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HEXACO를 기반으로 한 FIFA Online3 캐릭터의 포지션별 성격 적용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70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HEXACO를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캐릭터를 위한 캐릭터의 내면적 측면을 연구하 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FIFA Online3 캐릭터의 게임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HEXACO를 분석하였다. 캐릭터가 실존 선수의 모든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므로, 실제 선수의 외부 평가 키워드를 참고로 하여 실제 선수의 HEXACO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를 캐릭터의 HEXACO와 비교하여 캐릭터의 HEXACO를 보완하였다. 게임에 적용하기 위해 분 석한 캐릭터의 HEXACO를 각 포지션별로 나누어 단순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캐릭터에 HEXACO를 적용할 방법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HEXACO를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캐릭터를 위한 캐릭터의 내면적 측면을 연구하 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FIFA Online3 캐릭터의 게임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HEX...

      본 논문은 HEXACO를 활용하여 현실감 있는 캐릭터를 위한 캐릭터의 내면적 측면을 연구하 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FIFA Online3 캐릭터의 게임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기반으로 캐릭터의 HEXACO를 분석하였다. 캐릭터가 실존 선수의 모든 특성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므로, 실제 선수의 외부 평가 키워드를 참고로 하여 실제 선수의 HEXACO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 를 캐릭터의 HEXACO와 비교하여 캐릭터의 HEXACO를 보완하였다. 게임에 적용하기 위해 분 석한 캐릭터의 HEXACO를 각 포지션별로 나누어 단순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캐릭터에 HEXACO를 적용할 방법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ternal side of game character for realistic characters, applying the HEXACO theory. To achieve this, we analyzed FIFA Online3 character's HEXACO based on the chaTacter features in game. The character does not have the all of the attributes of the present player. Therefore we reference the actual external evaluation keyword of players and analyzed HEXACO of actual players. The HEXACO of the character was complemented, comparing with the player's HEXACO. In order to apply to the game the character's HEXACO was simplified and divided by each position.Finally, we suggested a method of applying the character's HEXACO.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ternal side of game character for realistic characters, applying the HEXACO theory. To achieve this, we analyzed FIFA Online3 character's HEXACO based on the chaTacter features in game. The character does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internal side of game character for realistic characters, applying the HEXACO theory. To achieve this, we analyzed FIFA Online3 character's HEXACO based on the chaTacter features in game. The character does not have the all of the attributes of the present player. Therefore we reference the actual external evaluation keyword of players and analyzed HEXACO of actual players. The HEXACO of the character was complemented, comparing with the player's HEXACO. In order to apply to the game the character's HEXACO was simplified and divided by each position.Finally, we suggested a method of applying the character's HEXAC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 2. 이론적 배경
      • 2.1 HEXACO 성격 이론
      • 2.2 FIFA Online3
      • 2.3 선행 연구
      • 1. 서 론
      • 2. 이론적 배경
      • 2.1 HEXACO 성격 이론
      • 2.2 FIFA Online3
      • 2.3 선행 연구
      • 3. FIFA Online3 선수 캐릭터 성격 연구 방법
      • 3.1 게임 캐릭터 성격 정의를 위한HEXACO 성격 이론의 적용 방법
      • 3.2 FIFA Online3 선수 캐릭터 성격 분석
      • 4. FIFA Online3 캐릭터의 포지션별HEXACO 분류
      • 5. 결 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익수, "캐릭터와 화면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게임캐릭터의 발전과정 연구" 한국영상학회 12 (12): 41-54, 2014

      2 이창숙, "캐릭터 성격에 따른 동일 감정 표현의 다양화를 위한 감정 조정 방안" 한국게임학회 10 (10): 37-48, 2010

      3 김미선,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성격을 적용하기 위한 G-HEXACO 타당화 연구: FIFA ONLINE3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15 (15): 7-18, 2015

      4 이동엽, "심리학적 도구 ‘5요인 성격 특성’에 의한 소셜 게임 연구; <심즈 소셜> 게임의 분석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9) : 129-149, 2012

