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용준(金瑢俊, 1904-1967)의 월북 이후 활동과 회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771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50년에 월북했던 김용준은 1950-60년대 북한미술계의 중심부에서 사회주의 사실주의 민족미술의 형식으로서 조선화를 내세우며, 조선화의 형식을 개변(改變)하고자 했다. 1950년대 중반 ‘조선화’라는 용어의 사용을 미술계에 제기했던 그는 과학원 소속의 연구자로서 고구려 고분벽화와 김홍도 등의 미술사 연구를 진행하며 그 성과를 집약해 연구서들을 출간했다.
      월북 직후에는 북한 미술계의 동향에 따라 사회주의 사실주의 유화를 창작했지만, 1950년대 중반 조선화 화가로 다시 전향했다. 조선화 화가로서 각종 전람회에 출품했던 1950년대 중 · 후반 그의 작품들은 인물 · 풍경 · 화조 등 다양한 소재로 필획이 살아있는 수묵담채 화풍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1957년 조선화분과 위원장으로 선출된 후, 그는 〈춤〉으로 《세계청년학생축전》에서 1위를 수상함으로써 북한회화의 위상을 높였다.
      김용준은 1960년 이후 채색화 담론의 장에서 조선화 화가들에게 다양한 채색을 구사해 조선화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기를 독려했고, 이에 발맞춰 조선화에 적용시킬 창작기법과 채색기법을 이론으로 재정리했다. 아울러 조선화 화가들에게 요구되었던 천리마 시대에 걸맞은 ‘현실의 약동하는 기상’과 ‘혁명투사들의 투쟁 장면’을 주제로 채택해 채색화로 그려내면서 미술계의 변화에 부응했다.
      그러나 조선화의 형식이 ‘몰골 진채’로 이양되어 가는 과정에서도 김용준은 화조화 분야에서 만큼은 전통 수묵화의 사의성을 화폭에 담아내고자 했다. 즉, 김용준은 당시 미술 형식의 변화에 부응하면서도 월북 이전부터 추구해왔던 필획과 먹색의 조화를 근간으로 하는 전통 문인화풍을 완전히 내려놓지 않았던 것이다.
      번역하기

      1950년에 월북했던 김용준은 1950-60년대 북한미술계의 중심부에서 사회주의 사실주의 민족미술의 형식으로서 조선화를 내세우며, 조선화의 형식을 개변(改變)하고자 했다. 1950년대 중반 ‘조...

      1950년에 월북했던 김용준은 1950-60년대 북한미술계의 중심부에서 사회주의 사실주의 민족미술의 형식으로서 조선화를 내세우며, 조선화의 형식을 개변(改變)하고자 했다. 1950년대 중반 ‘조선화’라는 용어의 사용을 미술계에 제기했던 그는 과학원 소속의 연구자로서 고구려 고분벽화와 김홍도 등의 미술사 연구를 진행하며 그 성과를 집약해 연구서들을 출간했다.
      월북 직후에는 북한 미술계의 동향에 따라 사회주의 사실주의 유화를 창작했지만, 1950년대 중반 조선화 화가로 다시 전향했다. 조선화 화가로서 각종 전람회에 출품했던 1950년대 중 · 후반 그의 작품들은 인물 · 풍경 · 화조 등 다양한 소재로 필획이 살아있는 수묵담채 화풍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1957년 조선화분과 위원장으로 선출된 후, 그는 〈춤〉으로 《세계청년학생축전》에서 1위를 수상함으로써 북한회화의 위상을 높였다.
      김용준은 1960년 이후 채색화 담론의 장에서 조선화 화가들에게 다양한 채색을 구사해 조선화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기를 독려했고, 이에 발맞춰 조선화에 적용시킬 창작기법과 채색기법을 이론으로 재정리했다. 아울러 조선화 화가들에게 요구되었던 천리마 시대에 걸맞은 ‘현실의 약동하는 기상’과 ‘혁명투사들의 투쟁 장면’을 주제로 채택해 채색화로 그려내면서 미술계의 변화에 부응했다.
