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기(史記)』 「화식렬전(貨殖列傳)」 주석서와 그 수사학적(修辭學的) 주석 ― 18세기 조선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 Commentaries and Rhetorical Annotations on "Huozhiliezhuan" of Shij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68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8세기에 조선의 학자가 편찬한 『사기』 「화식열전」 주석서를 분석하여 그 주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18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사기』에서 「화식열전」이 독립되어 단행본으로 널리 유통되었고, 주석서가 여러 종 저술되었다. 그중 「화식전차기」, 『화식전주해』, 『신교화식전』, 『화식전신주』 등 4종의 주석서를 주목하였다. 이주석서들이 주석학의 관점에서 어떤 특징을 지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주석서들은 「화식열전」의 문장을 분석하여 대의와 저자의 저술의도, 각 단락의 주제, 수사법 등의 특징을 밝혔다. 주석의 방법과 내용이 역사적 고증을 지양하고 수사학적 주석을 지향하였다. 「화식열전」을 중국 고대사 및 경제사의 고전으로 읽는 기초 위에 문체가 독특한 문장으로 감상하고 분석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드러냈다.
      이는 明淸 이래 수사학적 주석서가 널리 편찬되고 수용된 동아시아 학계의 경향을 따르고 있다. 복고주의 문학의 성행과 함께 『사기』가 古文의 전범으로 학습되던 문단의 경향이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윤의 추구를 긍정하고 상공업을 진흥해야 한다는 사유의 원천으로서 18세기 조선의 학계가 「화식열전」에 주목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결과 이 주석서는 동아시아의 『사기』 이해와 문학의 추세, 경제관념 등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문헌임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8세기에 조선의 학자가 편찬한 『사기』 「화식열전」 주석서를 분석하여 그 주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18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사기』에서 「화식열전」이 독립되어 단행본...

      이 논문은 18세기에 조선의 학자가 편찬한 『사기』 「화식열전」 주석서를 분석하여 그 주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18세기 이후 조선에서는 『사기』에서 「화식열전」이 독립되어 단행본으로 널리 유통되었고, 주석서가 여러 종 저술되었다. 그중 「화식전차기」, 『화식전주해』, 『신교화식전』, 『화식전신주』 등 4종의 주석서를 주목하였다. 이주석서들이 주석학의 관점에서 어떤 특징을 지녔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주석서들은 「화식열전」의 문장을 분석하여 대의와 저자의 저술의도, 각 단락의 주제, 수사법 등의 특징을 밝혔다. 주석의 방법과 내용이 역사적 고증을 지양하고 수사학적 주석을 지향하였다. 「화식열전」을 중국 고대사 및 경제사의 고전으로 읽는 기초 위에 문체가 독특한 문장으로 감상하고 분석하려는 의도를 분명히 드러냈다.
      이는 明淸 이래 수사학적 주석서가 널리 편찬되고 수용된 동아시아 학계의 경향을 따르고 있다. 복고주의 문학의 성행과 함께 『사기』가 古文의 전범으로 학습되던 문단의 경향이 영향을 미쳤다. 한편, 이윤의 추구를 긍정하고 상공업을 진흥해야 한다는 사유의 원천으로서 18세기 조선의 학계가 「화식열전」에 주목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연구의 결과 이 주석서는 동아시아의 『사기』 이해와 문학의 추세, 경제관념 등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문헌임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ommentaries on "Huozhiliezhuan" (Biographies of Usurers) of Shiji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notation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in Joseon, "Huozhiliezhuan" was published separately from Shiji as an individual volume, and many commentaries were published. This study focused on four commentaries, Hwasikjeonchagi, Hwasikjeonjuhae, Shingyohwasikjeon, and Hwasikjeonshinju, to analyze their exegetic characteristics.
      These commentaries analyzed the sentences in "Huozhiliezhuan" to identify its implications, the author's intention, the theme of each paragraph, and rhetoric. The methods and content of the annotations were less focused on historical research and were more rhetorical.
      The commentaries were clear in their intent to appreciate and analyze "Huozhiliezhuan" as a work with a distinctive style, on the basis of reading it as a classical work on the ancient history and economic history of China. The commentaries followed the academic trends of East Asia, where rhetorical commentaries had been widely distributed and accepted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y.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the literary trends, as revivalist literature gained popularity and Shiji was considered the canon of classical texts. Another contributing factor was that the Joseon academia in the eighteenth century took an interest in "Huozhiliezhuan" out of the belief that the pursuit of profit should be considered in a positive light and that commerce and industry should be promo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mmentaries are works that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Shiji, as well as the literary trends and economic knowledge in East Asia.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ommentaries on "Huozhiliezhuan" (Biographies of Usurers) of Shiji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notation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in Joseon, "Huozhiliezhuan" was published sepa...

