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망중립성 논쟁에 대한 뉴스 프레임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129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망중립성은 스마트기기의 대중화와 함께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이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망중립성 논쟁이라는 이슈에 종합일 간지, 경제전문지, IT전문지의 보도 프레임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총 31개 기사의 173개 문단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매 체 유형별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x²=1.473, df=4, p>0.05). 다만 망중립성과 관련한 논조의 경우, 정 의, 정보제공, 사건전개와 같은 중립적인 논거의 프레임(71건, 41%)이 가 장 많고, 국내 망중립성 보도의 프레임이 상당히 미국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망중립성과 관련한 정보원의 출처는 정부의 비중(49건, 28.3%)이 가장 높고, 정보원 출처와 관련하여 망사업자와 콘텐츠⋅플랫폼 사업자는 망중립성에 대한 논조가 명확하다는 특징을 도출하였다. 본 연 구는 국내 뉴스들이 망중립성과 관련한 뉴스 프레임을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중립성 논쟁 프레임이 상당히 미국 중심적임을 지 적하며, 향후 망중립성과 관련된 논쟁 프레임이 보다 국내 환경에 부합하 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새로운 의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기존 연구들과는 차별화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망중립성은 스마트기기의 대중화와 함께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이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망중립성 논쟁이라는 이슈에 종합일 간지, 경제전문지, IT전문지의 보도 프레임...

      망중립성은 스마트기기의 대중화와 함께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이슈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망중립성 논쟁이라는 이슈에 종합일 간지, 경제전문지, IT전문지의 보도 프레임에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총 31개 기사의 173개 문단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매 체 유형별로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x²=1.473, df=4, p>0.05). 다만 망중립성과 관련한 논조의 경우, 정 의, 정보제공, 사건전개와 같은 중립적인 논거의 프레임(71건, 41%)이 가 장 많고, 국내 망중립성 보도의 프레임이 상당히 미국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망중립성과 관련한 정보원의 출처는 정부의 비중(49건, 28.3%)이 가장 높고, 정보원 출처와 관련하여 망사업자와 콘텐츠⋅플랫폼 사업자는 망중립성에 대한 논조가 명확하다는 특징을 도출하였다. 본 연 구는 국내 뉴스들이 망중립성과 관련한 뉴스 프레임을 어떻게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 시발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중립성 논쟁 프레임이 상당히 미국 중심적임을 지 적하며, 향후 망중립성과 관련된 논쟁 프레임이 보다 국내 환경에 부합하 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새로운 의제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기존 연구들과는 차별화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t neutrality debat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country. This study presents a model how newspapers may influence the net-neutrality policy process in the South Korea which proposes argument framework to discuss net neutrality. This study employs framing and agenda-setting theories to analyze Three newspaper types: daily newspaper, economic newspaper, IT newspaper. This study conduct a categorical content analysis.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y typ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x²=1.473, df=4, p>0.05). but in South Korea newspapers Neutral tone frame (71 cases, 41%) was the most common. and It derives a feature that focuses on the US network neutrality debate. Most of all This study will be able to find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national news that a starting point to analyze whether and how to form a frame news related to net neutrality.
      번역하기

      Net neutrality debat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country. This study presents a model how newspapers may influence the net-neutrality policy process in the South Korea which proposes argument framework to discuss net neutrality. This study ...

      Net neutrality debate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the country. This study presents a model how newspapers may influence the net-neutrality policy process in the South Korea which proposes argument framework to discuss net neutrality. This study employs framing and agenda-setting theories to analyze Three newspaper types: daily newspaper, economic newspaper, IT newspaper. This study conduct a categorical content analysis.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y typ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x²=1.473, df=4, p>0.05). but in South Korea newspapers Neutral tone frame (71 cases, 41%) was the most common. and It derives a feature that focuses on the US network neutrality debate. Most of all This study will be able to find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national news that a starting point to analyze whether and how to form a frame news related to net neutr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4. 연구결과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