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화에 따른 유출 증가를 저감하기 위해 우수 BMP가 새롭게 도입되게 되었다. 이에는 침투시설, 투수성포장, 지붕녹화 등 자연적인 물 순환과 충진을 장려하는 일련의 관리기술들이 있으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9053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시화에 따른 유출 증가를 저감하기 위해 우수 BMP가 새롭게 도입되게 되었다. 이에는 침투시설, 투수성포장, 지붕녹화 등 자연적인 물 순환과 충진을 장려하는 일련의 관리기술들이 있으며...
도시화에 따른 유출 증가를 저감하기 위해 우수 BMP가 새롭게 도입되게 되었다. 이에는 침투시설, 투수성포장, 지붕녹화 등 자연적인 물 순환과 충진을 장려하는 일련의 관리기술들이 있으며, 종래의 저류지 중심의 중앙집중형 관리에서 유역 내 여러 지역에서의 침투를 통한 분산형 관리시스템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짐.
BMP 모델링은 이러한 개별 BMP들의 수문학적 거동을 모의하는 기법을 말하며 전술한 여러 BMP들에 대한 모의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초창기에는 개별 BMP 스케일에서의 모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나 종국적으로 이러한 BMP 설치가 유역차원에서의 유출저감에 얼마나 기여하는지가 중요한 관심사이기 때문에 유역단위 연구로 넘어가게 됨.
최근 들어 화두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 또한 도시 유출에 미치는 영향이 커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사례가 있었으나 이를 BMP와 연계해 저감효과를 모색하는 연구는 전무한 상황임.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 연구의 제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의 주요 이슈로 떠오른 기후변화 상황하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데 필수적인 분산형 물 관리 패러다임을 대변하는 우수 BMP의 물 순환 개선효과 평가기법을 개발 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