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커뮤니티 기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성공조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기지역 푸드뱅크(Food Bank) 사업을 중심으로 = Exploring Successful Conditions of a Community-Based Social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in the Case of Gyounggi Province Food Bank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29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커뮤니티 기반 사회복지 서비스의 하나인 기부식품 제공사업(Food bank, 이하 푸드뱅크)의 운영성과를 서비스 전달체계(service delivery system)의 관점에서 진단함으로써 향후 푸...

      본 논문의 목적은 커뮤니티 기반 사회복지 서비스의 하나인 기부식품 제공사업(Food bank, 이하 푸드뱅크)의 운영성과를 서비스 전달체계(service delivery system)의 관점에서 진단함으로써 향후 푸드뱅크 사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서비스 전달체계 운영을 위한 평가지표로 통합성, 계속성, 접근성, 책임성, 주민참여, 전문성을 설정하고, 경기지역 푸드뱅크를 대상으로 하여 그 운영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의 푸드뱅크는 기관수의 확대, 기탁량 및 배분량의 증가라는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및 운영과 관련된 질적 발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통합성 측면에서 현재의 푸드뱅크는 분절성이 크며, 지속성의 측면에서 이용자에 대한 지원범위와 수준이 미미한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접근성에 있어서 지역의 장소적 여건 등을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기관수의 형식적 확대로 인해 실질적 측면의 접근성 강화에는 한계가 있었다. 아울러 제도 운영에 대한 책임성 결여 및 주민참여의 미흡, 전문 인력부족에 따른 전문성 구현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푸드뱅크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정책개편 방안 및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operations of and suggest policy improvements for food banks based on an index for the successful service delivery system. Most food bank services are delivered by multiple providers, usually working independently, in multip...

      This paper aims to analyze operations of and suggest policy improvements for food banks based on an index for the successful service delivery system. Most food bank services are delivered by multiple providers, usually working independently, in multiple yet isolated settings. This study argues that these fragmented problems should be examine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 food bank system. Evaluation variables are composed of integration, continuation, accessibility, accountability, participation and professionalis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current food bank system in Korea shows qualitative development limitations in spite of quantitative growth in the areas of the number of agencies and the volume of donations and distribution. These limitations are related to its service delivery system. First, the food bank system is fragmented and has a low level and scope of benefits to clients. Second, there are some limitations with access to service utilization, in spite of food bank expansion. Third, a lack of accountability, low voluntary participation and shortage of professional staff can be see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article suggests policy improvement alternativ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통원, "희망한국 21과 사회복지 전달체계" 경실련 2005

      2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3 김경우, "한국사회복지 전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1 (1): 1-14, 2005

      4 정환, "한국 푸드뱅크 운영 활성화 방안 : 서울특별시 기초푸드뱅크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5 최종혁, "한국 청소년복지 서비스전달체계의 통합전략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 (2): 81-97, 2005

      6 이정대, "푸드뱅크사업 성장에 미치는 요인 연구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6

      7 김예숙, "푸드뱅크(Food Bank)사업 운영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기초 푸드뱅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8 정기혜, "푸드뱅크(Food Bank)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57-69, 2008

      9 정기혜, "푸드뱅크 운영의 국제비교" 28 : 53-64, 1999

      10 최성은, "푸드뱅크 사업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 대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 김통원, "희망한국 21과 사회복지 전달체계" 경실련 2005

      2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3 김경우, "한국사회복지 전달체계의 현황과 개선방안" 1 (1): 1-14, 2005

      4 정환, "한국 푸드뱅크 운영 활성화 방안 : 서울특별시 기초푸드뱅크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5

      5 최종혁, "한국 청소년복지 서비스전달체계의 통합전략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 (2): 81-97, 2005

      6 이정대, "푸드뱅크사업 성장에 미치는 요인 연구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6

      7 김예숙, "푸드뱅크(Food Bank)사업 운영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기초 푸드뱅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8 정기혜, "푸드뱅크(Food Bank)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 57-69, 2008

      9 정기혜, "푸드뱅크 운영의 국제비교" 28 : 53-64, 1999

      10 최성은, "푸드뱅크 사업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 대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11 정무성, "푸드뱅크 기탁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자영업자의 기탁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16 : 157-178, 2005

      12 박효양, "푸드마켓 운영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13 우정자, "청소년 보호서비스 전달체계 구성을 위한 이론적 틀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5 (15): 191-223, 2004

      14 이달엽, "직업재활서비스 전달체계와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소고" 한국직업재활학회 14 (14): 217-246, 2004

      15 김순양, "지방정부 치매노인 복지서비스 공급체계의 효율화 방안: 복지다원주의의 관점에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4) : 143-172, 2006

      16 이진, "지방정부 사회복지전달체계 조직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5 (15): 123-149, 2011

