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의 존재증명은, 교학상의 개별적 문제를 논증의 소재로 삼고 있는 『유가론』이나 『유식론』과는 달리 雜染과 淸淨의 일체법, 번뇌-업-生의 잡염이라는 현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17386
2016
Korean
220
KCI등재
학술저널
9-39(3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의 존재증명은, 교학상의 개별적 문제를 논증의 소재로 삼고 있는 『유가론』이나 『유식론』과는 달리 雜染과 淸淨의 일체법, 번뇌-업-生의 잡염이라는 현실...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의 존재증명은, 교학상의 개별적 문제를 논증의 소재로 삼고 있는 『유가론』이나 『유식론』과는 달리 雜染과 淸淨의 일체법, 번뇌-업-生의 잡염이라는 현실적 측면과 세간 ․ 출세간의 청정이라는 이상적 측면에 걸친 일관된 교리조직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알라야식(혹은 異熟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해 6識만으로는 ① 번뇌와 ② 업과 ③ 生이라는 12연기(윤회)의 雜染도, 結生이후의 일련의 사태 이를테면 ④ 有色根의 執受(유지)도, ⑤ 識과 名色의 相依도, ⑥ 4食 중의 識食도, ⑦ 죽음(命終)도 불가능할뿐더러 ⑧ 세간과 ⑨ 출세간의 淸淨도, 나아가 ⑩ 멸진정 역시 그러하기 때문에 6識과는 별도의 실체로서 이와 동시에 존재하는 알라야식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좀 더 상론하면 첫째, 6識은 前滅後生하기 때문에, 다시 말해 前法(원인=能熏)이 존재할 때 後法(결과=所熏)은 아직 생겨나지 않았고, 後法이 존재할 때 전법은 이미 사라졌기 때문에 인과상속이 불가능하다.(①⑧⑨) 둘째, 結生의 화합識이 意識일 경우 동일 종류의 두 識이 同時俱轉한다는 과실이 야기된다.(③) 셋째, 6識은 언제 어디서나, 소연과 행상을 갖지 않는 동일種類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③④⑥⑩) 無性은 이 중 過未無體에 근거한 첫 번째 비판을 경량부 설에 대한 것이라 해설하였고, 중현의 전언에 따르면 두 번째 비판은 ‘동일根에 근거한 二識俱轉’의 상좌 설에 대한 것이며, 세 번째 비판대상 역시 동아시아 법상교가나 중현에 의하면 末經部의 上座部나 상좌 슈리라타 혹은 譬喩者 설로 확인된다.
그리고 6識이 關說되지 않은 ② 業雜染證, ⑤ 識․ 名色相依證, ⑦ 命終證의 경우 또한 세 번째 비판, 즉 이숙식을 6識에서 구하고 있는 경량부에 대한 비판이 전제된 것으로, 窺基는 『성유식론』의 心染淨證과 識․ 名色相緣證과 生死心證에 대해 해설하면서 이를 경량부/上座部 설로 평석하고 있다.
『섭대승론』의 저자 무착 또한 알라야식 존재증명을 “色心이 無間으로 생겨날 때 [전찰나의 법은 후 찰나의] 제법의 종자가 된다”는 어떤 이의 주장에 대한 비판으로 총괄하였는데, 이는 『순정리론』에서 上座 슈리라타 설로 인용될 뿐더러 窺基 등 동아시아 법상교가는 경량부, 혹은 經爲量의 上座部(*Sthavirapāṣika)로 평석하였다. 이 같은 사실로 볼 때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 존재증명은 경량부의 6識종자설 비판을 전제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in Mahāyānasaṃgraha are done on consistent system of thoughts on pollutions(saṃkleśa: 雜染) of torment(kleśa) - act(karma) - birth(janma), and pure(vyavadāna: 淸淨) of worldly and none-worldly as all...
