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비전은 제 2차 세계대전이후 미국에서 새롭게 시작된 복음주의 운동과 그 영향을 받은 밥 피얼스(Bob Pierce)가 창설하였다. 이 복음주의 운동은 전통적인 기독교 메시지를 수호하는 동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월드비전은 제 2차 세계대전이후 미국에서 새롭게 시작된 복음주의 운동과 그 영향을 받은 밥 피얼스(Bob Pierce)가 창설하였다. 이 복음주의 운동은 전통적인 기독교 메시지를 수호하는 동시...
월드비전은 제 2차 세계대전이후 미국에서 새롭게 시작된 복음주의 운동과 그 영향을 받은 밥 피얼스(Bob Pierce)가 창설하였다. 이 복음주의 운동은 전통적인 기독교 메시지를 수호하는 동시에 변화하는 새로운 문화에 적응하는 한편,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자유세계를 위협하는 공산주의에 대항하였다.
밥 피얼스는 복음주의 선교단체인 YFC(Youth for Christ)의 일원으로 1947년과 1948년 중국을 방문하여 그곳에서 전도와 함께 어려운 사람들을 도왔다. 특별히 그는 당시 중국의 상황을 필름에 담아 미국사회에 생생하게 전하였다.
밥 피얼스는 중국이 공산화되자 1950년 3월 한국에 와서 위와 같은 사역을 다시 시작하였다. 밥 피얼스는 한국에서 활동하던 선교사들과 한경직 목사의 도움을 받아 전국을 순회하면서 전도집회를 개최하였고, 고아원들을 순회하였으며, 이승만을 만나 공산주의의 위협에 대해 논의하기도 하였다. 그가 귀국한 뒤 곧 바로 한국전쟁이 발발하였다.
밥 피얼스는 한국사역을 체계적으로 하기 위해서 1950년 9월에 월드비전을 창립하였고, 1953년에는 한국 지부를 만들었다. 월드비전은 초기에는 기존 선교단체를 돕는 것이 주 사역이었으나 점점 아동후원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오늘 날에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아동후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단체가 되었다. 월드비전은 전통적인 기독교 신앙을 지키면서도 동시에 변화하는 세계에 적응하기 위해서 노력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World Vision was founded by Bob(Robert) Pierce, who was influenced by the evangelical movement that had newly begun in 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This evangelical movement defended traditional Christian messages while adapting to accomm...
The World Vision was founded by Bob(Robert) Pierce, who was influenced by the evangelical movement that had newly begun in 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This evangelical movement defended traditional Christian messages while adapting to accommodate the changing new cultures. They also fought against communism that had threatened the free world after World War II.
Bob Pierce visited China in 1947 and 1948 as a member of the evangelical mission society, Youth for Christ (YFC), where he helped the needy while engaging in missionary work. In particular, he captured the condition of China on film, revealing its situation vividly to the American society.
When China became a communist country, Bob Pierce came to Korea in March 1950 and resumed the above mentioned ministry. Bob Pierce visited various regions of Korea, held vangelistic meetings, and observed orphanages with the help of missionaries who were working in Korea along with Pastor Han Kyung-jik. He also met President Syngman Rhee to discuss the threat of communism. The Korean War broke out immediately after he returned to his country.
