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星湖 李瀷의 武인식과 武人養成論 = A study on Seongho Yi Ik's ecommendation for Nurturing of Military Officia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28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ivil and military virtues were 2 pillars of Joseon Dynasty on its surface at least. However, Joseon in substance, was a state committed to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where military officials were greatly discriminated as compared to its civil peers. This led to deterioration of military defence capacity. That is why Seongho Yi Ik emphasized importance of nurturing of military officials, thereby making it priority No. 1 to overcome "civil order' precedence over military order.
      This paper is designed to summarize characteristics of Seongho' arguments for strong military forces based of his awareness on the military, mostly shown in Seongho saseol(Yi Ik's encyclopedic work). It focuses on his policy recommendation to strengthen hiring system of military officials including improvement of military officer examinations and introduction of military academy.
      Given his emphasis on the military that military and civil officer orders should be put on an equal footing and arguments against the thought of the times where civil officials were respected and military officials were disregarded, it is fair to say that "nurturing & hiring of military talents" lies at the heart of his argument for armaments. Spirit of a society pillared around civil and military officer orders on an equal standing was overshadowed by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in reality, which weakened military capacity. Prerequisite to grow strong military to Seongho, was equal treatment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d the first place to start was cultivation of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s. This was significant departure from traditional Confucianist thinking that it is ideal for civil officials to be also equipped with military qualities. He envisioned equal treatment in hiring government officials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s (civil or military) by nurturing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s and putting them in civil offices, thereby lifting status of military official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trong armed forces. To that end, Seongho argued for improvement of examinations for military officers and establishment of military academy to back it up, just as Seonggyungwan, Confucian Academy of Joseon was there to support succes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military academy envisioned by Seongho was to provide systematic military education and to assess cadets' performance, thus producing best military commanders to serve the country. Seongho's idea of military academy germinated in a modern military school later on. The most noteworthy in his argument for military academy is establishment of a shrine of military hero. He suggested to build a shrine for Gang, Tae Gong, prominent Chinese military strategist. Building a shrine for a great military figure, which is equivalent of Confucian shrine of Seonggyungwan, implies military academy stands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Confucian Academy. That was Seongho's suggestion to overcome conventional disrespect for military officials and improve their status.
      번역하기

      Civil and military virtues were 2 pillars of Joseon Dynasty on its surface at least. However, Joseon in substance, was a state committed to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where military officials were greatly discriminated as compared to it...

      Civil and military virtues were 2 pillars of Joseon Dynasty on its surface at least. However, Joseon in substance, was a state committed to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where military officials were greatly discriminated as compared to its civil peers. This led to deterioration of military defence capacity. That is why Seongho Yi Ik emphasized importance of nurturing of military officials, thereby making it priority No. 1 to overcome "civil order' precedence over military order.
      This paper is designed to summarize characteristics of Seongho' arguments for strong military forces based of his awareness on the military, mostly shown in Seongho saseol(Yi Ik's encyclopedic work). It focuses on his policy recommendation to strengthen hiring system of military officials including improvement of military officer examinations and introduction of military academy.
      Given his emphasis on the military that military and civil officer orders should be put on an equal footing and arguments against the thought of the times where civil officials were respected and military officials were disregarded, it is fair to say that "nurturing & hiring of military talents" lies at the heart of his argument for armaments. Spirit of a society pillared around civil and military officer orders on an equal standing was overshadowed by the principle of rule by civil officials in reality, which weakened military capacity. Prerequisite to grow strong military to Seongho, was equal treatment of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nd the first place to start was cultivation of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s. This was significant departure from traditional Confucianist thinking that it is ideal for civil officials to be also equipped with military qualities. He envisioned equal treatment in hiring government officials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s (civil or military) by nurturing high-ranking military officials and putting them in civil offices, thereby lifting status of military official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strong armed forces. To that end, Seongho argued for improvement of examinations for military officers and establishment of military academy to back it up, just as Seonggyungwan, Confucian Academy of Joseon was there to support success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military academy envisioned by Seongho was to provide systematic military education and to assess cadets' performance, thus producing best military commanders to serve the country. Seongho's idea of military academy germinated in a modern military school later on. The most noteworthy in his argument for military academy is establishment of a shrine of military hero. He suggested to build a shrine for Gang, Tae Gong, prominent Chinese military strategist. Building a shrine for a great military figure, which is equivalent of Confucian shrine of Seonggyungwan, implies military academy stands on an equal footing with the Confucian Academy. That was Seongho's suggestion to overcome conventional disrespect for military officials and improve their statu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성호 이익의 무에 대한 인식과 그 결과로서 나타난 무비론의 내용을 『성호사설』을 바탕으로 개괄하고 성호 무비론의 대표적인 내용인 무인양성론을 무과의 개선과 무학의 설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성호 이익의 무비론을 연구함에 있어 ‘숭문천무’의 사조를 극복하기 위해 ‘文武竝立’을 급선무로 여겼던 그의 ‘무’에 대한 인식을 고려할 때 성호무비론의 핵심은 바로 武人養成론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사회가 표방한 ‘文武竝用’이 실제적으로는 文治主義에 의해 전혀 실현되지 못하면서 결국 무비의 허실화가 초래되었으므로 강력한 무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진정한 ‘文武竝立’이 이루어져야 했던 것이다. 성호 이익이 문무양립을 위해 방안으로 제안한 것이 바로 고급무관의 양성이었다. 이는 당시 文士가 武才를 겸비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는 유교적 인식을 벗어난 것으로 성호 이익은 양질의 고급무관을 양성하여 이들을 오히려 문관직에 보임하여 ‘文武無拘’의 인재등용으로 무관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강력한 무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 고급 무관의 등용문인 무과의 개선과 동시에 문과를 교육적으로 뒷받침하는 성균관과 같은 무학을 창설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하고 평가를 통해 인재를 배출함으로써 최고 군사 지휘관을 양성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성호 이익의 武學 설계는 근대적인 무관학교의 맹아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무학에 있어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武聖王廟의 설치이다. 무성왕묘는 흔히 武廟라고도 하며 太公廟를 가리킨다. 성균관의 문묘의 역할을 하는 무성왕묘 설치는 무관들도 배향 의식을 통해 숭배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賤武의 사조를 극복하고 무관에 대한 인식과 지위향상을 위한 성호 이익의 근본적 문제 해결 방안이었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성호 이익의 무에 대한 인식과 그 결과로서 나타난 무비론의 내용을 『성호사설』을 바탕으로 개괄하고 성호 무비론의 대표적인 내용인 무인양성론을 무과의 개선과 무학의 설...