      17 박병국, "지방자치단체의 주민생활지원행정체제 정비방안" 지방행정연구원 2007

      18 황미경,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안의 고찰과 제언" 한국비영리학회 8 (8): 43-68, 2010

      19 김우수, "지방자치단체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조직학회 3 (3): 119-136, 2006

      20 박영미, "지방공공복지 전달체계 개편과정에 관한 분석"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23-245, 2008

      21 강혜승, "정부주도형 및 민간주도형 푸드뱅크(Food Bank) 사업의 이용자 실태 및 이용특성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24-233, 2005

      22 "전국푸드뱅크 홈페이지"

      23 임병우,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평가 연구" 7 : 67-85, 2007

      24 박재용, "자영업자의 푸드뱅크 식품기탁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4

      25 홍금자, "일본의 보육 및 아동양육지원 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46) : 117-145, 2006

      26 정무성, "우리나라 푸드뱅크/푸드마켓 운영실태와 문제점"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27 홍민아, "우리나라 정부 및 민간주도형 푸드뱅크(Food Bank)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모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28 김영민, "서울시 푸드뱅크의 식품물류체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통경영학회 11 (11): 27-50, 2008

      29 김경혜, "서울시 푸드뱅크 운영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30 신복기, "사회복지행정론" 공동체 2008

      31 최성재, "사회복지행정론" 나남 1993

      32 서상목,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선과 전문인력 활용방안" 한국개발연구원 1989

      33 이준영, "사회복지전달체계 평가기준의 체계화 가능성 - 책임성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19-240, 2010

      34 국회예산정책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선종합대책 평가" 국회 2011

      35 심영미, "사회복지서비스전달체계 구성원칙의 인식정도가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포천, 양주,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7 (37): 241-267, 2010

      36 강창현, "사회복지서비스 지역전달네트워크의 실험적 설계 - 노인보건복지의 경우 -" 한국정부학회 15 (15): 337-358, 2003

      37 박능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상의 분절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0 (10): 57-83, 2008

      38 차보현,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편과 발전과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16 (16): 257-286, 2006

      39 정기혜, "사회 취약계층의 건강증진을 위한 푸드뱅크사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40 경기도광역푸드뱅크, "사랑의 음식 나눔 은행(푸드뱅크) 이용자만족도 조사보고서" 2005

      41 강혜승, "비용·편익 분석을 이용한 민간단체 푸드뱅크(foodbank)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 평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2 김경혜, "복지시설간 서비스 중복 실태와 개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43 허선,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1 : 183-208, 2000

      44 김미숙, "방과후 아동보육서비스 전달체계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26 (26): 3-36, 2006

      45 이성로, "로컬거버넌스로서의 사회복지협의체 경북북부지역 사례" 한국공공관리학회 23 (23): 281-307, 2009

      46 박준섭, "독일, 프랑스 선진지역 기부식품 관리체계 및 기부자 개발기법"

      47 이규환,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 20 (20): 147-170, 2008

      48 곽병훈, "노인복지 전달체계의 정부 간 역할분담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와 재가노인복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11-138, 2008

      49 하미승, "노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5 (15): 53-81, 2011

      50 서재호, "기초자치단체의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편에 대한 평가 :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성원칙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5 (15): 139-164, 2008

      51 황미경,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통합사례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49-67, 2009

      52 조인형, "경기침체기의 식품 기부문화 활성화 방안" 광주발전연구원 2009

      53 "경기도광역푸드뱅크홈페이지"

      54 송다영, "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수립을 위한 방향과 원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225-252, 2005

      55 Wallace, S. P., "The No-Care Zone: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Acceptability in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30 (30): 254-261, 1990

      56 Sanders, D., "Success Factors in Community-based Nutrition Programmes" 20 (20): 307-315, 1999

      57 Gate, B., "Social Program Administration" Prentice Hall Inc 1980

      58 Tontisirin, K., "Linking Community-based Programs and Service Delivery for Improving Maternal and Child Nutrition" 17 (17): 33-65, 1999

      59 Neil Gilber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Prentice Hall 1993

      60 Gilbert, N.,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Allyn and Bacon 2005

      61 Gilbert, N.,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Englewood Cliff 1974

      62 Slaymaker, T., "Community-based Approaches and Service Delivery: Issues and Options in Difficult Environments and Partnerships" 2005

      63 Conning, J., "Community based targeting Mechanisms for Social Safety nets: A Critical Review" 30 (30): 375-394, 2002

      64 서울광역푸드뱅크, "2009 서울특별시 기초푸드뱅크/마켓 평가 결과보고서분석" 2009

      65 충청남도광역푸드뱅크, "2009 기부식품 제공사업 추진성과보고: 충남광역푸드뱅크" 2009

      66 서울광역푸드뱅크, "2006 서울특별시 기초푸드뱅크 평가 분석"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