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대법원은 2022. 6. 24. 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로 낙태권을 미국 연방헌법상 근본적 권리목록에서 퇴출하였다. 낙태권은 1973년 Roe v. Wade 판결에서 근본적 권리로 확인된 이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미국 연방대법원은 2022. 6. 24. 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로 낙태권을 미국 연방헌법상 근본적 권리목록에서 퇴출하였다. 낙태권은 1973년 Roe v. Wade 판결에서 근본적 권리로 확인된 이래...
미국 연방대법원은 2022. 6. 24. 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로 낙태권을 미국 연방헌법상 근본적 권리목록에서 퇴출하였다. 낙태권은 1973년 Roe v. Wade 판결에서 근본적 권리로 확인된 이래 수정헌법 제14조 적법절차조항에서 도출되는 대표적인 근본적 권리로 여겨져 왔으나, 약 반세기 만에 미국 연방 법체계에서의 헌법적 가치와 위상을 상실하게 되었다. Dobbs 판결에 대한 논쟁과 갈등은 과거 낙태권을 처음 인정한 Roe 판결이 야기했던 사회적 동요를 역으로 재현한다.
이 글은 종교적・도덕적・정치적 기반 위에 다양하게 전개되는 낙태에 대한 찬반을 직접 논하지 않는다. 그보다 헌법이론 및 사법정책의 관점에서 Dobbs 판결이 소수자의 인권에 끼칠 영향을 논하고자 한다. Dobbs 판결은 미국 여성들의 삶과 권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그 전개된 법리에 비춰 소수자 일반의 인권에 결정적 변곡점이 될 여지가 있다. 주지하듯 미국 연방대법원은 수정헌법 제14조(적법절차조항, 평등보호조항)를 바탕으로, 해석을 통해 헌법 문언에 명시적 규정을 두지 않은 일련의 개인적 자유와 권리를 근본적 권리로 발견하고 그에 특별한 헌법적 보호를 인정해왔다. 근본적 권리에 대한 제한이나 근본적 권리에 관한 차별은 높은 강도의 사법심사기준을 적용받으며 엄격히 통제된다. 어떤 방법과 기준으로 근본적 권리를 인정할지는 미국 연방대법원의 인권 옹호 기능 발동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특히 자신의 가치와 생활양식을 다수결에 의한 정치과정에서 존중받을 수 없어 사법적 보호를 기대할 수밖에 없는 소수자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연방대법원은 진작부터 근본적 권리를 확인하는데 ‘역사와 전통’을 주요한 기준으로 삼아왔지만, Dobbs 판결은 위 기준을 더욱 보수적 방향으로 적용하였다. 이로써 위 판결은 근본적 권리분석에 관하여 2015년 Obergefell v. Hodges 판결에서 관찰되었던 진보적 변화추세를 일축하고, 일견 반혁명적으로까지 보이는 결론 – 낙태권을 근본적 권리목록에서 ‘퇴출’-을 도출하기에 이르렀다. 이 지점에서 Dobbs 판결은 연방대법원이 수정헌법 제14조 근본적 권리 분석에 토대하여 이뤄온 헌법적 진보의 반환점이라거나 연방대법원이 강조하여 온 소수자 인권 옹호 역할과 기능에 관한 균열로 평가될만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June 24, 2022,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effectively removed the right to abortion from the list of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U.S. Constitution in 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 The right to abortion had been considered a co...
On June 24, 2022,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 effectively removed the right to abortion from the list of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U.S. Constitution in Dobbs v. Jackson Women's Health Organization. The right to abortion had been considered a core right, derived from the Due Process Clause of the Fourteenth Amendment since its affirmation in Roe v. Wade in 1973, but it lost its constitutional value and stature in the U.S. federal legal system nearly half a century later. The debate and conflict surrounding the Dobbs decision echo the social unrest that the Roe decision, which first recognized abortion rights, initially induced.
