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상권은 언론 실무에서 매우 중요한 쟁점이다. 초상권 관련 불만이 수시로 제기되고 법원과 언론중재위가 초상권 침해를 폭넓게 인정하면서 한국 언론에는 흐림처리가 일상화되었다. 특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743302
심석태 (세명대학교)
2023
Korean
right of portrait(portrait rights) ; precedent ; media arbitration ; media practice ; code of ethics ; blurring ; 초상권 ; 판례 ; 언론중재 ; 윤리규범 ; 언론관행 ; 흐림처리
KCI등재
학술저널
1-29(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초상권은 언론 실무에서 매우 중요한 쟁점이다. 초상권 관련 불만이 수시로 제기되고 법원과 언론중재위가 초상권 침해를 폭넓게 인정하면서 한국 언론에는 흐림처리가 일상화되었다. 특별...
초상권은 언론 실무에서 매우 중요한 쟁점이다. 초상권 관련 불만이 수시로 제기되고 법원과 언론중재위가 초상권 침해를 폭넓게 인정하면서 한국 언론에는 흐림처리가 일상화되었다. 특별히 고위 공직자나 유명인의 공식적 활동이 아닌데 사진을 사용하려면 언론이 굳이 사진을 사용하는 이유를 설명해야 하는 것처럼 받아들여진다. 이런 관행이 만들어진 배경에는 과거 초상권 침해를 다룬 판결들이 공적 관심사에 대한 보도에서도 당사자의 동의 요건을 매우 좁게 해석하는 등 제한적인 기준을 제시한 영향이 크다. 이후 새로운 일부 판례들이 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나왔던 판례들을 기준으로 혹시 모를 법적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방어적 기준이 언론계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런 기준은 언론사 등의 윤리규범 속에 그대로 나타난다. 한국 사회에는 언론의 흐림처리가 과도하며 남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과 함께 초상권 보호를 위해 사진 공개를 더 제한해야 한다는 시각이 병존하고 있다. 그렇다 보니 과거 판례와 언론중재 사례를 기준으로 매우 방어적인 실무 관행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판례들을 분석해 초상권 관련 쟁점들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들을 시론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무엇보다 조금이라도 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초상권 관련 판단기준을 구조화하는 방안도 제시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to deal with the right of portrait is a crucial issue in journalism. Complaints related to right of portrait are increasingly common, and both courts and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have widely acknowledged infringements. As a result, media o...
How to deal with the right of portrait is a crucial issue in journalism. Complaints related to right of portrait are increasingly common, and both courts and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have widely acknowledged infringements. As a result, media organizations have become more cautious when using portraits. Specifically, if a photo is not related to an official activity involving a high-ranking official or celebrity, the media should provide a rationale for its use. Courts have narrowly interpreted the requirement for consent, leading to the frequent blurring of photos in Korean news reports. Although some recent court rulings haver offered somewhat different approaches toward right of portrait and press, defensive standards based on past precedents and mediation cases are becoming more entrenched in daily journalism. Given this landscape, this study has analyzed recent court rulings to propose a more systematic and consistent approach to the issue. This study has also proposed a exploratory framework for making judgments related to portrait righ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금희 ; 최윤정, "흐려진 이미지 자동화 검출 방법을 이용한 사건·사고 방송뉴스의 화면흐림처리 영상분석" 한국방송학회 37 (37): 129-167, 2023
