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 인식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Perceived Social Bonding: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21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연령통합 인식이 고령친화 환경인식과 사회결속력 인식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연구재...

      본 연구는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사회결속력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연령통합 인식이 고령친화 환경인식과 사회결속력 인식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연구재단의 한국사회기반연구사업(SSK)에서 진행된 ‘2017 연령통합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세에서 86세까지 성인 997명이였다.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WHO에서 제시한 고령친화도시가이드라인 항목을 활용하였으며, 연령통합인식은 연령유연성과 연령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측정하였다. 사회결속력 인식은 사회통합에 관한 측정도구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회적 자본 척도 가운데 신뢰와 사회응집력을 묻는 문항을 사용하 였다. 분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을 통제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친화 환경인식이 높을수록 대상자들의 사회결속력 인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친화 환경인식은 연령통합 인식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쳐 사회결속력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인구고령화로 인한 세대 간의 갈등을 완화하기 위한 고령친화 환경조성 및 연령통합인식 증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perceived social bonding.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between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perceived social bonding.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between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2017 Ages Integr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SSK). A total of 997 adults from 20 to 86 ears of ag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the age-friendly city guidelines set out by WHO a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was measured using questions that asked about age flexibility and age diversity. Also, the social capital scale was used to measure perception of social bonding. In order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were controll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employ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social bonding in a positive direction, controlling for age, gender, educational achievement and residential area. Second,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ge-friendly environment and perceived social bonding controlling for covariat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political and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omote age-friendly environment and age-integ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V.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V.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호, "활력있는 고령친화도시를 위한 정책제언" 155 : 1-12, 2012

      2 한겨레, "한국인 기대수명은 남녀 모두 세계 1위다"

      3 노대명, "한국 사회통합지표 연구" 사회통합위원회 2012

      4 이옥자, "패널자료를 활용한 주거환경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8 (28): 21-28, 2017

      5 어유경, "지역 사회자본의 노인문제 대응: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30): 275-306, 2016

      6 황광선,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 연구: 주택복지정책에 대한 함의" 서울연구원 14 (14): 57-72, 2013

      7 조인숙,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8 신화경,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주거학회 26 (26): 57-66, 2015

      9 김경호,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정책" 7 : 27-52, 2017

      10 정순둘,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환경과 연령다양성의 관계: 연령집단별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35, 2017

      1 임호, "활력있는 고령친화도시를 위한 정책제언" 155 : 1-12, 2012

      2 한겨레, "한국인 기대수명은 남녀 모두 세계 1위다"

      3 노대명, "한국 사회통합지표 연구" 사회통합위원회 2012

      4 이옥자, "패널자료를 활용한 주거환경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8 (28): 21-28, 2017

      5 어유경, "지역 사회자본의 노인문제 대응: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30 (30): 275-306, 2016

      6 황광선, "주택점유형태에 따른 주거환경과 주거만족 연구: 주택복지정책에 대한 함의" 서울연구원 14 (14): 57-72, 2013

      7 조인숙,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4

      8 신화경,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 한국주거학회 26 (26): 57-66, 2015

      9 김경호,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노인복지정책" 7 : 27-52, 2017

      10 정순둘, "자녀교류, 사회적 교류, 고령친화적환경과 연령다양성의 관계: 연령집단별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5-35, 2017

      11 유영림, "임금피크제의 연령통합적 성과: 노동자 관점에서 이해하기" 한국노년학회 36 (36): 827-846, 2016

      12 김세돈, "인구의 고령화를 대비한 노후보장제도의 재정립" 12 (12): 205-234, 2006

      13 정경희, "인구고령화와 연령통합 사회" 1 : 11-26, 2004

      14 황시영, "울산, WHO 고령친화도시 인증. 살기좋은 도시 만들자" 울산발전연구원 (129) : 2017

      15 정순둘, "연령통합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연령집단별 비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261-285, 2016

      16 정순둘, "연령통합과 고령친화도시" 289-290, 2014

      17 이세규, "에이징 인 플레이스와 도시재생" 좋은땅 2014

      18 김경혜, "서울시 고령친화도 평가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19 안현찬, "살던 곳에서 활기차게 늙어가고 싶은 노인들을 위한 도시" 18-19, 2017

      20 노대명, "사회통합의 실태와 과제" 15 : 1-8, 2009

      21 정해식, "사회통합의 결정요인 : 통합상태를 중심으로" 221 : 23-35, 2015

      22 우선희, "사회통합 인식수준의 국제비교" 245 : 24-36, 2017

      23 정해식, "사회통합 실태 및 대응방안(III); 사회통합 국민인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24 정순둘, "노인이 인식하는 고령친화도시 조성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주민참여환경, 주거환경, 복지 및 의료환경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9-46, 2015

      25 오찬옥, "노인의 관점에서 본 동네환경의 노인친화도 -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비교연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4 (24): 217-226, 2015

      26 김형익, "노인의 경제, 사회적 특성에 따른노인 연령기준에 대한 연구" 32 : 161-180, 2013

      27 김순은, "노인문제와 지역사회자본 조사결과 보고서" 고령사회와 사회자본연구센터 2014

      28 이수연, "남녀 노인 세대갈등 현황과 통합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29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8, 2000

      30 최숙희, "고령화정책의 우선순위 분석" 삼성경제연구소. 2008

      31 정경희, "고령화시대가 요구하는 사회구성원리: 사회문화적 지체현상의 극복을 위하여" 1 : 48-59, 2004

      32 황남희, "고령친화 환경부문의 성과와 향후 추진방향" 216 : 52-63, 2014

      33 김영혜, "경기도 고령친화도시 조성연구" (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1

      34 Lui, C. W., "What makes a community age-friendly: A review of international literature" 28 (28): 116-121, 2009

      35 정순둘, "WHO 고령친화도시 실현가능성 분석 :서울특별시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65) : 109-130, 2014

      36 Shu-Ti Chiou, "Towards age-friendly hospitals and health services" Elsevier BV 49 : S3-S6, 2009

      37 Curre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1): 16-29, 1996

      38 Belsky, J., "The psychology of aging: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s" Cole Publishing Company 1999

      39 Kennedy, C., "The city of 2050: An age-friendly, vibrant, intergenerational community" 34 (34): 70-75, 2010

      40 Brown,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136-162, 1993

      41 Anderson, J. 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103 (103): 411-423, 1988

      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OECD Health Data 2015"

      43 Subramanian, S. V., "Neighborhood effects of the self-rated health of elders: Uncove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ructural and service-related neighborhoodenvironments" 61 (61): 153-160, 2006

      44 Shrout, P. E.,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7 (7): 422-445, 2002

      45 Uhlenberg, P., "Introduction why study age integration?" 40 (40): 261-266, 2000

      46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ge-friendly cities: Aguide" WorldHealth organization 2007

      47 Attias-Donfut, C., "Cultural andeconomic transfers between generations: One aspect of age integration" 40 (40): 292-300, 2000

      48 Riley, M. W., "Age integration conceptual and historical background" 40 (40): 266-270, 2000

      49 John R. Beard, "Age and the Environment: The Global Movement Towards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Informa UK Limited 29 (29): 5-11, 2014

      50 정경회,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