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경허 성우(鏡虛惺牛; 1849-1912) 선사의 문집의 일종인 『경허집』중에서 「법어」를 대상으 로 그 속에 나타난 경허 선사의 선사상을 분석했다. 두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했는데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경허 성우(鏡虛惺牛; 1849-1912) 선사의 문집의 일종인 『경허집』중에서 「법어」를 대상으 로 그 속에 나타난 경허 선사의 선사상을 분석했다. 두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했는데 하...
이 논문은 경허 성우(鏡虛惺牛; 1849-1912) 선사의 문집의 일종인 『경허집』중에서 「법어」를 대상으 로 그 속에 나타난 경허 선사의 선사상을 분석했다. 두 측면에서 분석을 시도했는데 하나는 법어의 ‘내 용적인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형식적인 측면’이다. 먼저, ‘내용적인 측면’을 말해보면, 경허의 선사상 속에는 ‘법성사상(法性思想)’이 바탕을 이루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허 선사는 현실적인 인간의 육신이 작용하는 그 자리에 ‘보배 창고’가 있는데, 그 곳에 온간 ‘보물’이 들어있다는 비유를 통해 인간의 몸이 작용하는 곳에 진리가 들어있음을 주장한다. 경허 선사는 이런 ‘보물’을 캐내는 방법으로 대승불교의 6바라밀 등의 다양한 수행을 모두 인정은 하지만, ‘지혜 바라밀’을 제일로 꼽는다. 물론 경허가 말하는 ‘지혜 바라밀’은 ‘마음 수행’을 위한 ‘화두 참구’이다. 다음, ‘형식적인 측면’에서 그의 선사상을 담고 있는 법어를 조사 분석해보면, 경허 선사는 ‘화두의 관 찰’이라는 방식과 ‘화두의 설명’이라는 방식 두 가지를 모두 활용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필자는 이 두 방식을 전자를 ‘간화(看話; 화두 관찰하기)’ 후자를 ‘설화(說話; 화두 설명하기)’로 이름을 붙였다. 이 런 명명법은 조선 후기 백파 긍선(白坡亘璇; 1767-1852) 선사의 『선문수경(禪文手鏡)』에서도 나타나 는데, 이런 두 가지의 형식은 이미 고려 말 진각 혜심(眞覺慧諶; 1178-1234) 선사의 『선문염송(禪門拈 頌)』이래 조선을 거치면서 이 지역에 긴 세월 동안 내려오는 전통이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필자는 이 논문에서 경허의 「법어」에는 형식적면은 물론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고 려 말 이래 조선으로 이어지는 전통과 맞닿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KyungHeo's thinking on Zen, focusing on Buddhist sermons in A Collection of KyungHeo's Works, which is a kind of anthology for KyungHeoSeongWoo(鏡虛惺牛; 1849-1912). I tried to analyze his Buddhist sermons in terms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KyungHeo's thinking on Zen, focusing on Buddhist sermons in A Collection of KyungHeo's Works, which is a kind of anthology for KyungHeoSeongWoo(鏡虛惺牛; 1849-1912). I tried to analyze his Buddhist sermons in terms of two aspects, such as content and form. First, the contents of Buddhist sermons show that the thought of KyungHeo's Zen is based on Dharmatā Thought(法性思想). KyungHeo argues that the truth is in the human body. And he gives this teaching by saying that there is a treasure house in the human body, in which many treasures are. He approves that 6 ṣaṭ-pāramita(度) of Mahayana Buddhism is a way to dig the treasures. It shows that he focuses on “the pursuit of truth by thinking a topic(話頭參究)” for self-discipline of mind. Second, it is recognized, analyzing his Buddhist sermons in terms of form, that KyungHeo utilizes both forms of “observing the topic” and “explaining the topic.” I give both forms names; the former is “observation of the topic(看話)”, the latter is “explanation of the topic(說話).” This nomenclature was already appeared in the Sun-Mun-Su-Kyung(『禪文手鏡』) of Baek-Pa-Kung-Sun(白坡亘璇; 1767-1852) in the late Chosŏn dynasty. Both forms of “observation of the topic(看話)” and “explanation of the topic(說話)” are a tradition of a long time, from the Son-Mun-Nem-Song(『禪 門拈頌』) of JinGakHyeSim(眞覺慧諶; 1178-1234). From the above analysis, I recognized that the form and content of KyungHeo’s Buddhist sermons had been connected with the tradition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Chosŏn dynast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臨濟錄 (大正藏 47권)"
2 "金剛經五家解說誼 (韓佛全 7권)"
3 신규탁, "한국 근현대 불교사상 탐구" 새문사 2012
4 신규탁, "선학의 실천행-『운문광록』을 중심으로" 원효사상연구원 5 : 2000
5 진각 혜심, "선문염송·염송설화" 동국역경원 2005
6 신규탁, "선문수경(禪文手鏡)"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7 윤기엽, "고려후기의 불교 -사원의 불교사적 고찰-" 일조각 2012
8 황인규, "고려후기·조선초 불교사 연구" 혜안 2003
9 조명제, "고려후기 간화선 연구" 혜안 2004
10 변희욱, "경허의 선사상에 대한 재조명, In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2009
1 "臨濟錄 (大正藏 47권)"
2 "金剛經五家解說誼 (韓佛全 7권)"
3 신규탁, "한국 근현대 불교사상 탐구" 새문사 2012
4 신규탁, "선학의 실천행-『운문광록』을 중심으로" 원효사상연구원 5 : 2000
5 진각 혜심, "선문염송·염송설화" 동국역경원 2005
6 신규탁, "선문수경(禪文手鏡)" 동국대학교출판부 2012
7 윤기엽, "고려후기의 불교 -사원의 불교사적 고찰-" 일조각 2012
8 황인규, "고려후기·조선초 불교사 연구" 혜안 2003
9 조명제, "고려후기 간화선 연구" 혜안 2004
10 변희욱, "경허의 선사상에 대한 재조명, In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2009
11 효탄, "경허성우의 법맥과 계승자"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덕숭총림 수덕사 2012
12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경허·만공의 선풍과 법맥" 조계종출판사 2009
13 이상하, "경허 선의 특징과 게송 - 한시 해석의 제문제"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덕숭총림 수덕사 2012
14 김방룡, "경허 선사의 간화선과 수행관"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덕숭총림 수덕사 2012
15 김광식, "경허 논의의 비판적 검토" 불교평론사 2013
16 박태원, "간화선 화두간병론(話頭揀病論)과 화두 의심의 의미" 불교학연구회 27 (27): 155-211, 2010
17 "鏡虛集 (韓佛全 11권)"
18 釋明, "鏡虛集" 極樂禪院 1990
19 "緇門警訓 (大正藏 48권)"
20 "漢巖禪師 肉筆本 鏡虛集"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본사 오대성지 월정사 2009
21 효탄, "朝鮮 後期 講學의 復興과 講脈의 傳承" 동국역경원 1998
22 "大慧普覺禪師語錄 (大正藏 47권)"
23 "大乘起信論筆削記 (大正藏 44권)"
24 "大乘起信論 (大正藏 32권)"
25 "南宗頓教最上大乘摩訶般若波羅蜜經六祖惠能大師於韶州大梵寺施法壇經 (大正藏 48권)"
26 獅巖采永, "「서천중화해동불조원류」 『世主妙嚴 主講五十年紀念論叢』" 봉녕사승가대학 2007
현대 한국사회의 당면 문제와 경허(鏡虛)의 사상 : 사회 윤리적 맥락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4-2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韓國禪學(한국선학) -> 禪學(선학) | ![]() |
2016-0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e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for Seon Studies | ![]() |
2016-02-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Seon Studies -> Journal of Seon Studies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6 | 1.142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