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저술(연구)은 연세대 소장 필사본 동사강목을 토대로 초고본, 수정본, 유통본의 내용을 검토하여, 동사강목의 편찬 및 유통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고려사 수택본의 내용이 실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47570
2013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번 저술(연구)은 연세대 소장 필사본 동사강목을 토대로 초고본, 수정본, 유통본의 내용을 검토하여, 동사강목의 편찬 및 유통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고려사 수택본의 내용이 실제 ...
이번 저술(연구)은 연세대 소장 필사본 동사강목을 토대로 초고본, 수정본, 유통본의 내용을 검토하여, 동사강목의 편찬 및 유통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고려사 수택본의 내용이 실제 동사강목 「고려편」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검토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저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동사강목의 초고본(1760년) 수정본(1781년) 유통본(1915년)을 비교 검토한다. 이를 통해 동사강목 편찬의 특징 및 당시 역사서의 편찬과 탄생 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약 20년 간 변화된 안정복의 역사인식을 살피고자 한다. 둘째, 고려사 手澤本에 註記된 내용을 정리하고, 동사강목에 인용된 각종 사론을 정리한다. 이 작업을 통해 동사강목 「고려편」의 자료가치를 검토하고, 부족한 고려왕조사 자료를 보완하고자 한다. 또한 동사강목 「고려편」은 단순히 고려사를 옮겨다 놓은 것이 아니라, 기존의 고려사를 보완하는 새로운 차원이 역사서임을 밝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