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by incorporating the “book concert” activities in a writing process. The “book concert” activities were proved to enhance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elicit their multi-literacy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0844
김나영 (성신여자대학교)
2021
Korean
book concert ; book talk ; thinking and expression ; delivery and communication ; storytelling ; content ; multi-literacy ; 북 콘서트 ; 사고와 표현 ; 전달과 소통 ; 스토리텔링 ; 콘텐츠 ; 멀티 리터러시
KCI등재
학술저널
63-91(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by incorporating the “book concert” activities in a writing process. The “book concert” activities were proved to enhance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elicit their multi-literacy ...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by incorporating the “book concert” activities in a writing process. The “book concert” activities were proved to enhance th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elicit their multi-literacy capabilities in reading and writing. This study was indebted to the “reading debate” activity conducted in “Reading and Discussion” class at University A; its learning strategy were modified for and applied to a writing class called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at University B as a form of a “book concert.” In the class, students are asked as a group to select a book and introduce it to the class. The study showed that the book concert activities allowed the students to “understand, analyze, and evaluate” the text and preform “rewriting” to achieve the goal of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for their audience.
Considering that the purpose of writing is to explore ways of “thinking” and “expression” rather than to simply learn its technology, the study suggests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writing which includes a construction of “stories” using non-lingual tools like media, not merely a medium to deliver messages.
This study suggests more flexible conception of writing in classroom, which will lead writing education to be located as a necessary and more adaptive subject of General Education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북 콘서트’ 활동을 글쓰기 과정에 편입시켜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재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 콘서트 활동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고 독서와글쓰기에서 멀티 리...
본 연구는 ‘북 콘서트’ 활동을 글쓰기 과정에 편입시켜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재고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북 콘서트 활동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고 독서와글쓰기에서 멀티 리터러시 능력을 유도할 수 있었던 수업 사례이다.
A 대학의 ‘읽기와 토론’ 수업에서 적용했던 ‘독서 토론’을 활용하여 B 대학의 ‘창조적 사고와 글쓰기’ 수업에서 ‘북 콘서트’의 형태로 적용하였다. 모둠 활동으로서 조마다 한 편의 텍스트를 선정하고 이를 소개하는 방식으로 활동을 유도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텍스트를 ‘이해하고 분석하고 평가’한 후 이를 청중에게 ‘전달하고소통’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시쓰기’를 수행할 수 있었다.
글쓰기 수업의 목적이 단순히 ‘글 쓰는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사고’와 ‘표현’ 의 방법을 찾는 것임을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글쓰기가 단순히 메시지를 전달하는도구가 아니라, 미디어와 같은 비언어적 도구를 활용하여 ‘이야기’를 재구성하는 개념까지 확장될 수 있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글쓰기 개념의 유연한 대응이 있을 때, 글쓰기 교육 또한 4차 산업 시대에 필수적이고 적응력 있는 교양교육 과목으로 정착할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희선, "학습자 요구와 만족도 조사에서 나타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 고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1) : 71-109, 2017
2 정한섭, "토론의 전사 8-독서 디베이트의 정석" 한결하늘 2018
3 이재현,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조은비,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매커니즘의 변화-이재현,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이재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을 읽고" 한국리터러시학회 11 : 339-344, 2015
5 송필성,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창작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글쓰기 교과과정" 2 : 113-129, 2007
6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1-172, 2017
7 이은주, "독서토론과 연계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효과 -덕성여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6) : 501-516, 2011
8 이재현,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미디어 콘텐츠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19-150, 2014
9 김성연, "디지털기술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협업수업 모형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4) : 195-213, 2015
1 신희선, "학습자 요구와 만족도 조사에서 나타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 고찰" 한국 리터러시 학회 (21) : 71-109, 2017
2 정한섭, "토론의 전사 8-독서 디베이트의 정석" 한결하늘 2018
3 이재현,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4 조은비, "디지털 시대의 글쓰기 매커니즘의 변화-이재현, 『디지털 시대의 읽기 쓰기』(이재현,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을 읽고" 한국리터러시학회 11 : 339-344, 2015
5 송필성, "디지털 문화콘텐츠의 창작교육을 위한 멀티미디어 글쓰기 교과과정" 2 : 113-129, 2007
6 민춘기,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의 인식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1-172, 2017
7 이은주, "독서토론과 연계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효과 -덕성여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26) : 501-516, 2011
8 이재현,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스마트미디어 콘텐츠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19-150, 2014
9 김성연, "디지털기술 교육과 글쓰기 교육의 협업수업 모형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4) : 195-213, 2015
대학생 이메일 사용 실태 및 인식 연구 -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이메일 사용과 인식은 어떻게 다른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디지털리터러시 연구 동향분석 - 2011-2015년과 2016-2020년 비교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 ![]() |
2018-01-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 ![]() |
2018-01-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1-02-0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 | 1.3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