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립대학 구조개혁 지원사업의 적절성에 대한 소고 = An Anaylisis on Public University Restructuring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26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several aspects of public university restructuring program. We find that in terms employment rates and job mismatch, the public universities graduates` labor market performances of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major are worse than those of private universities` graduates. This implies restructuring should be more than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and enhance labor market performances of graduates. From the private university data set, we find that per-student spending level does not decrease with number of students over relevant range, implying we cannot expect economies of scale from merging universities. Restructure should induce higher quality education rather than working as a cost-saving device. Finally, we propose that the role of public university at the regional level should not be decreased as a result of restructuring.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several aspects of public university restructuring program. We find that in terms employment rates and job mismatch, the public universities graduates` labor market performances of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major are worse th...

      This paper examines several aspects of public university restructuring program. We find that in terms employment rates and job mismatch, the public universities graduates` labor market performances of the humanity and social science major are worse than those of private universities` graduates. This implies restructuring should be more than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and enhance labor market performances of graduates. From the private university data set, we find that per-student spending level does not decrease with number of students over relevant range, implying we cannot expect economies of scale from merging universities. Restructure should induce higher quality education rather than working as a cost-saving device. Finally, we propose that the role of public university at the regional level should not be decreased as a result of restructur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기곤, "취업통계조사 자료의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2 김희삼, "지방대학 문제의 분석과 정책방향" KDI 2008

      3 김진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한국경제 분석" 13-3, 2007

      4 오호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87-118, 2007

      5 박정수,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59-80, 2009

      6 "남궁근 외, 국립대학발전방안, 1995"

      7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 200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 계획 및 지침서, 2007"

      8 김희삼,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와 서열구조 분석" 2007

      9 김진영, "고등교육 재정지원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미발간초고" 2008

      10 박정수, "2009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 보고서: 대학구조개혁지원 사업" 기획재정부 2010

      1 남기곤, "취업통계조사 자료의 활용도 제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7

      2 김희삼, "지방대학 문제의 분석과 정책방향" KDI 2008

      3 김진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한국경제 분석" 13-3, 2007

      4 오호영, "대학서열과 노동시장 성과-지방대생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한국노동경제학회 30 (30): 87-118, 2007

      5 박정수, "대학교육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59-80, 2009

      6 "남궁근 외, 국립대학발전방안, 1995"

      7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개발원, 2007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 계획 및 지침서, 2007"

      8 김희삼, "고등교육의 노동시장 성과와 서열구조 분석" 2007

      9 김진영, "고등교육 재정지원 개선방향에 관한 소고 미발간초고" 2008

      10 박정수, "2009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 보고서: 대학구조개혁지원 사업" 기획재정부 2010

      11 박정수, "2008년 국립대학 통․폐합지원사업 연차평가 실시 정책 연구" 국립대학 통․폐합 평가팀 2009

      12 이무근, "2007년 통․폐합 국립대학 연차 평가 시행 방안 연구" 국립대학 통․폐합 평가팀 2008

      1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취업통계분석자료집" 2007

      14 교육인적자원부, "2006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연보" 2006

      15 교육인적자원부, "2005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자료집"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6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2차)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