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 제4영역 내용구성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22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7 도덕과 교육과정에 처음 제시된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영역의 내용 구 성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의 제4영역에 속하는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는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왜냐하면 첫째, 도덕과 교육과정의 다른 영역에 대해 기 반이 되며, 둘째, 도덕과 교육의 핵심인 덕(德)이 갖는 본의를 특징적으로 드러내며, 셋째, 초 월성을 인식 기능으로서 이해하도록 하는 시작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요한 의 미를 가지는 영역이지만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내용 선정기준과 구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4영 역은 그 자체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분명한데, 이에 어울리는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고 려할 점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피터슨(Peterson)과 셀리그만(Seligman)이 제시하는 초월의 성격 강점인 영성에 관한 설명, 도나 조하르(Danah Zohar)의 영성지능의 개발 프로그램과 오만 (Oman)과 그 동료들이 설명하는 ‘영적 모범화 통합과정의 학습목표’ 설정 방법은 도덕과 교육 과정 제4영역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들 연구를 기반으로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2007 도덕과 교육과정에 처음 제시된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영역의 내용 구 성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의 제4영역에 속하는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이 연구는 2007 도덕과 교육과정에 처음 제시된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영역의 내용 구 성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교육과정의 제4영역에 속하는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는 도덕교육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왜냐하면 첫째, 도덕과 교육과정의 다른 영역에 대해 기 반이 되며, 둘째, 도덕과 교육의 핵심인 덕(德)이 갖는 본의를 특징적으로 드러내며, 셋째, 초 월성을 인식 기능으로서 이해하도록 하는 시작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중요한 의 미를 가지는 영역이지만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내용 선정기준과 구성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제4영 역은 그 자체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이 분명한데, 이에 어울리는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고 려할 점이 무엇인지를 밝혔다. 피터슨(Peterson)과 셀리그만(Seligman)이 제시하는 초월의 성격 강점인 영성에 관한 설명, 도나 조하르(Danah Zohar)의 영성지능의 개발 프로그램과 오만 (Oman)과 그 동료들이 설명하는 ‘영적 모범화 통합과정의 학습목표’ 설정 방법은 도덕과 교육 과정 제4영역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이들 연구를 기반으로 ‘자연·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를 체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德(Deok) is the fundamental of moral education and according to the origin of Deok, it has the sense of heaven and God. So moral education need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to help students get balanced moral personality. The chance to realize balanced moral personality is higher than before with the explicit suggestion of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ranscendental existence' in national curriculum. But we need to prepare systemic methods to achieve the goal of curriculum and select efficient contents well-matched with know-how. Under critics of moral education efficiency, the fourth category exhibits the turning point of awareness of moral education. Up to now, the weak point of moral education is overlooking the full understanding of human as spiritual being. With pressure of scientific positivism, many attempts in moral education looked non-scientific so the aspects of spirituality in human being were despised. But now, the 4th category gives chances to consider unexplored human being's character, transcendence, spirituality as educational contents.
      번역하기

      德(Deok) is the fundamental of moral education and according to the origin of Deok, it has the sense of heaven and God. So moral education need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to help students get balanced moral personality. The chance to realize bal...

      德(Deok) is the fundamental of moral education and according to the origin of Deok, it has the sense of heaven and God. So moral education needs spirituality and transcendence to help students get balanced moral personality. The chance to realize balanced moral personality is higher than before with the explicit suggestion of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transcendental existence' in national curriculum. But we need to prepare systemic methods to achieve the goal of curriculum and select efficient contents well-matched with know-how. Under critics of moral education efficiency, the fourth category exhibits the turning point of awareness of moral education. Up to now, the weak point of moral education is overlooking the full understanding of human as spiritual being. With pressure of scientific positivism, many attempts in moral education looked non-scientific so the aspects of spirituality in human being were despised. But now, the 4th category gives chances to consider unexplored human being's character, transcendence, spirituality as educational cont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교훈, "철학적 인간학연구Ⅰ" 경문사 1994

      2 김희수, "종교철학" 東文選 2000

      3 김형석, "종교의 철학적 이해" 철학과 현실사 1992

      4 한명희, "종교성,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007

      5 에밀 뒤르껭,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992

      6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 긍정심리학의 관점" 학지사 2011

      7 박신경, "유아기의 종교성" 17 : 2002

      8 막스 셸러,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아카넷 2001

      9 한내창, "세대간 종교성 전승" 한국사회학회 39 (39): 185-214, 2005

      10 許愼, "성부중심 설문해자" 일월산방 2008

      1 진교훈, "철학적 인간학연구Ⅰ" 경문사 1994

      2 김희수, "종교철학" 東文選 2000

      3 김형석, "종교의 철학적 이해" 철학과 현실사 1992

      4 한명희, "종교성,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학지사 2007

      5 에밀 뒤르껭, "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 민영사 1992

      6 권석만, "인간의 긍정적 성품 : 긍정심리학의 관점" 학지사 2011

      7 박신경, "유아기의 종교성" 17 : 2002

      8 막스 셸러,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아카넷 2001

      9 한내창, "세대간 종교성 전승" 한국사회학회 39 (39): 185-214, 2005

      10 許愼, "성부중심 설문해자" 일월산방 2008

      11 염정삼, "설문해자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2 에드가 모랭, "미래의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7가지 원칙" 당대 2006

      13 김선숙, "명상의 의의와 학문에의 연계성" 2012

      14 김석진, "대산주역강해(하경)" 대유학당 1995

      15 權重宅, "說文解字의 部首" 서울 2009

      16 許愼,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1981

      17 徐中舒, "漢語古文字字形表" 四川人民書出版社 1981

      18 Smith, Wilfred Cantwell, "宗敎의 意味와 目的" 분도출판사 1997

      19 폴 틸리히, "宗敎란 무엇인가" 展望社 1983

      20 장영백, "『周易』의 ‘德論’ 연구" 중국어문학연구회 (37) : 411-446, 2006

      21 Maclean, A. M., "Transcendence and the Moral Self: Identity Integration, Religion, and Moral Life" 43 (43): 2004

      22 Hirst, P. H., "The logic of the curriculum" 1 (1): 1969

      23 Danah Zohar, "Spiritual Intelligent Leadership, Executive Forum" John Wiley & Sons 2005

      24 Kauffman, J. R., "Social correlates of spiritual maturity among North American Mennonites" 40 : 1998

      25 최관경, "Robert Ulich의 자아초월 교육사상" 5 : 1996

      26 Glock, C. Y, "Religion and Society in Tension" R. McNally & Co 1965

      27 Scheler, M., "Man's place in nature" Beacon Press 1961

      28 Doug Oman, "Integrating Spiritual Modeling Into Education: A College Course for Stress Management and Spiritual Growth" 2008

      29 Dewey, J., "A common faith" Yale University 1969

      30 교육부, "2009개정 도덕과 교육과정(2012. 07 고시)" 교육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2-2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Mor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3 학술지등록 한글명 : 도덕윤리과교육
      외국어명 : 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7 0.96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