This article does not engage directly with the varied and contentious positions on abortion that rest on religious, moral, and political grounds. Rather, it seeks to discuss the impact of the Dobbs decision on the rights of mino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theory and judicial policy. The Dobbs decision not only directly affects the lives and rights of women in the United States, but it also potentially represents a critical turning point in the rights of minorities in general when viewed in light of the legal principles it espoused. Based on the Fourteenth Amendment (Due Process Clause, Equal Protection Clause), the U.S. Supreme Court has discovered a series of individual liberties and rights that are not explicitly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al text through interpretation, recognizing these as fundamental rights deserving of special constitutional protection. Restrictions or discrimination relating to fundamental rights are subjected to a high-intensity judicial review standard and are strictly controlled. The method and criteria for recognizing fundamental rights are extremely important in activating the human rights advocacy function of the U.S. Supreme Court and have a profound impact on minorities, who can only expect judicial protection as they cannot secure respect for their values and lifestyles in the political process governed by majority rule. The Supreme Court has long used ‘history and tradition’ as a key criterion in confirming fundamental rights, but the Dobbs decision applied this criterion in a more conservative direction. As a result, the decision curtailed the progressive trend observed in the fundamental rights analysis in the 2015 Obergefell v. Hodges decision, leading to what can be seen as a counter-revolutionary conclusion - ‘evicting’ the right to abortion from the list of fundamental rights. From this point, the Dobbs decision can be assessed as a rupture in the constitutional progress that the Supreme Court has made based on the Fourteenth Amendment's fundamental rights analysis, as well as a fracture in the role and function of advocating for minority rights that the Supreme Court has emphasized.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근, "실체적 적법절차 원리의 헌법적 기능 -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9 (9): 11-36, 2015
2 전영평, "소수자의 정체성, 유형, 그리고 소수자 정책 연구 관점" 정부학연구소 13 (13): 107-131, 2007
3 송현정, "사회적 소수자 보호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19
4 송현정, "사법부의 소수자 보호 역할론 ― 미국 연방대법원의 소수자 보호 법리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31 (31): 1-37, 2020
5 이명웅, "민주주의와 헌법재판" 18 : 2007
6 성기용, "미국헌법상 실체적 적법절차의 법리" 미국헌법학회 18 (18): 149-186, 2007
7 석인선, "미국헌법상 기본적 권리(fundamental rights)론의 전개와 평가"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3 (13): 1-22, 2007
8 박종보, "미국헌법상 기본권의 체계와 이론적 특징" 17 (17): 2006
9 전상현, "미국연방대법원의 돕스 판결에 나타난 헌법해석 논쟁"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8 (28): 31-66, 2022
10 정순원, "미국 헌법상 최소한의 기초적인 교육에 관한 권리의 기본권성 ― Gary B 판결(2020년)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31 (31): 93-135, 2020
1 이종근, "실체적 적법절차 원리의 헌법적 기능 -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9 (9): 11-36, 2015
2 전영평, "소수자의 정체성, 유형, 그리고 소수자 정책 연구 관점" 정부학연구소 13 (13): 107-131, 2007
3 송현정, "사회적 소수자 보호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 연구" 사법정책연구원 2019
4 송현정, "사법부의 소수자 보호 역할론 ― 미국 연방대법원의 소수자 보호 법리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31 (31): 1-37, 2020
5 이명웅, "민주주의와 헌법재판" 18 : 2007
6 성기용, "미국헌법상 실체적 적법절차의 법리" 미국헌법학회 18 (18): 149-186, 2007
7 석인선, "미국헌법상 기본적 권리(fundamental rights)론의 전개와 평가"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3 (13): 1-22, 2007
8 박종보, "미국헌법상 기본권의 체계와 이론적 특징" 17 (17): 2006
9 전상현, "미국연방대법원의 돕스 판결에 나타난 헌법해석 논쟁"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8 (28): 31-66, 2022
10 정순원, "미국 헌법상 최소한의 기초적인 교육에 관한 권리의 기본권성 ― Gary B 판결(2020년)을 중심으로 ―" 미국헌법학회 31 (31): 93-135, 2020
11 석인선, "미국 헌법상 소수자에 대한 사법상의 보호와 사법적극주의" 6 : 2003
12 김지영, "미국 헌법상 새로운 기본권 도출의 근거와 판단기준" 유럽헌법학회 (39) : 249-282, 2022
13 권혜영, "미국 연방헌법상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의 분석방법 - 실체적 적법절차론과 수정 제9조에 의한 분석론" 한국비교공법학회 10 (10): 3-28, 2009
14 이명웅, "미국 연방대법원의 3단계 심사기준의 성립 과정" 헌법재판소 22 : 249-310, 2011
15 문재완, "미국 낙태죄 논쟁 — 미국 보수주의 법률가들은 Roe v. Wade 판결을 어떻게 뒤집었나?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8 (28): 1-30, 2022
16 최지연, "미 연방대법원 Roe v. Wade 판결폐기의 함의와 향후 주별 입법 전망" 미국헌법학회 33 (33): 63-93, 2022
17 한정헌, "들뢰즈/가타리의 관점에서 본 소수자신학 연구" 신학사상연구소 (175) : 281-313, 2016
18 함재학, "드워킨의 헌법사상: 헌법적 통합성과 파트너십 민주주의" 한국법철학회 12 (12): 183-222, 2009
19 성중탁, "동성(同性)혼에 관한 최신 미연방대법원 OBERGEFELLETAL. v. HODGES 사건 판례와 그 시사점" 법학연구원 (53) : 1-29, 2016
20 최희경, "낙태절차규제의 위헌성여부에 관하여 – 미 연방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 13 (13): 2007
21 김문현, "기본권의 법적 근거와 판단기준에 관한 소고"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18 (18): 167-193, 2012
22 Joel I. Colön-Rios, "The three waves of the constitutionalism-democracy debate in the U.S.(and an invitation to return to the first)" 18 (18): 2010
23 Robert M. Cover, "The origins of judicial activism in the protection of minorities" 84 (84): 1982
24 Peter Cane, "The New Oxford Companion to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25 Alexander Hamilton, "The Federalist Papers & Anti-Federalist Papers: Complete Edition of the Pivotal Constitution Debate" Madison & Adams Press 2017
26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7 J.S. Mill, "On Liberty" The Walter Scott Publishing Co., Ltd 1859
28 Mark Niles, "Ninth amendment adjudication: an alternative to substantive due process analysis of personal autonomy rights" 48 : 2000
29 Robert A. Dahl, "Democracy and Its Critics" Yale University Press 1991
30 John Hart Ely, "Democracy and Distrust : A Theory of Judicial Review"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31 "Black’s Law Dictionary" West Publishing Company, College & School Division 1999
32 Robert A. Dahl, "A Preface to Democratic Theo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6
노동조합법 제2조 및 제3조 개정법률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의 부당성
[자료] 에른스트-볼프강 뵈켄회르데 - 김효전 왕복 편지 및 자료 모음 1981-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