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in Mahāyānasaṃgraha are done on consistent system of thoughts on pollutions(saṃkleśa: 雜染) of torment(kleśa) - act(karma) - birth(janma), and pure(vyavadāna: 淸淨) of worldly and none-worldly as all things unlike Yogācārabhūmiśāstra and *Vijñaptimātratāsiddhiśāstra. They say that if ālayavijñāna doesnt exist, or as long as you claim the theory of seeds that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vijñāna) like Sautrāntika, explanation of not to mention birth and death, pollution and pure is impossible.
And Asaṅga concluded as a criticism on someones insistence - momentary arising and perishing matter(rūpa) and mind(citta) are the seeds of all existence -, this is quoted on Nyāyānusāraśāstra as Sthavira Srīlātas statement. K’uei-chi(窺基) and some others explained as elders school(上座部, *Sthavirapāṣika), who are those take the sūtra as a valid means of knowledge(經爲量, pramāṇikasūtra). To conclude, 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on Mahāyānasaṃgraha are also based on Sautrāntikas criticism of theory of seeds that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 like Yogācārabhūmiśāstr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민, "알라야識의 존재증명과 경량부(I) - 유가사지론』의 경우" 불교문화연구원 (70) : 9-40, 2015
2 권오민, "상좌 슈리라타와 무착과 중현, 그리고 세친" 불교문화연구소 (15) : 211-259, 2014
3 권오민, "불교철학에 있어 학파적 복합성과 독단성(2) 陳那의 『觀所緣緣論』에서의 외계대상 비판의 경우" 한국불교연구원 (33) : 41-97, 2010
4 김성철, "무성석 섭대승론 소지의분 역주" 씨아이알 2010
5 衆賢, "阿毘達磨順正理論"
6 五百大阿羅漢, "阿毘達磨大毘婆沙論"
7 世親, "阿毘達磨俱舍論"
8 彌勒, "瑜伽師地論"
9 世親, "攝大乘論釋"
10 無性, "攝大乘論釋"
1 권오민, "알라야識의 존재증명과 경량부(I) - 유가사지론』의 경우" 불교문화연구원 (70) : 9-40, 2015
2 권오민, "상좌 슈리라타와 무착과 중현, 그리고 세친" 불교문화연구소 (15) : 211-259, 2014
3 권오민, "불교철학에 있어 학파적 복합성과 독단성(2) 陳那의 『觀所緣緣論』에서의 외계대상 비판의 경우" 한국불교연구원 (33) : 41-97, 2010
4 김성철, "무성석 섭대승론 소지의분 역주" 씨아이알 2010
5 衆賢, "阿毘達磨順正理論"
6 五百大阿羅漢, "阿毘達磨大毘婆沙論"
7 世親, "阿毘達磨俱舍論"
8 彌勒, "瑜伽師地論"
9 世親, "攝大乘論釋"
10 無性, "攝大乘論釋"
11 世親, "攝大乘論釋"
12 無着, "攝大乘論本"
13 長尾雅人, "攝大乘論: 和譯 注解" 講談社 2001
14 無着, "攝大乘論"
15 窺基, "成唯識論述記"
16 太賢, "成唯識論學記"
17 護法, "成唯識論"
18 世親, "大乘成業論"
19 袴谷憲昭, "唯識思想論考" 大藏出版 2001
20 권오민, "上座 슈리라타의 ‘一心’과 알라야識" 한국불교학회 (70) : 193-223, 2014
21 권오민, "上座 슈리라타의 ‘一心’" 인도철학회 (40) : 5-41, 2014
22 U. Wogihara, "Abhidharmakośavyākhyā" Sankibo Buddhist Book Store 1989
23 P Pradhan, "Abhidharmakośabhāṣya" Kashi Prasad Jayaswal Research Institute 1976
24 P. S. Jaini, "Abhidharmadīpa with Vibhāṣāprabhāvṛtti" Kashi Prasad Jayaswal Research Institute 1973
觀音(Avalokitasvara)と 觀自在(Avalokiteśvara)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5 | 1.31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