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디자인의 생태학적 접근에 주 목하고, 이러한 융합적 시도의 바탕이 되는 생태 체계의 디지털 디자인 생성 체계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그 기반을 제시하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70153
2009
-
KCI등재
학술저널
279-288(1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디자인의 생태학적 접근에 주 목하고, 이러한 융합적 시도의 바탕이 되는 생태 체계의 디지털 디자인 생성 체계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그 기반을 제시하는...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디자인의 생태학적 접근에 주
목하고, 이러한 융합적 시도의 바탕이 되는 생태 체계의
디지털 디자인 생성 체계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그 기반을 제시하는 것이다. 디지털 디자인은 디자인 자
체를 유기체적 관점으로 보게 되면서 자연의 생태계가
그러하듯 환경의 정보에 반응하는 발생적 가능성을 부여
한다. 생물의 발생, 성장, 적응, 진화, 도태, 변이 등의
근원적 원리들에는 생물과 환경의 관계에 대한 생태학적
원리가 작용하며, 디지털 기술은 디자인에 있어 이러한
생물의 근원적 원리를 정보화하여 시뮬레이션을 가능하
게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통해 생성적 형태 구현
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연생태 체계와 생태계 작동원리
를 디지털 환경에 대입하여, 가상 세계에서도 생태체계
에 근거 한 디지털 유기체가 발생, 성장할 수 있다. 생태
학적 원리를 근간으로 하는 디지털 디자인 환경체계는
크게 생물학적 활성에 의한 내적 작용인 모포제네시스와
물리적 활성의 힘에 의한 외적 작용인 다이나믹스로 나
누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생물이 환경에 반응하여 형
태를 발생시키는 생태학적 원리와 그 틀을 같이한다. 두
생성 체계는 독립적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복잡한 상
호작용을 통해 작동 한다. 생물의 발생, 진화, 항상성의
원리에는 환경에 최적화 하려는 개체와 환경과의 복잡한
정보적 작용이 작동한다. 디지털 디자인의 생성체계에
있어서도 외적 작용인 역학적 활성과 내적 작용인 생물
학적 활성이 매개변수화 된 정보와 생성 알고리즘을 통
한 상호작용을 통해 디자인 유기체의 조직과 형태가 결
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생성 체계는 디지털 환경 내의
유기체적 디자인 발생에 있어서 생명 시스템을 적용하
고, 또한 생물학적 생성의미를 부여하는 근거가 된다. 생
성적 체계를 통해 디자인은 계속해서 변화할 수 있는 유
기체적 잠재성을 내포하며 복잡성을 지닌 환경에 유연하
게 반응하게 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인하, "현대 건축과 비표상" 아카넷 2006
2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거름 2000
3 Ernst Haeckel, "생물체의 일반 형태론" 1866
4 안성모, "모포제네틱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서울대 2007
5 이은정, "디지털 패러다임에 의한 유기체적 공간에 대한 연구" 홍익대 2004
6 안성모, "디지털 조형언어의 생성적 의미 분석을 통한 형태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91-299, 2009
7 Peter Bently, "디지털 생물학" 김영사 1979
8 Kas Oosterhuis, "Architecture goes wild" 2002
9 Michael Hensel, "Achim Menges, Morpho-Ecologies: Towards Heterogeneous Space In Architecture Design" AA Publications 2007
1 정인하, "현대 건축과 비표상" 아카넷 2006
2 이정우, "접힘과 펼쳐짐" 거름 2000
3 Ernst Haeckel, "생물체의 일반 형태론" 1866
4 안성모, "모포제네틱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서울대 2007
5 이은정, "디지털 패러다임에 의한 유기체적 공간에 대한 연구" 홍익대 2004
6 안성모, "디지털 조형언어의 생성적 의미 분석을 통한 형태적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0 (10): 291-299, 2009
7 Peter Bently, "디지털 생물학" 김영사 1979
8 Kas Oosterhuis, "Architecture goes wild" 2002
9 Michael Hensel, "Achim Menges, Morpho-Ecologies: Towards Heterogeneous Space In Architecture Design" AA Publications 2007
Education of Creativity in Business Schools : Get a Little Help from a New Neighbor, Design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