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I. 서론
- Ⅱ. 북한 “정/반탐물”의 특수성
- 1. “정탐”의 기원 및 발전
- 2. 사전적 용어 정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춘성, "활극영화의 다양한 류형. 2016.6"
2 문학예술출판사, "혁명적작품의 창작원칙과 방도를 밝혀주신 위대한 강령적지침. 1969.2"
3 오태호, "해방기(1945~1950) 북한 문학의 ‘고상한 리얼리즘’ 논의의 전개 과정 고찰 - 『문화전선』, 『조선문학』, 『문학예술』 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6) : 319-358, 2013
4 박유희, "한국 추리서사에 나타난 ‘탐정’ 표상 - “한국 추리서사의 역사와 이론”을 위한 시론 -" 한민족문화학회 (31) : 397-434, 2009
5 박덕규, "한국 소설의 추리기법" 푸른사상 2014
6 김미현, "한국 반공영화 서사(narrative)의 기원에 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63) : 71-98, 2015
7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 담론의 형성과 전쟁영화 장르의 기원 1949~1956" 현대영화연구소 6 (6): 377-417, 2010
8 이향진, "통일시대의 북한영화 읽기" 28 (28): 295-313, 2000
9 황봉송, "태양을 옹위한 방탄벽은 이렇게 쌓아졌다. 2015.11"
10 박진영, "탐정의 탄생" 소명출판 2018
1 엄춘성, "활극영화의 다양한 류형. 2016.6"
2 문학예술출판사, "혁명적작품의 창작원칙과 방도를 밝혀주신 위대한 강령적지침. 1969.2"
3 오태호, "해방기(1945~1950) 북한 문학의 ‘고상한 리얼리즘’ 논의의 전개 과정 고찰 - 『문화전선』, 『조선문학』, 『문학예술』 등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46) : 319-358, 2013
4 박유희, "한국 추리서사에 나타난 ‘탐정’ 표상 - “한국 추리서사의 역사와 이론”을 위한 시론 -" 한민족문화학회 (31) : 397-434, 2009
5 박덕규, "한국 소설의 추리기법" 푸른사상 2014
6 김미현, "한국 반공영화 서사(narrative)의 기원에 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63) : 71-98, 2015
7 정영권, "한국 반공영화 담론의 형성과 전쟁영화 장르의 기원 1949~1956" 현대영화연구소 6 (6): 377-417, 2010
8 이향진, "통일시대의 북한영화 읽기" 28 (28): 295-313, 2000
9 황봉송, "태양을 옹위한 방탄벽은 이렇게 쌓아졌다. 2015.11"
10 박진영, "탐정의 탄생" 소명출판 2018
11 김승룡, "탐정영화문학에서의 암호와 대호를 두고. 1991.3"
12 명혁, "탐정물영화의 지성도와 부정인물형상의 격. 2016.8"
13 정혜영, "탐정문학의 영역" 역락 2011
14 대중문학연구회,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1997
15 Reuter Yves, "추리소설" 문학과지성사 2000
16 김종수, "추리서사와 대중문화" 2010
17 한웅수, "진실한 생활속에서 웃음을 찾아야 한다. 1971.11"
18 안희열, "주체적문예리론연구(22)"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6
19 한중모, "주체의 문예리론 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83
20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 1981
21 이주철, "조선중앙TV 드라마 연구" 3 (3): 127-156, 2002
22 이주철, "조선중앙TV 2000년대 프로그램 변화 연구" 북한연구학회 15 (15): 265-289, 2011
23 최애순, "조선의 탐정을 탐정하다" 소명출판 2011
24 "조선말사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4
25 문학예술출판사, "조국의 참된 아들딸들에 대한 빛나는 형상. 1979.7"
26 차형식, "조국을 위해 모든것을 바친 이름없는 영웅들에 대한 찬가. 1981.7"
27 차형식, "조국에 대한 사랑의 빛나는 화폭. 1980.7"
28 전춘산, "정탐영화의 흥미는…, 1993.10"
29 문학예술출판사, "정탐물영화를 새롭게 창작하도록 이끄신 빛나는 령도. 1996.12"
30 김성희, "정반탐물영화창작에서의 문학성문제. 2017.5"
31 송원길, "작가의 형상수법과 작품의 감화력. 2011.2"
32 신동철, "작가와 군사적 주제, 1956.2"
33 김룡봉, "일편단심 수령님께 충직한 조선인민군 녀성정찰병의 진실한 형상. 1973.6"
34 이미나, "이해조 ‘정탐偵探’ 서사의 양가적 특성 고찰"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1) : 61-96, 2019
35 류수경, "우리도 발을 맞춘다. 1993.10"
36 허영아, "우리 식 탐정소설의 특징 몇가지. 2011.12"
37 리의렬, "우리 식 아담한 영화의 극작술탐구와 창조경험. 2009.2."
