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아동학대와 방임이 학령기 아동의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Gender Compari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506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아동학대·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 변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와 구조모형 속에서 성별에 따른 경로차이여부를 분석하여 아동복지�...

      본 연구는 부모의 아동학대·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 변인이 매개역할을 하는지와 구조모형 속에서 성별에 따른 경로차이여부를 분석하여 아동복지의 함의를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 2010(KCYPS 2010)의 초등학교 4학년 2차년도와 3차년도 자료를 토대로 초등학교 5학년 시기의 부모의 아동학대와 방임이 초등학교 6학년 시기 학령기 아동의 우울, 공격성 및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S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아동학대·방임과 휴대폰 중독에 있어 우울과 공격성은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아동학대·방임과 휴대폰 중독의 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의 매개역할을 검증한 결과전체 아동의 경우‘학대·방임→우울 및 공격성→휴대폰 중독’의 경로가 모두 유의미하였으나 성별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즉, 남아의 경우 학대→우울→휴대폰 중독의 간접영향이 큰 반면, 여아의 경우 학대→공격성→휴대폰 중독의 간접영향이 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및 방임과 휴대폰 중독의 관계에서 우울 및 공격성의 매개역할과 성차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방안을 아동복지적 차원에서 논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in school aged children, and how these associations differ by gender. Using secondary data, this study e...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in school aged children, and how these associations differ by gender. Using secondary data, this study employ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the research hypothese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2nd and 3rd waves of 2010 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order to estimate a causal model, hypothesizing that child abuse and neglect in 5th grade would affect depression, aggression, and cell phone addiction in 6th grad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and aggression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child abuse and neglect and cell phone addiction. That is, the size of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path of child abuse→ depression→cell phone addiction was greater for male participants, whereas the size of the indirect effect through the path of child abuse→aggression→cell phone addiction was greater for females. Based on these results, authors discussed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