2 심석태, "한국에서 초상권은 언제 사생활권에서 분리되었나: 학설과 판례에서의 초상권의 독립적 인격권 인정 과정과 그 영향" (사)한국언론법학회 13 (13): 251-282, 2014
3 한겨레, "한겨레 원칙은 이렇습니다"
4 조소영, "판례에 나타난 초상권 적용 법리에 대한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99-120, 2018
5 이재경,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6 김상우, "텔레비전 뉴스의 모자이크 영상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방송·예술연구소 9 (9): 29-54, 2014
7 함석천, "초상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법리 전개" 법조협회 55 (55): 191-222, 2006
8 류종현, "초상권: 보도되는 자의 권리, 보도하는 자의 윤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9 문건영, "언론에 의한 초상권 침해 판단 기준의 구체화에 관한 연구" 법조협회 69 (69): 208-247, 2020
10 동세호 ; 김성용 ; 안호림,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소송의 경향과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70-381, 2016
1 정금희 ; 최윤정, "흐려진 이미지 자동화 검출 방법을 이용한 사건·사고 방송뉴스의 화면흐림처리 영상분석" 한국방송학회 37 (37): 129-167, 2023
2 심석태, "한국에서 초상권은 언제 사생활권에서 분리되었나: 학설과 판례에서의 초상권의 독립적 인격권 인정 과정과 그 영향" (사)한국언론법학회 13 (13): 251-282, 2014
3 한겨레, "한겨레 원칙은 이렇습니다"
4 조소영, "판례에 나타난 초상권 적용 법리에 대한 고찰" 한국비교공법학회 19 (19): 99-120, 2018
5 이재경, "텔레비전 뉴스의 품질"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6 김상우, "텔레비전 뉴스의 모자이크 영상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방송·예술연구소 9 (9): 29-54, 2014
7 함석천, "초상권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법리 전개" 법조협회 55 (55): 191-222, 2006
8 류종현, "초상권: 보도되는 자의 권리, 보도하는 자의 윤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9 문건영, "언론에 의한 초상권 침해 판단 기준의 구체화에 관한 연구" 법조협회 69 (69): 208-247, 2020
10 동세호 ; 김성용 ; 안호림, "언론보도에 의한 초상권 침해 소송의 경향과 특성" 한국콘텐츠학회 16 (16): 370-381, 2016
11 전민규, "보도사진과 모자이크"
12 승상준, "방송 중 초상권 보호를 위한실시간 얼굴인식 및 모자이크 처리 기술 개발" 29 (29): 481-482, 2021
13 이재진 ; 동세호, "방송 관련 초상권 침해 소송에서 나타난 ‘동의’의 적용 법리에 대한 연구" (사)한국언론법학회 14 (14): 101-148, 2015
14 문재완, "미디어와 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15 장태영, "디지털 시대의 초상권 침해 양상과 가상의 사례와 국내외 판례로 본 법리 적용. 2018년 언론중재위원회 토론회 종합보고서. 세션2 주제발표문" 39-195, 2018
16 이수종, "디지털 시대가 가져온 초상권의 문제, 그리고 해법의 모색. 2018년 언론중재위원회 토론회 종합보고서. 세션1 주제발표문" 1-35, 2018
17 미디어오늘, "기자 스스로 취재원인양 KNN 추가 법정제재"
18 이데일리, "괌 체포 법조인 부부 머그샷, 한국에서는 왜 모자이크?"
19 심석태, "공인 개념의 현실적 의의와 범위에 대한 고찰 ― 법무부 ‘수사공보준칙’에 나타난 공인 개념을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0 (10): 207-236, 2011
20 SBS, "간호법 제정안 두고 갈등 격화...쟁점 된 ‘지역사회’" SBS 8뉴스
21 SBS, "“정명석한테 데려갔다” 증언...‘성범죄 공범’ 정조은 구속" 모닝와이드
22 MBC, "“‘홍대 몰카 유출 사건’ 편파수사 규탄” 1만 여성의 분노" 뉴스데스크
23 임찬종, "[취재파일] 한국언론은 왜 ‘괌 체포’ 법조인 부부 얼굴을 가렸을까?"
24 Prosser, W., "Privacy" 48 (48): 383-423, 1960
25 MBC, "JMS 조직적 성범죄..정조은 등 8명 기소" 뉴스데스크
26 한원상, "2020 영상보도 가이드라인" 그래픽시선 2020
동성결혼 웹사이트 제작 거부 사건 — 303 Creative LLC v. Elenis, 600 U.S. ___ (2023) —
매체별로 분리된 선거보도 심의기구의 제도적 개선 방안 연구 — 선거보도 심의기준 적용 사례와 중복심의 문제를 중심으로 —
디지털 불법촬영물 투명성 보고서에 대한 내용분석과 비판적 고찰
독립된 취재원 윤리강령 제정 필요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