to dispute. Because, if it is considered as object of fraudulent, it can be changed to form of fake mortgage by mortgagor. Also, the extent of bona fide acquisition is became narrow.
      Even registration is realized, it does not mean that bona fide acquisition totally disappear, but it can bring stability to transaction system. Finally, vexatious process or expense of registration can cause disorder. In this aspect, related law has to be established. These few problems has to be researched continually. Accordingly, I hope that laws related to these problem are made.
      번역하기

      Movable property has a limitation for being used as mortgage system such as the right of pledge because of its unstable disclosure system. According to the civil law, the right of pledge by occupation revision. Especially, validity of current collecti...

      Movable property has a limitation for being used as mortgage system such as the right of pledge because of its unstable disclosure system. According to the civil law, the right of pledge by occupation revision. Especially, validity of current collective movable property as transfer mortgage has been discussed because of its difficulty of specificity. Recently, to use movable property as mortgage, many countries are introducing disclosure system, that is registration.
      Hereupon, Korea and Japan which are following the civil law legislated a law for registration of movable property transfer mortgage. However, both contries are showing little of difference in the subject and object, and purpose and effectiveness of registration. I will suggest the problem through examine problems of both system. Although the system mentioned above is introduced, it does not mean that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approved. Also it does not mean that legal configuration and specific method etc.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developed in a new form.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collective movable property is approved, for legal configuration and specific problems, the existing theory has to be applied. However, according to new legislation, for being provided as mortgage, collective movable property can be the object of registration. So further research on this is required. To clarify registration of transfer for true transfer and mortgage is another problem occurred by introduction of new disclosure system. This can be led to dispute. Because, if it is considered as object of fraudulent, it can be changed to form of fake mortgage by mortgagor. Also, the extent of bona fide acquisition is became narrow.
      Even registration is realized, it does not mean that bona fide acquisition totally disappear, but it can bring stability to transaction system. Finally, vexatious process or expense of registration can cause disorder. In this aspect, related law has to be established. These few problems has to be researched continually. Accordingly, I hope that laws related to these problem are ma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동산은 공시제도가 불안하여 질권과 같은 담보제도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를 가져왔다. 민법상점유개정에 의한 질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유동집합동산의 경우는 더욱 그 특정성이 어려워 양도담보로서의 유효성에 대해 논의가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세계적으로 동산을 담보로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기라는 공시제도를 도입하는 국가가 늘고 있는 추세가 되었다. 이에 대륙법계인 일본과 우리는 최근에 동산양도담보등기를 위한 입법이 마련된 것이다. 즉 양국의 입법은 등기의주체와 객체 그리고 등기의 목적과 효력 등에 대해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양 제도의 차이점들을살펴보면서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산을 양도하면서 등기를 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고,유동집합동산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도 아니고, 유동집합동산의 법적구성이나 특정방법 등이 새로운형태로 전개되는 것도 아니다. 유동집합동산은 이미 그 유효성을 인정받아왔기 때문에 특정의 문제나법적인 구성에서는 여전히 종래의 이론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본다. 그러나 새로 도입된 입법에 의하면 집합동산의 경우도 담보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등기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기에 이에대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공시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먼저, 진정양도와 담보를 위한 양도의 등기상의 구별 문제이다. 이는 분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사해행위의 대상이 되었을 경우에 설정자에 의한 가장담보의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선의취득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었다. 등기가 된다고 선의취득의 형태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거래의 질서에 상당정도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등기의 비용이나 절차의 번거로움이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관계법령의 제정에 주목된다. 이러한 몇 가지 문제점들은 계속적인 연구가필요한 분야임에는 틀림없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관계법령이 제정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동산은 공시제도가 불안하여 질권과 같은 담보제도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를 가져왔다. 민법상점유개정에 의한 질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유동집합동산의 경우는 더욱 그 특정성...

      동산은 공시제도가 불안하여 질권과 같은 담보제도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를 가져왔다. 민법상점유개정에 의한 질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유동집합동산의 경우는 더욱 그 특정성이 어려워 양도담보로서의 유효성에 대해 논의가 있어 왔다. 그런데 최근에 들어 세계적으로 동산을 담보로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등기라는 공시제도를 도입하는 국가가 늘고 있는 추세가 되었다. 이에 대륙법계인 일본과 우리는 최근에 동산양도담보등기를 위한 입법이 마련된 것이다. 즉 양국의 입법은 등기의주체와 객체 그리고 등기의 목적과 효력 등에 대해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양 제도의 차이점들을살펴보면서 문제점을 제시한다. 그런데 이러한 동산을 양도하면서 등기를 하는 제도가 도입되었다고,유동집합동산의 유효성이 인정되는 것도 아니고, 유동집합동산의 법적구성이나 특정방법 등이 새로운형태로 전개되는 것도 아니다. 유동집합동산은 이미 그 유효성을 인정받아왔기 때문에 특정의 문제나법적인 구성에서는 여전히 종래의 이론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고 본다. 그러나 새로 도입된 입법에 의하면 집합동산의 경우도 담보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등기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기에 이에대한 연구는 여전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공시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먼저, 진정양도와 담보를 위한 양도의 등기상의 구별 문제이다. 이는 분쟁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사해행위의 대상이 되었을 경우에 설정자에 의한 가장담보의 형태를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는, 선의취득의 범위가 줄어들게 되었다. 등기가 된다고 선의취득의 형태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거래의 질서에 상당정도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등기의 비용이나 절차의 번거로움이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관계법령의 제정에 주목된다. 이러한 몇 가지 문제점들은 계속적인 연구가필요한 분야임에는 틀림없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관계법령이 제정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준, "한국민법론" 박영사 6-260, 2004