      그러나 조선화의 형식이 ‘몰골 진채’로 이양되어 가는 과정에서도 김용준은 화조화 분야에서 만큼은 전통 수묵화의 사의성을 화폭에 담아내고자 했다. 즉, 김용준은 당시 미술 형식의 변화에 부응하면서도 월북 이전부터 추구해왔던 필획과 먹색의 조화를 근간으로 하는 전통 문인화풍을 완전히 내려놓지 않았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ed his writings and paintings by using North Korean literature to show concretely what he did after Kim Yong-jun moved to North Korea. He moved to North Korea in 1950 and tried to change the form of Joseonhwa(朝鮮畵) by emphasizing Joseonhwa through the form of socialistic realism and national art in the center of North Korean art circles in the 1950s and 60s.
      Shortly after moving to North Korea, he created oil paintings of socialistic realism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North Korean art circles, but from the mid-1950s, he turned back as a painter of Joseonhwa. As a Joseonhwa artist, he exhibited works at various exhibitions and showed the art style of a light-colored picture with indian ink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portraits, landscapes, flowers and birds. He was elected chairman of the Joseonhwa Division in 1957, and raised the status of North Korean painting by winning the first place in the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with a work called ‘Dance’. As a researcher belonging to academy of science, who first introduced the term “Joseonhwa” to the art world, he studied art history, including Goguryeo tomb murals and works by Kim Hong-do, and published research papers by summarizing the results.
      After 1960, he encouraged Joseonhwa painters to make an innovation of Joseonhwa by using various colors in the field of coloring discourse, and also rearranged the creation technique and coloring technique to be applied to Joseonhwa. In addition, he responded to the changes in the art world by drawing colored paintings that matched the age of Chollima, with the theme of ‘the creative energy of reality’ and ‘the fighting scenes of champions of revolution’, which were required to Joseonhwa painters.
      In the 1960s, as Kim Il-sung’s Juche Ideology was established in North Korea, the form of Joseonhwa changed to ‘Molgol Jinchae’. Despite this situation, he tried to contain in his paintings the Sauisung(寫意性) of the traditional ink painting in the field of Flower Bird Paintings. In other words, he responded to changes in art form, but did not completely give up the style of traditional literary paintings based on the harmony of stroke and ink he had pursued before moving to North Korea.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ed his writings and paintings by using North Korean literature to show concretely what he did after Kim Yong-jun moved to North Korea. He moved to North Korea in 1950 and tried to change the form of Joseonhwa(朝鮮...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ed his writings and paintings by using North Korean literature to show concretely what he did after Kim Yong-jun moved to North Korea. He moved to North Korea in 1950 and tried to change the form of Joseonhwa(朝鮮畵) by emphasizing Joseonhwa through the form of socialistic realism and national art in the center of North Korean art circles in the 1950s and 60s.
      Shortly after moving to North Korea, he created oil paintings of socialistic realism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North Korean art circles, but from the mid-1950s, he turned back as a painter of Joseonhwa. As a Joseonhwa artist, he exhibited works at various exhibitions and showed the art style of a light-colored picture with indian ink using various materials such as portraits, landscapes, flowers and birds. He was elected chairman of the Joseonhwa Division in 1957, and raised the status of North Korean painting by winning the first place in the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with a work called ‘Dance’. As a researcher belonging to academy of science, who first introduced the term “Joseonhwa” to the art world, he studied art history, including Goguryeo tomb murals and works by Kim Hong-do, and published research papers by summarizing the results.
      After 1960, he encouraged Joseonhwa painters to make an innovation of Joseonhwa by using various colors in the field of coloring discourse, and also rearranged the creation technique and coloring technique to be applied to Joseonhwa. In addition, he responded to the changes in the art world by drawing colored paintings that matched the age of Chollima, with the theme of ‘the creative energy of reality’ and ‘the fighting scenes of champions of revolution’, which were required to Joseonhwa painters.
      In the 1960s, as Kim Il-sung’s Juche Ideology was established in North Korea, the form of Joseonhwa changed to ‘Molgol Jinchae’. Despite this situation, he tried to contain in his paintings the Sauisung(寫意性) of the traditional ink painting in the field of Flower Bird Paintings. In other words, he responded to changes in art form, but did not completely give up the style of traditional literary paintings based on the harmony of stroke and ink he had pursued before moving to North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월북 후 유화에서 조선화로의 전향
      • Ⅲ. 1950년대 중 · 후반 김용준의 활동과 회화
      • Ⅳ. 1960년대 김용준의 활동과 회화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월북 후 유화에서 조선화로의 전향
      • Ⅲ. 1950년대 중 · 후반 김용준의 활동과 회화
      • Ⅳ. 1960년대 김용준의 활동과 회화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