      본고에서는 성호 이익의 무에 대한 인식과 그 결과로서 나타난 무비론의 내용을 『성호사설』을 바탕으로 개괄하고 성호 무비론의 대표적인 내용인 무인양성론을 무과의 개선과 무학의 설치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성호 이익의 무비론을 연구함에 있어 ‘숭문천무’의 사조를 극복하기 위해 ‘文武竝立’을 급선무로 여겼던 그의 ‘무’에 대한 인식을 고려할 때 성호무비론의 핵심은 바로 武人養成론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조선사회가 표방한 ‘文武竝用’이 실제적으로는 文治主義에 의해 전혀 실현되지 못하면서 결국 무비의 허실화가 초래되었으므로 강력한 무비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진정한 ‘文武竝立’이 이루어져야 했던 것이다. 성호 이익이 문무양립을 위해 방안으로 제안한 것이 바로 고급무관의 양성이었다. 이는 당시 文士가 武才를 겸비하는 것을 이상적으로 보는 유교적 인식을 벗어난 것으로 성호 이익은 양질의 고급무관을 양성하여 이들을 오히려 문관직에 보임하여 ‘文武無拘’의 인재등용으로 무관의 위상을 높이고 나아가 강력한 무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를 위해 고급 무관의 등용문인 무과의 개선과 동시에 문과를 교육적으로 뒷받침하는 성균관과 같은 무학을 창설하여 체계적인 교육을 시행하고 평가를 통해 인재를 배출함으로써 최고 군사 지휘관을 양성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성호 이익의 武學 설계는 근대적인 무관학교의 맹아라 할 수 있겠다.
      또한 무학에 있어 가장 주목해야 할 부분은 바로 武聖王廟의 설치이다. 무성왕묘는 흔히 武廟라고도 하며 太公廟를 가리킨다. 성균관의 문묘의 역할을 하는 무성왕묘 설치는 무관들도 배향 의식을 통해 숭배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곧 賤武의 사조를 극복하고 무관에 대한 인식과 지위향상을 위한 성호 이익의 근본적 문제 해결 방안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棕浩, "李瀷의 國防觀" 마산대 6 (6): 1984

      2 金駿錫, "柳馨遠의 政治․國防體制改革論" 연세대 국학연구원 75 : 1993

      3 金澈雄, "梁誠之의 祀典 改革論" 한국문화사학회 (21) : 807-824, 2004

      4 金友哲, "조선후기 속오군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5 심승구, "조선후기 무과의 운영실태와 기능" 조선시대사학회 (23) : 147-205, 2002

      6 김문식, "정약용의 대외인식과 국방론" 다산학술문화재단 (4) : 2003

      7 서종태, "성호 이익의 서양관" 안산시 2003

      8 李成茂, "韓國의 科擧制度" 集文堂 2000

      9 "藿憂錄"

      10 "磻溪隧錄"

      1 李棕浩, "李瀷의 國防觀" 마산대 6 (6): 1984

      2 金駿錫, "柳馨遠의 政治․國防體制改革論" 연세대 국학연구원 75 : 1993

      3 金澈雄, "梁誠之의 祀典 改革論" 한국문화사학회 (21) : 807-824, 2004

      4 金友哲, "조선후기 속오군제 연구"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9

      5 심승구, "조선후기 무과의 운영실태와 기능" 조선시대사학회 (23) : 147-205, 2002

      6 김문식, "정약용의 대외인식과 국방론" 다산학술문화재단 (4) : 2003

      7 서종태, "성호 이익의 서양관" 안산시 2003

      8 李成茂, "韓國의 科擧制度" 集文堂 2000

      9 "藿憂錄"

      10 "磻溪隧錄"

      11 강경원, "李瀷- 인간소외 극복의 실학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2

      12 "朝鮮王朝實錄"

      13 鄭萬祚, "朝鮮後期의 良役變通論議에 對한 檢討" 동덕여대 7 : 1977

      14 趙珖, "朝鮮後期實學者의 軍制改革論" 17 : 1987

      15 申大鎭, "朝鮮後期實學者의 文武에 대한 認識과 武科制改善論" 경주사학회 14 : 1995

      16 李俊九, "朝鮮後期‘武學’攷" 대구사학회 23 : 1983

      17 한종수, "朝鮮後期 肅宗代 關王廟 致祭의 性格" 한국역사민속학회 (21) : 73-106, 2005

      18 朴原出, "星湖李瀷의 軍役變通論" 부산대사학회 22 : 1998

      19 河宇鳳, "星湖李瀷의 日本認識" 전북대사학회 8 : 1984

      20 韓㳓劤, "星湖李瀷硏究-人間星湖와 그의 政治思想"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21 趙楨基, "星湖의 軍政論" 마산대 6 (6): 1984

      22 "星湖先生全集"

      23 "星湖僿說"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