      2 김창구, "채권양도의 공시에 관한 실무편람" 법률정보센타 210-212, 2011

      3 김용길, "집합물양도담보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4 강동욱, "집합동산의 양도담보 -유동집합동산의 양도담보를 중심으로-" 민사판례연구회 26 : 737-739,

      5 김인유, "집합동산양도의 새로운 공시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민사법학회 (31) : 359-395, 2006

      6 김재협, "집합동산양도담보와 과실수취권" 46 (46): 178-179, 1997

      7 고영태, "유동집합동산에 대한 양도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목적물의 범위, -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다22858 판결-" 부산판례연구회 17 : 186-212, 2006

      8 한국금융연수원, "여신법률(하)" 308-, 1991

      9 "법률신문, 2011. 3. 17"

      10 김규완, "민법학강의(제10판)" 신조사(서울) 416-507, 2011

      1 이영준, "한국민법론" 박영사 6-260, 2004

      2 김창구, "채권양도의 공시에 관한 실무편람" 법률정보센타 210-212, 2011

      3 김용길, "집합물양도담보에 관한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4 강동욱, "집합동산의 양도담보 -유동집합동산의 양도담보를 중심으로-" 민사판례연구회 26 : 737-739,

      5 김인유, "집합동산양도의 새로운 공시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민사법학회 (31) : 359-395, 2006

      6 김재협, "집합동산양도담보와 과실수취권" 46 (46): 178-179, 1997

      7 고영태, "유동집합동산에 대한 양도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목적물의 범위, -대법원 2004. 11. 12. 선고 2004다22858 판결-" 부산판례연구회 17 : 186-212, 2006

      8 한국금융연수원, "여신법률(하)" 308-, 1991

      9 "법률신문, 2011. 3. 17"

      10 김규완, "민법학강의(제10판)" 신조사(서울) 416-507, 2011

      11 고상룡, "민법총칙" 법문사 272-, 2003

      12 홍성재, "민법총칙" 도서출판 대영문화사 171-, 2005

      13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442-862, 2011

      14 법무부, "민법(재산편) 개정자료집 1" 391-518, 2004

      15 배병일, "물권법" 영남대학교출판부 186-602, 2008

      16 김증한, "물권법" 박영사 13-599, 2004

      17 곽윤직, "물권법" 박영사 11-409, 2004

      18 강태성, "물권법" 대명출판사 18-1348, 2009

      19 이은영, "물권법" 박영사 33-, 2003

      20 배성호, "동산양도공시제도의 개선방안" 한국재산법학회 23 (23): 45-79, 2006

      21 김재형, "담보제도의 개혁방안 - 동산 및 채권 담보를 중심으로 -" 한국법학원 (106) : 655-684, 2008

      22 양창수, "내용이 변동하는 집합적 동산의 양도담보와 그 산출물에 대한 효력" 30 (30): 115-, 1997

      23 전병서, "공증법제의 새로운 전개-2010 시행개정 공증인법의 소개를 겸하여-" 중앙대학교출판부 104-, 2010

      24 米昌 明, "讓渡擔保の硏究" 有斐閣 50-, 1976

      25 "日本 法務省 民事局"

      26 荒木新五, "新しい保證制度動産.債權讓渡登記制度" 日本法令 145-, 2005

      27 日本 法務省 民事局, "動産讓渡登記制度についで中(3)オンライン登記申請手續"

      28 池田眞朗, "動産債權讓渡特例法の制定の經緯と槪要" (642) : 4-, 2005

      29 植垣勝裕, "動産.債權讓渡特例法" 商事法務 35-36, 2005

      30 植垣勝裕, "債權讓渡の對抗要件に關する民法の特例法に關する法律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の解說(2)" (802) : 31-32,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1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권과정의 -> 인권과 정의
      외국어명 : 미등록 -> Human Right and Justic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47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