      This study analyzed the commentaries on "Huozhiliezhuan" (Biographies of Usurers) of Shiji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notation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in Joseon, "Huozhiliezhuan" was published separately from Shiji as an individual volume, and many commentaries were published. This study focused on four commentaries, Hwasikjeonchagi, Hwasikjeonjuhae, Shingyohwasikjeon, and Hwasikjeonshinju, to analyze their exegetic characteristics.
      These commentaries analyzed the sentences in "Huozhiliezhuan" to identify its implications, the author's intention, the theme of each paragraph, and rhetoric. The methods and content of the annotations were less focused on historical research and were more rhetorical.
      The commentaries were clear in their intent to appreciate and analyze "Huozhiliezhuan" as a work with a distinctive style, on the basis of reading it as a classical work on the ancient history and economic history of China. The commentaries followed the academic trends of East Asia, where rhetorical commentaries had been widely distributed and accepted since the Ming and Qing dynasty. They were also influenced by the literary trends, as revivalist literature gained popularity and Shiji was considered the canon of classical texts. Another contributing factor was that the Joseon academia in the eighteenth century took an interest in "Huozhiliezhuan" out of the belief that the pursuit of profit should be considered in a positive light and that commerce and industry should be promo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ommentaries are works that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Shiji, as well as the literary trends and economic knowledge in East As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민정, "한・중・일의 수사학적 경전해석-『孟子』 주석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9

      2 이현호, "조선후기 『사기』 비평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3 안대회, "조선 후기 『史記』 「貨殖列傳」 주석서의 문헌적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10) : 201-230, 2020

      4 양중석, "조선 문인들이 본 《사기 화식열전》" 한국중국어문학회 89 : 37-55, 2016

      5 瀧 康秀, "齋藤拙堂 「梅溪遊記」と『史記』 貨殖列傳-文章における敍事と議論" 10 : 10-, 2008

      6 凌朝棟, "選讀精彩篇章 傳播《史記》文化- 《〈史記〉選本硏究》成果要覽" 35 (35): 2020

      7 "貨殖傳, 1책, 사본"

      8 서신혜, "貨殖傳 수용의 양태와 경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8) : 31-55, 2006

      9 杨昊鸥, "论"史记"文章学经典地位在明代的形成" (3) : 2014

      10 "經史五解, 1책, 사본"

      1 유민정, "한・중・일의 수사학적 경전해석-『孟子』 주석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9

      2 이현호, "조선후기 『사기』 비평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3 안대회, "조선 후기 『史記』 「貨殖列傳」 주석서의 문헌적 연구" 대동문화연구원 (110) : 201-230, 2020

      4 양중석, "조선 문인들이 본 《사기 화식열전》" 한국중국어문학회 89 : 37-55, 2016

      5 瀧 康秀, "齋藤拙堂 「梅溪遊記」と『史記』 貨殖列傳-文章における敍事と議論" 10 : 10-, 2008

      6 凌朝棟, "選讀精彩篇章 傳播《史記》文化- 《〈史記〉選本硏究》成果要覽" 35 (35): 2020

      7 "貨殖傳, 1책, 사본"

      8 서신혜, "貨殖傳 수용의 양태와 경향"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8) : 31-55, 2006

      9 杨昊鸥, "论"史记"文章学经典地位在明代的形成" (3) : 2014

      10 "經史五解, 1책, 사본"

      11 牛運震, "空山堂史記評註" 中華書局 2012

      12 江志豪, "牛運震之文章評論學" 香港中文大學 2004

      13 邱詩雯, "清代桐城派《史记》學硏究" 2018

      14 이강범, "淸代 ꡔ史記ꡕ 연구의 두 방향─ 梁玉繩의 “志疑”와 崔述의 “考信”" 중국어문학연구회 (101) : 281-306, 2016

      15 李載運, "海東貨殖傳" 휴머니스트 2019

      16 안대회, "李載運의 『海東貨殖傳』과 巨富列傳" 한국실학학회 (37) : 301-342, 2019

      17 李象秀, "峿堂集, 한국문집총간속 134집"

      18 凌稚隆, "增定史記纂, 10책, 顯宗實錄字本 活字"

      19 韓兆琦, "史記箋證" 江西人民出版社 2004

      20 瀧川龜太郞, "史記會注考證" 東京大學 東洋文化硏究所 1960

      21 毛金霞, "史記敍事硏究" 陝西人民敎育出版社 2006

      22 凌稚隆, "史纂, 7책, 訓鍊都監字 活字"

      23 鄭亮欽, "古今集註新校貨殖傳, 1책, 사본"

      24 金昌翕, "三淵集, 한국문집총간 165~167집"

      25 성균관대 동양사연구실, "『사기(史記)』 <화식열전(貨殖列傳)> 역주2" 21 : 2002

      26 성균관대 동양사연구실, "『사기(史記)』 <화식열전(貨殖列傳)> 역주1" 18 : 2002

      27 김경호, "『史記』 「貨殖列傳」의 구성과 “自然之驗”의 의미" 수선사학회 (46) : 481-513, 2013

      28 张新科, "《史记》在日本的传播与硏究" 2014

      29 하지영, "18세기 진한고문론의 전개와 실현 양상" 소명출판 2019

      30 안대회, "18세기 새로운 부(富)의 인식과 이재론(理財論)―이재운의 『해동화식전』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128) : 436-469,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DAEDONG MUNHWA YEON'GU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6-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Institute of Eastern Studies -> Daedong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5 1.7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