In September 1950, Bob Pierce founded the World Vision headquarters in the United states to systematically conduct Korean missionary work, and then, as its counterpart, established a Korean branch in 1953. World Vision was mainly responsible for helping the existing missionary groups in the beginning, but as it gradually developed children sponsorship programs, nowadays the organization came to provide the largest children sponsorship program in the world. World Vision sought to preserve traditional Christian beliefs while simultaneously adapting to the constantly changing worl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명수, "해방 직후 신의주 기독교인들과 공산주의자들의 건국투쟁" 숭실사학회 (43) : 253-285, 2019
2 이종만, "한국전쟁기간 미국 북장로교회 한국선교부의 활동 ―옥호열(Harold Voelkel)선교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40) : 202-244, 2010
3 강신정, "한국의 포로선교" 기독교교문사 1985
4 한경직, "한국선명회 40년 발자취" 한국선명회 40년사 편찬위원회 1993
5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56
6 정성환, "한국교회의 해방 전후사 인식(1): 남대문교회를 중심으로" 28 : 87-123, 2007
7 박명수, "한경직목사와 한국교회" 대한기독교서회 2015
8 박창훈, "한경직목사와 한국교회" 대한기독교서회 2015
9 민경배, "월드비전 한국 50년사" 홍익재 2001
10 마은지, "옥호열선교사의 한국의 기억, 기록 고찰" 13 : 2020
1 박명수, "해방 직후 신의주 기독교인들과 공산주의자들의 건국투쟁" 숭실사학회 (43) : 253-285, 2019
2 이종만, "한국전쟁기간 미국 북장로교회 한국선교부의 활동 ―옥호열(Harold Voelkel)선교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소 (40) : 202-244, 2010
3 강신정, "한국의 포로선교" 기독교교문사 1985
4 한경직, "한국선명회 40년 발자취" 한국선명회 40년사 편찬위원회 1993
5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교육부 1956
6 정성환, "한국교회의 해방 전후사 인식(1): 남대문교회를 중심으로" 28 : 87-123, 2007
7 박명수, "한경직목사와 한국교회" 대한기독교서회 2015
8 박창훈, "한경직목사와 한국교회" 대한기독교서회 2015
9 민경배, "월드비전 한국 50년사" 홍익재 2001
10 마은지, "옥호열선교사의 한국의 기억, 기록 고찰" 13 : 2020
11 배귀희, "옥호열" 숭실대학교기독교문화연구원 2020
12 배귀희, "영락교회 30년사" 대한예수교장로회영락교회 1983
13 리챠드 게만, "너의 마음을 깨뜨리라" 보이스사 1978
14 박명수, "길보른연구논총"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2016
15 Carpenter, Joel A, "Youth for Christ Movement and Its Pioneers" Garland 1988
16 Graham, Franklin, "This One Thing I Do" Word Publishing 1983
17 Pierce, Bob, "The Untold Korea Story"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51
18 Gibbs, Nancy, "The Preacher and Presidents: Billy Graham in the White House" Center Street 2007
19 King, David P., "Seeking A Global Vision: The Evolution of World Vision and American Evangelicalism" Emory University 2012
20 Carpenter, Joel A., "Revive Us Again: The Reawakening of American Fundament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1 Hamilton, Michael S., "More Money and More Ministry: Money and Evangelicals in Recent North American Ministry" Eerdmans 2000
22 Kilourne, Elma, "Missionary Maverick" OMS International 1989
23 Dunker, Marilee Pierce, "Man of Vision: The Candid Complete Story of Bob and Lorraine Pierce, Founders of World Vision and Samaritan’s Purse" Authentic Mdia 2005
24 Rhodes, Harry A., "History of the Korea Mission Presbyterian Church in the U. S. A. Vol. II. 1935-1959" The Prebyterian Church of Korea Department of Education 1965
25 King, David P., "God’s Internationalist: World and Evangelical Humanitarianism"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19
26 Kilbourne, Edwin W., "Bridge Across the Century: Volume I. Japan, Korea, China" OMS Inernational 2001
27 Learned, Jay D., "Billy Graham, American Evangelicalism, and the Cold War Clash of Messianic Visions, 1945-1962" University of Rochester 1962
28 Hamilton, John R., "An Historical Study of Bob Pierce and World Vision’s Development of the Evangelical Social Action Film"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80
29 이은선, "6·25전쟁과 미국 복음주의와 한국교회" 영산신학연구소 44 : 199-237, 2018
세계구호위원회(World Relief Commission)의 한국 활동과 그 의의: 엘마 길보른(Elmer Kilbourne)의 활동을 중심으로
존 로스의 중국어 성경주석 및 한글 번역본에 대한 역사적 연구
5-6세기 하부 누비아(Low Nubia) 지역에서 노바디아 왕국 등장과 기독교 수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2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1 | 0.2 | 0.452 | 0 |
월드비전 특강(2013년 상반기)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기초교육원월드비전 특강 (2010년 하반기)
한국해양대학교 최상용, 서남표, 능행, 김기재, 박세일, 김용택, 김태창, 신영훈, 박석, 박형준월드비전 특강 (2009)
한국해양대학교 백기완, 이해찬, 윤건차, 원희룡, 한홍구, 곽경택, 하선규, 박원순, 이종석, 박영숙월드비전 특강 (2011년 상반기)
한국해양대학교 정희준, 최갑수, 이광연, 오거돈, 정달호, 이봉조, 권오율, 고세훈, 권해효, 박명림월드비전 특강 (2010년 상반기)
한국해양대학교 정세현, 이상희, 법륜, 고영재, 김명곤, 황기석, 김우창, 유홍준, 김반장, 정의화, 이광재, 김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