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Triton WR-1339 주사에 의한 고지혈증 유발 생쥐 신장에 미치는 참홑파래 추출물의 지방축적 억제 영향 = The Lipid Accumulation Suppressive Effect of Monostroma nitidum In kidney of Murine with hyperlipidemia induced by Triton WR-133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26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실험은 참흩파래 추출물의 항고지혈증 효과의 조사를 위해 시행된 것으로 ICR 생쥐에 Triton WR-1339(TX) 복강주사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참흩파래 추출물(30mg/kg)를 복강주사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신장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변화와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입자 축적양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TX 주사 후 신장조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형태변화는 콩팥소체의 혈관극과 요세관극 모두에서 단층편평상피인 보우만주머니의 외벽이 비후되어 단층입방상피의 형태로 바뀌었으며 요세관 공간도 확장되었다. 지방입자는 사구체 전지역, 근위곱슬세관, 원위곱슬세관 그리고 헨레고리에서 침착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입자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입자도 전 지역에서 월등하게 증가한 분포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TX 주사 후 참흩파래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보우만주머니 외벽세포의 비후와 요세관공간의 확장을 일부 콩팥소체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은 정상적인 신장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방입자는 TX 주사군에 비해 그 분포와 크기가 감소한 것 나타났으며, 또한 콜레스테롤입자도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 그 분포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흩파래 추출물은 TX 주사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생쥐에 대해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항고지혈증 효과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실험은 참흩파래 추출물의 항고지혈증 효과의 조사를 위해 시행된 것으로 ICR 생쥐에 Triton WR-1339(TX) 복강주사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참흩파래 추출물(30mg/kg)를 복강주사하여 시간의 ...

      본 실험은 참흩파래 추출물의 항고지혈증 효과의 조사를 위해 시행된 것으로 ICR 생쥐에 Triton WR-1339(TX) 복강주사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참흩파래 추출물(30mg/kg)를 복강주사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신장조직의 일반적인 형태변화와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입자 축적양상 변화를 관찰하였다. TX 주사 후 신장조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형태변화는 콩팥소체의 혈관극과 요세관극 모두에서 단층편평상피인 보우만주머니의 외벽이 비후되어 단층입방상피의 형태로 바뀌었으며 요세관 공간도 확장되었다. 지방입자는 사구체 전지역, 근위곱슬세관, 원위곱슬세관 그리고 헨레고리에서 침착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방입자의 크기도 증가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 입자도 전 지역에서 월등하게 증가한 분포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TX 주사 후 참흩파래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보우만주머니 외벽세포의 비후와 요세관공간의 확장을 일부 콩팥소체에서만 관찰할 수 있었으며, 대부분은 정상적인 신장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방입자는 TX 주사군에 비해 그 분포와 크기가 감소한 것 나타났으며, 또한 콜레스테롤입자도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 그 분포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흩파래 추출물은 TX 주사로 고지혈증이 유발된 생쥐에 대해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항고지혈증 효과를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nal tissues of ICR mous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ed with Monostroma nitidum extract(ME) after Triton WR-1339(TX) injection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lipid accumulation suppressive effect of ME. The renal tissues were obtained at hour 24, 48, and 72 after TX injection that were fixed in fromol-calcium solution and were cryocut. The tissue stained by H&E for general morphology, sudan black B for lipid and perchloric acid-naphthoquinone method for cholesterol. The parietal layer of Bowman's capsule is swelled as cuboidal type at hour 48 after TX injection and the lipid blot and cholesterol particle were noticeably increased in glomerulus than control of group and these appeared in convoluted tubule, collecting tubule, and Helen's loop. But the parietal layer of Bowman's capsule was shaped as squamous type that was looked like as normal morphology in ME treated group after TX injection and the lipld blot and cholestero1 particle were considerably decreased in glomerulus than TX group. A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mulation of lipid including cholesterol caused by TX injection were mitigated in renal tissues by the antihyperlipidermic effect of ME.

      번역하기

      Renal tissues of ICR mous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ed with Monostroma nitidum extract(ME) after Triton WR-1339(TX) injection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lipid accumulation suppressive effect of ME. The renal tissues were obtained at hour 24, ...

      Renal tissues of ICR mouse were intraperitoneally injeced with Monostroma nitidum extract(ME) after Triton WR-1339(TX) injection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the lipid accumulation suppressive effect of ME. The renal tissues were obtained at hour 24, 48, and 72 after TX injection that were fixed in fromol-calcium solution and were cryocut. The tissue stained by H&E for general morphology, sudan black B for lipid and perchloric acid-naphthoquinone method for cholesterol. The parietal layer of Bowman's capsule is swelled as cuboidal type at hour 48 after TX injection and the lipid blot and cholesterol particle were noticeably increased in glomerulus than control of group and these appeared in convoluted tubule, collecting tubule, and Helen's loop. But the parietal layer of Bowman's capsule was shaped as squamous type that was looked like as normal morphology in ME treated group after TX injection and the lipld blot and cholestero1 particle were considerably decreased in glomerulus than TX group. A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ccumulation of lipid including cholesterol caused by TX injection were mitigated in renal tissues by the antihyperlipidermic effect of M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