      5 김석래,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을 위한 사실적 캐릭터 개발 핵심요소 -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 ‘Madden NFL’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111-120, 2013

      6 변민주, "성격유형 분석틀을 이용한 게임 캐릭터디자인의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1 (11): 219-230, 2010

      7 강선희, "성격 요인과 얼굴 외형의 상관분석을 통한 얼굴 시각화 시스템 개발" 한국디자인학회 24 (24): 229-240, 2011

      8 김미윤, "국내 온라인게임에 나타난 인물 캐릭터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7 (7): 71-94, 2006

      9 이상우, "게임 이미지의 특성 연구 - 캐릭터의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5 (25): 187-194, 2012

      10 "https://namu.wiki"

      1 임익수, "캐릭터와 화면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게임캐릭터의 발전과정 연구" 한국영상학회 12 (12): 41-54, 2014

      2 이창숙, "캐릭터 성격에 따른 동일 감정 표현의 다양화를 위한 감정 조정 방안" 한국게임학회 10 (10): 37-48, 2010

      3 김미선, "온라인 게임 캐릭터에 성격을 적용하기 위한 G-HEXACO 타당화 연구: FIFA ONLINE3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 15 (15): 7-18, 2015

      4 이동엽, "심리학적 도구 ‘5요인 성격 특성’에 의한 소셜 게임 연구; <심즈 소셜> 게임의 분석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9) : 129-149, 2012

      5 김석래,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을 위한 사실적 캐릭터 개발 핵심요소 -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 ‘Madden NFL’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111-120, 2013

      6 변민주, "성격유형 분석틀을 이용한 게임 캐릭터디자인의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1 (11): 219-230, 2010

      7 강선희, "성격 요인과 얼굴 외형의 상관분석을 통한 얼굴 시각화 시스템 개발" 한국디자인학회 24 (24): 229-240, 2011

      8 김미윤, "국내 온라인게임에 나타난 인물 캐릭터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7 (7): 71-94, 2006

      9 이상우, "게임 이미지의 특성 연구 - 캐릭터의 재현 방식을 중심으로"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5 (25): 187-194, 2012

      10 "https://namu.wiki"

      11 "http://www.soccerline.co.kr"

      12 "http://www.goal.com./kr"

      13 "http://www.goal.com./en"

      14 "http://www.ea.com/uk/news/the-backpage-fifa -12-attributes-guide"

      15 "http://fifaonline3.nexon.com"

      16 "http://fifaonline3.inven.co.kr"

      17 M. C. Ashton, "Trait and Source Factors in HEXACO-PI-R Self- and Observer Reports" 24 (24): 278-289, 2010

      18 John E. Williams,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Traits: A Cross-Cultural Study" Plenum Press 31-34, 1998

      19 M. C. Ashton, "The HEXACO–60:A Short Measure of the Major Dimensions of Personality" 91 (91): 340-345, 2009

      20 M. C. Ashton, "The HEXACO personality factors in the indigenous personality lexicons of English and 11 other language" 76 (76): 1001-1054, 2008

      21 M. C. Ashton, "The HEXACO Honesty-Humility, Agreeableness, and Emotionality Factors: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18 (18): 139-152, 2014

      22 M. C. Ashton, "The H Factor of Personality: Why Some People are Manipulative, Self-Entitled, Materialistic, and Exploitive-And Why It Matters for Everyone" Waterloo, Canada, Wilfrid Laurier University Press 2012

      23 M. C. Ashton,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39 (39): 329-358, 2004

      24 김남재, "OSMU를 위한 MMORPG 캐릭터 특성 분석"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429-434, 2012

      25 Max Birk, "Control Your Game-Self: Effects of Controller Type on Enjoyment, Motivation, and Personality in Game" 1-10, 2013

      26 Mizuki Sakamoto, "Analyzing the Effects of Virtualizing and Augmenting Trading Card Game based on the Player’s Personality" 348-357, 2013

      27 V Zammitto, "A Methodology for Incorporating Personality Modeling in Believable Game Characters" 1-8, 2008

      28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3 White Paper on Korean Game" 833-871,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Game Societ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69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