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수행 과제는 “식민지시기 公刊된 漢詩를 수집, 지식정보로 가공하여 公布한다”는 목적으로 2년간 추진되었다. 조사대상 시기는 식민지시기로 하였다. 정확하게는 1910년 8월 30일부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68930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존 수행 과제는 “식민지시기 公刊된 漢詩를 수집, 지식정보로 가공하여 公布한다”는 목적으로 2년간 추진되었다. 조사대상 시기는 식민지시기로 하였다. 정확하게는 1910년 8월 30일부터 ...
기존 수행 과제는 “식민지시기 公刊된 漢詩를 수집, 지식정보로 가공하여 公布한다”는 목적으로 2년간 추진되었다. 조사대상 시기는 식민지시기로 하였다. 정확하게는 1910년 8월 30일부터 1945년 8월 14일까지이다. 이 시기는 국문학 연구 풍토에서 근대 담론이 가장 치열하게 논란을 일으키는 시기인 동시에, 중세적 양식이 유의미한 도구로 활용되던 마지막 시기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조사대상 자료는 연속간행물의 형태로 公刊된 漢詩 텍스트였다. 근대적 매체인 신문 잡지 등 연속간행물에 게재된 한시는, 유통과 향유의 측면에서 근대화된 전통적 양식이다. 전통적 양식이면서 근대문명의 유통망에 포섭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문집에 수록되거나 시회에서 일과성으로 발표된 것 등 과거의 방식으로만 유통 향유되었던 한시는 제외하였다.
이 기수행과제를 기반으로 전체 과제 목표인 “식민지시기 한시자료집의 Web DB 서비스 구축”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수행 기간 내에 세 단계를 설정하고 연구 수행 기간 이후 두 단계를 설정하여, 총 다섯 단계로 연구 수행 일정을 계획하였다. 연구 수행 기간 내의 제1단계는 “DB자료 표준화 단계” 2개월, 제2단계는 “Web DB 서비스 구축 단계” 3개월, 제3단계는 “실현 단계” 1개월이다. 이후 추가적으로 최상의 완성도를 추구하기 위해 연구 수행 기간 이후 지속적으로 최종 결과물 제출 시점까지 2개월간의 “추가 검수 단계”와, 최종 결과물 제출 이후 최상의 완성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기간의 “운용 단계”를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