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원 만세시위의 양상과 특징 =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weon area protests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Manse protests that took place in the Su’weon area during late March and early April 1919, when the Manse protests and the March 1st movement itself reached its peak. Activities in Su’weon are reviewed here in terms of leaders, methods, and how they were suppress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In Su’weon, Manse protests actively took place since its beginning during mid-March, and escalated till it reached its peak in late March, early April. In Seong’ho-myeon Osan-ri, Songsan-myeon Sagang-ri, Hyangnam-myeon Bal’an-ri, Jang’an-myeon Suchon-ri, and Wujeong-myeon Hwasu-ri, the Joseon people attacked Myeon centers, administrative offices(Jujae-so), postal offices and shops run by Japanese, even set fire on them, and killed Japanese police.
      The March 1st movement in Su’weon vividly shows us how a peaceful action that began on March 1st 1919 gradually turned into violent activism later on. With the Manse protests gaining momentum, people who had been serving at the very bottom of colonial ruling, like Myeonjang figures, clerks at the Myeon offices and even minor Gujang figures all began to plan violent attacks on whatever they found as colonial targets. In response to all these attacks, arsons and killings, the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 retaliated with bloody retribution, which also led to the Je’am-ri massacre.
      번역하기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Manse protests that took place in the Su’weon area during late March and early April 1919, when the Manse protests and the March 1st movement itself reached its peak. Activities in Su’weon are reviewed here in term...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Manse protests that took place in the Su’weon area during late March and early April 1919, when the Manse protests and the March 1st movement itself reached its peak. Activities in Su’weon are reviewed here in terms of leaders, methods, and how they were suppressed by the Colonial authorities.
      In Su’weon, Manse protests actively took place since its beginning during mid-March, and escalated till it reached its peak in late March, early April. In Seong’ho-myeon Osan-ri, Songsan-myeon Sagang-ri, Hyangnam-myeon Bal’an-ri, Jang’an-myeon Suchon-ri, and Wujeong-myeon Hwasu-ri, the Joseon people attacked Myeon centers, administrative offices(Jujae-so), postal offices and shops run by Japanese, even set fire on them, and killed Japanese police.
      The March 1st movement in Su’weon vividly shows us how a peaceful action that began on March 1st 1919 gradually turned into violent activism later on. With the Manse protests gaining momentum, people who had been serving at the very bottom of colonial ruling, like Myeonjang figures, clerks at the Myeon offices and even minor Gujang figures all began to plan violent attacks on whatever they found as colonial targets. In response to all these attacks, arsons and killings, the Joseon Governor General office retaliated with bloody retribution, which also led to the Je’am-ri massac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1. 수원 만세시위의 양상
      • 2. 수원 만세시위의 특징
      • 맺음말
      • 참고문헌
      • 머리말
      • 1. 수원 만세시위의 양상
      • 2. 수원 만세시위의 특징
      •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정은, "화성군 장안면 우정면 3.1운동" 9 : 1995

      2 김정인,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한울 2009

      3 서정민, "제암리교회 사건에 대한 일본측의 반응" 7 : 1997

      4 이용창, "재판 관련 기록으로 본 화성 장안·우정면 3·1만세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2) : 37-86, 2018

      5 김정인,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책과함께 2019

      6 최홍규, "수원지방의 3.1운동과 1920년대 민족운동" 6 : 2002

      7 박환, "수원군 우정면 화수리 3.1운동의 역사적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27 (27): 113-147, 2004

      8 이동근, "수원 3・1운동에서 천도교의 역할 - 우정・장안면을 중심으로 -" 7 : 2003

      9 박환, "근현대 전쟁 유적 그리고 평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김정인, "국내3.1운동-중부・북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 이정은, "화성군 장안면 우정면 3.1운동" 9 : 1995

      2 김정인,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한울 2009

      3 서정민, "제암리교회 사건에 대한 일본측의 반응" 7 : 1997

      4 이용창, "재판 관련 기록으로 본 화성 장안·우정면 3·1만세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62) : 37-86, 2018

      5 김정인, "오늘과 마주한 3.1운동" 책과함께 2019

      6 최홍규, "수원지방의 3.1운동과 1920년대 민족운동" 6 : 2002

      7 박환, "수원군 우정면 화수리 3.1운동의 역사적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27 (27): 113-147, 2004

      8 이동근, "수원 3・1운동에서 천도교의 역할 - 우정・장안면을 중심으로 -" 7 : 2003

      9 박환, "근현대 전쟁 유적 그리고 평화" 동북아역사재단 2011

      10 김정인, "국내3.1운동-중부・북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1 박환, "경기지역 3.1독립운동사" 선인 2007

      12 박환, "경기도 화성 송산지역의 3ㆍ1운동" 한국학중앙연구원 25 (25): 139-170, 2002

      13 김정인, "3·1 운동, 죽음과 희생의 민족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41 (41): 105-131, 2018

      14 이덕주, "3.1운동과 제암리사건" 7 : 1997

      15 신주백, "3.1운동 100년 3" 휴머니스트 2019

      16 김정인, "1919년 3월 1일 만세시위, 연대의 힘" 역사교육연구회 (147) : 387-416,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역사와 현실 -> 역사와 현실
      외국어명 : 미등록 -> YŎKSA WA HYŎNSIL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92 1.68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