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지형패턴 분류방법(geomorphons)을 이용한 지형분류 - 중부 양산단층을 대상으로 - =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Geomorphons on the Middle Yangsan Fault System, Southeaster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량적인 지형분류 방법 중 형태적 특징에 따라 지형을 분류하는 지형패턴 분류방법(geomorphons)을 이용하여 양산단층 중부에 있는 활성단층인 벽계단층 일대를 대상으로 지형분류...

      본 연구는 정량적인 지형분류 방법 중 형태적 특징에 따라 지형을 분류하는 지형패턴 분류방법(geomorphons)을 이용하여 양산단층 중부에 있는 활성단층인 벽계단층 일대를 대상으로 지형분류를 수행하였다. 입력자료인 DEM과 분석을 수행할 때 설정할 수 있는 분석반경 및 평탄임계치 값을 조절하여 지형분류를 수행할 경우 분석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수 km의 공간을 대상으로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를 할 때, 5.0m 해상도의 DEM은 정밀한 지형분석에 어려움이 있었다. 분석반경은 10~30셀 사이에서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여기서 분석반경이 너무 작으면 실제 지형을 반영하기 힘들며 분석반경이 너무 크면 분석결과의 차이는 없고 분석 시간이 오래 걸렸다. 평탄임계치는 기본값을 사용할 경우 실제 지형을 반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는 지형의 형태적인 특징에 기반하여 지형을 분류하기 때문에 현장답사와 시각적 지형분류 결과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단계가 요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nstruction of high-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ith cell size smaller than 1m and the development of GIS technology enabled quantitative topographic classification. This study carried out the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the geomor...

      The construction of high-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DEM) with cell size smaller than 1m and the development of GIS technology enabled quantitative topographic classification. This study carried out the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the geomorphons, which categorize the terrain according to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tudy area is around the Byeokgye fault in the middle Yangsan Fault System. DEM, the analysis radius and the flatness threshold were changed to see how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would be different. The result indicated that it was difficult to perform precise topographic analysis when using a 5m resolution. In addition, the appropriate analysis radius were obtained between 10 and 30cells. The result also found it was difficult to reflect the actual landscape when the analysis radius was too small. If Outer Search Radius was set over 30cells, the result shows no difference regardless of Outer Search Radius. Flatness Threshold needs a optimized value rather than the default value (1°). In conclusion, he field surveys and visual classifications is essential because geomorphons has classified the landform based on the shape of the terra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 원리와 변수(parameter) 설정
      • 3.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 원리와 변수(parameter) 설정
      • 3. 지형패턴을 이용한 지형분류
      • 4. 논의
      • 5. 요약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석, "활성단층의 이해: 최근의 연구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 47 (47): 723-752, 2011

      2 탁한명, "한반도의 지형패턴 분류를 위한 최적변수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21 (21): 165-183, 2014

      3 국가활성단층연구단, "한반도 단층구조선의 조사 및평가기술 개발 표준 절차 및 지침"

      4 김동은,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한국지형학회 19 (19): 139-155, 2012

      5 김남신, "지형요소 지도화를 위한 기호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20 (20): 245-255, 2014

      6 김태호, "제주도 해안지대의 지형분류" 한국지형학회 10 (10): 33-47, 2003

      7 이민부, "위성영상을 이용한 추가령열곡 DMZ 지역의 지형면 분석" 한국지형학회 17 (17): 1-14, 2010

      8 임창복, "원자력발전소 부지에 적용하는 활동성 단층의 기준 및 그 배경" 대한지질학회 40 (40): 279-284, 2004

      9 류충렬, "양산단층 북부 일대의 최후기 지구조환경에 대해" 한국암석학회 27 (27): 173-184, 2018

      10 박수진, "생태환경 특성 파악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개발" 대한지리학회 39 (39): 495-513, 2004

      1 김영석, "활성단층의 이해: 최근의 연구에 대한 고찰" 대한지질학회 47 (47): 723-752, 2011

      2 탁한명, "한반도의 지형패턴 분류를 위한 최적변수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21 (21): 165-183, 2014

      3 국가활성단층연구단, "한반도 단층구조선의 조사 및평가기술 개발 표준 절차 및 지침"

      4 김동은,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한국지형학회 19 (19): 139-155, 2012

      5 김남신, "지형요소 지도화를 위한 기호제작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20 (20): 245-255, 2014

      6 김태호, "제주도 해안지대의 지형분류" 한국지형학회 10 (10): 33-47, 2003

      7 이민부, "위성영상을 이용한 추가령열곡 DMZ 지역의 지형면 분석" 한국지형학회 17 (17): 1-14, 2010

      8 임창복, "원자력발전소 부지에 적용하는 활동성 단층의 기준 및 그 배경" 대한지질학회 40 (40): 279-284, 2004

      9 류충렬, "양산단층 북부 일대의 최후기 지구조환경에 대해" 한국암석학회 27 (27): 173-184, 2018

      10 박수진, "생태환경 특성 파악을 위한 지형분류기법의 개발" 대한지리학회 39 (39): 495-513, 2004

      11 최진혁, "대규모 지진에 수반된 지표파열특성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대한지질학회 53 (53): 129-157, 2017

      12 송영석, "굴착 및 지표조사로 새롭게 발견된 중부 양산단층의 제4기 운동특성" 129-129, 2018

      13 오정식, "가음단층계의 선형구조 추출과 선형구조와 단층활동의 관련성" 한국지형학회 26 (26): 69-84, 2019

      14 Fisher, P., "Where is Helvellyn? Fuzziness of multi-scale landscape morphometry" 29 (29): 106-128, 2004

      15 Kee, W.-S., "South eastern fault variable research and DB Construction" KIGAM 2009

      16 Liao, W. H., "Region Description Using Extended Local Ternary Patterns" 2010

      17 Ryoo, C. -R., "Quaternary fault of Danguri, Gangdong-myeon, Gyeongju: Byeokgye fault" 334-, 1999

      18 Wood, J., "LandSerf: visualisation and analysis of terrain models"

      19 Stepinski, T. F., "Geomorphons-a new approach to classification of landforms" 109-112, 2011

      20 Jasiewicz, J., "Geomorphons - a pattern recognition approach to classification and mapping of landforms" 182 : 147-156, 2013

      21 탁한명, "GIS를 이용한 한반도 산지의 지형학적 분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22 김남신, "GIS를 이용한 거창, 가조분지의 선사유적 입지 지형요소별 유형화" 10 (10): 267-281, 2003

      23 Griffiths, J. S., "Encyclopedia of Geomorphology" Routledge 2004

      24 Choi, S. -J., "Active faults and seismic hazard map"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4-01-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4 1.14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3 1.701 0.5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