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 이메일 사용 실태 및 인식 연구 -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이메일 사용과 인식은 어떻게 다른가 = E-mail Use and Perception of Students - How Digital Natives are Differ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8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mail is a commonly used medium of communication in universities. However, the mechanism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how to write e-mails and their perception of its use remain unknown. This exploratory study employed mixed methods as a research approach to collect open and closed data to enrich the understanding on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The approach used corresponds to the sequential explanatory mixed method in which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followed by qual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Out of the sample, 177 were interviewed with 10 additional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27% of the respondents seemingly learned how to use e-mail.
      Moreover, only four out of 48 students formally learned how to use e-mail in high school, whereas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14) learned the basics of e-mail in elementary school. Consequently, the majority of college students lacked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e-mail use, etiquette, and forms after entering 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번역하기

      E-mail is a commonly used medium of communication in universities. However, the mechanism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how to write e-mails and their perception of its use remain unknown. This exploratory study employed mixed methods as a research app...

      E-mail is a commonly used medium of communication in universities. However, the mechanism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how to write e-mails and their perception of its use remain unknown. This exploratory study employed mixed methods as a research approach to collect open and closed data to enrich the understanding on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The approach used corresponds to the sequential explanatory mixed method in which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followed by qualitativ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Out of the sample, 177 were interviewed with 10 additional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indicate that only 27% of the respondents seemingly learned how to use e-mail.
      Moreover, only four out of 48 students formally learned how to use e-mail in high school, whereas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14) learned the basics of e-mail in elementary school. Consequently, the majority of college students lacked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e-mail use, etiquette, and forms after entering secondary or highe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에서 이메일은 흔히 사용하는 의사소통 매체지만, 그 사용법, 양식, 태도에 관하여 언제, 어떻게 배웠는지, 실제 사용에 편리함이나 무엇인지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 탐색적 연구는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한층 풍성한 이해를위하여 개방형, 폐쇄형 자료를 모두 수집하는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혼합 연구 방법은 양적 자료 수집과 분석에 이어 질적 자료 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진 순차적 설명 혼합 방법에 해당한다. 서울 소재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설문지 결과를 수집하였고, 그중 17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10명을 추가로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학습자는 이메일을 주로 친교와 정서보다는 정보 전달과 수신을위한 공적인 목적 위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응답자의 27%만 이메일 사용 방법과 태도를 배운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에서 정식으로 이메일 사용법을 배운 학생은 48명 중에서도 4명에 불과했고, 가장 많은 학생(14명)이 초등학교 정보 시간에 이메일에 관한 기초 지식을 배운 데에 그쳤다. 결과적으로 대다수 대학생학습자는 공교육 과정이나 대학 입학 후 이메일 사용 방식이나 필요한 예절, 양식에관하여 제대로 학습할 창구가 없어서 알음알음 배우거나 타인은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인터넷을 검색하고 그 내용을 참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번역하기

      대학에서 이메일은 흔히 사용하는 의사소통 매체지만, 그 사용법, 양식, 태도에 관하여 언제, 어떻게 배웠는지, 실제 사용에 편리함이나 무엇인지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 탐색적 연...

      대학에서 이메일은 흔히 사용하는 의사소통 매체지만, 그 사용법, 양식, 태도에 관하여 언제, 어떻게 배웠는지, 실제 사용에 편리함이나 무엇인지는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다. 이 탐색적 연구는 연구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에서 한층 풍성한 이해를위하여 개방형, 폐쇄형 자료를 모두 수집하는 혼합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혼합 연구 방법은 양적 자료 수집과 분석에 이어 질적 자료 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진 순차적 설명 혼합 방법에 해당한다. 서울 소재 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설문지 결과를 수집하였고, 그중 17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고, 10명을 추가로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학습자는 이메일을 주로 친교와 정서보다는 정보 전달과 수신을위한 공적인 목적 위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체 응답자의 27%만 이메일 사용 방법과 태도를 배운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에서 정식으로 이메일 사용법을 배운 학생은 48명 중에서도 4명에 불과했고, 가장 많은 학생(14명)이 초등학교 정보 시간에 이메일에 관한 기초 지식을 배운 데에 그쳤다. 결과적으로 대다수 대학생학습자는 공교육 과정이나 대학 입학 후 이메일 사용 방식이나 필요한 예절, 양식에관하여 제대로 학습할 창구가 없어서 알음알음 배우거나 타인은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인터넷을 검색하고 그 내용을 참조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효동,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따른 사회관계망 분석: 직업군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 (20): 83-123, 2006

      2 박성일, "전자우편에 나타난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실현 요소에 대한 경향성 분석" 국어교육연구소 (25) : 311-333, 2010

      3 김명석, "인터넷 시대 글쓰기 교육의 과제" 한국문학연구학회 (19) : 77-104, 2002

      4 전미화, "외국인 유학생의 전자우편 분석 연구- 구조 및 표현적 특성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61 : 77-104, 2014

      5 김창진, "신입사원 갖춰야 최고 역량 “직장예절”" 서울일보

      6 이옥화, "신세대 학습자 특성 분석 : 대학생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이용 특성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8 (8): 25-36, 2005

      7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249-279, 2012

      8 황성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글쓰기에 끼친 영향성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33-159, 2014

      9 김지연, "블로그 필자들의 인터넷 작문 양상" 한국작문학회 (19) : 69-100, 2013

      10 권순희,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32) : 29-60, 2017

      1 김효동, "커뮤니케이션 채널에 따른 사회관계망 분석: 직업군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 (20): 83-123, 2006

      2 박성일, "전자우편에 나타난 중국인 학습자의 경어법 실현 요소에 대한 경향성 분석" 국어교육연구소 (25) : 311-333, 2010

      3 김명석, "인터넷 시대 글쓰기 교육의 과제" 한국문학연구학회 (19) : 77-104, 2002

      4 전미화, "외국인 유학생의 전자우편 분석 연구- 구조 및 표현적 특성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61 : 77-104, 2014

      5 김창진, "신입사원 갖춰야 최고 역량 “직장예절”" 서울일보

      6 이옥화, "신세대 학습자 특성 분석 : 대학생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이용 특성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8 (8): 25-36, 2005

      7 김윤선, "스마트 시대, 대학 글쓰기 교육의 변화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249-279, 2012

      8 황성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글쓰기에 끼친 영향성 연구"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33-159, 2014

      9 김지연, "블로그 필자들의 인터넷 작문 양상" 한국작문학회 (19) : 69-100, 2013

      10 권순희, "변화된 문식 환경과 작문 교육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32) : 29-60, 2017

      11 임홍배,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꾼」에 나타난 서사이론적 함의"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6) : 189-210, 2017

      12 송지현, "공공기관의 이메일기록 관리 방안 연구" 한국기록학회 (15) : 180-223, 2007

      13 최형용,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창비 2019

      14 방민호,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미래엔 2019

      15 Newell, G., "Teaching and Learning Argumentative Writing in High School English Language Arts Classrooms" Routledge 2015

      16 Goudreau, J, "How To Communicate In The New Multigenerational Offic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