38 문학예술출판사, "예술영화 《이름없는 영웅들》에 깃든 이야기. 1982.2"
39 림무삼, "영화창작에서 새로운 혁명적전환을 일으킨 당의 방침. 1982.8"
40 방남혁, "영화의 양상적특성을 살려냈다. 2010.3"
41 민병욱, "연극과 영화를 통해 본 북한 사회" 살림출판사 2012
42 정혜영, "식민지 조선과 탐정문학"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1 (11): 375-396, 2007
43 박진, "스릴러 장르의 사회성과 문학적 가능성" 국제어문학회 (51) : 375-395, 2011
44 김철민, "숨기는 것은 뒤집기를 위해서이다. 2016.11"
45 장영구, "수령님께 끝없이 충직한 녀성정찰영웅의 형상. 1971.5"
46 이정옥, "송사소설계 추리소설과 정탐소설계 추리소설 비교 연구" 대중서사학회 (21) : 239-277, 2009
47 리성덕, "생활을 진실하게 추구한 정탐물영화. 1990.7"
48 권혁봉, "사회주의전취물의 보위와 영화창작. 1972.2."
49 석유균, "사색, 열정, 탐구. 1979.8"
50 장영, "사상주제적과제의 철학적심오성과 극조직의 예리화. 1983.3"
51 전윤희, "붉은 오각별의 형상을 통해 본 탐정, 추리수법의 활용. 2014.11"
52 이주철, "북한의 텔레비전 방송" 한국학술정보 2012
53 임순희, "북한의 대중문화 : 실태와 변화전망" 통일연구원 2000
54 서정남, "북한영화탐사" 생각의나무 2002
55 민병욱, "북한영화의 장르론적 연구" 한중인문학회 (20) : 371-392, 2007
56 전영선, "북한 영화의 유형과 학문분류 체계" 인문학연구원 48 : 33-62, 2009
57 안지영, "북한 영화에 대한 젠더 접근법 모색" 심연북한연구소 18 (18): 46-89, 2015
58 전영선, "북한 문학예술의 장르론적 이해" 도서출판 경진 2010
59 한국문화기술연구소, "북한 문학예술의 장르론적 이해" 소명출판 2010
60 강현두, "북한 매스미디어론" 나남출판 1997
61 김미나, "북한 드라마의 장르적 특성 연구— 「방탄벽」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학회 16 (16): 163-185, 2017
62 이하나, "북한 ‘反간첩영화’에 나타난 냉전 이미지와 냉전형 인간" 심연북한연구소 20 (20): 38-92, 2017
63 김영란, "북, 영화 ‘이름없는 영웅들’ 컬러 편 상영 시작. 자주시보, 2020.6.24"
64 조선중앙방송위원회, "방송리론" 조선중앙방송위원회 1985
65 류영기, "반탐정물영화문학창작에서 주인공의 성격창조문제. 2003.4"
66 리국봉, "반탐일군들에 대한 감명깊은 예술적형상창조. 2017.10"
67 심영택, "반탐물과 질. 2003.3"
68 문학예술출판사, "반간첩투쟁을 내용으로 하는 영화를 잘 만들도록 이끌어주시여. 1996.11"
69 "문학예술사전"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1993
70 심영택, "돌이켜보게 되는 장면들의 세계에서. 2004.3"
71 박철민, "당의 반제계급로선 구현과 탐정극. 2016.1"
72 김룡봉, "당의 령도밑에 힘차게 전진하는 우리의 주체적인 영화예술. 1985.2"
73 김완중, "다부작영화에서의 마감처리. 1981.9"
74 김린서, "능숙한 구성솜씨로 엮어진 예술적화폭. 1993.6"
75 이하나, "냉전의 경쟁과 모방―북한 전쟁첩보영화 <이름 없는 영웅들>에 나타난 냉전/분단의 상동성―" 민족문화연구원 (84) : 681-715, 2019
76 김정일, "김정일 선집1" 조선노동당출판사 1992
77 이주라, "근대 초기 번역·번안 추리소설의 수용양상 연구" 민족어문학회 (61) : 81-109, 2010
78 심영택, "극조직에서 찾아낸 세가지 요령. 1998.9"
79 문학예술출판사, "군사물영화창작을 확고히 선행시키시여. 2006.12"
80 유영애, "각성높은 인민들의 참신한 형상을!. 1971.11"
81 조순철, "《적후》에서의 한해. 1993.9"
82 심영택, "《붉은 오각별》과 함께 승화된 형상적진리. 2003.7"
83 김복실, "《병불염사》와 고구려문학에 반영된 탐정적형상. 2010.3"
84 오혜진, "1930년대 한국 추리소설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85 오혜진, "1930년대 한국 추리소설 연구" 어문학사 2009
86 최애순, "1930년대 探偵의 의미 규명과 探偵小說의 특성 연구" 동양학연구원 (42) : 23-42, 2007
87 김지영, "'탐정', '기괴' 개념을 통해 본 한국 탐정소설의 형성 과정" 현대문학이론학회 (41) : 93-125, 2010
88 고은지, "'정탐소설' 출현의 소설적 환경과 추리소설로서의 특성-『쌍옥적(雙玉笛)』과『박쥐우산』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35) : 7-25, 2010
중국 실업계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동기, 전공 만족도 및 학교 참여 간의 관계
대학생의 그릿, Good Job 인식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대만 대학생을 중심으로 -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한국문화교육 방안 연구 - ‘Feel the Rhythm of Korea·시즌1’을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1-0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