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aims to clarify and explain historicall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eju’s inheritance culture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Choalil Byulgeub(初謁日 別給) on the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oalil Byeolbyeol is the pr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11548
이옥부 (동아대학교)
2022
Korean
Jeju Island ; Inheritance of Property ; Daughter-in-law ; Mongols ; Acculturation ; 제주도 ; 재산상속 ; 초알일 별급 ; 며느리 ; 몽골 ; 문화 변용
KCI등재
학술저널
113-147(3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larify and explain historicall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eju’s inheritance culture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Choalil Byulgeub(初謁日 別給) on the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oalil Byeolbyeol is the pra...
This paper aims to clarify and explain historically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Jeju’s inheritance culture by analyzing the practice of Choalil Byulgeub(初謁日 別給) on the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oalil Byeolbyeol is the practice by which property is directly passed down to daughters-in-law. This type of inheritance is rarely seen in regions other than Jeju Island. The study begins by trying to establish why this inheritance practice appeared.
As is well known, it is common on the mainland to celebrate when a child marries by gifting them assets. This type of inheritance is called Byulgeub. However, such Byulgeub can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equalized inheritance, and the principle by which daughters-in-law in are included in the distribution of inheritance only appears in the inheritance culture of Jeju Island. Choalil Byulgeub limited the inheritance to daughters-in-law, which seems to have been advantageous for protecting property rights and maintaining inheritance practices.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Choalil Byulgeub was carried out until the 19th century shows that two inheritance practices following different principles coexisted in the inheritance culture of Jeju Island. These were the principle of equality and the principle of difference. Furthermore, this shows that the whilst women’s property rights as daughters were weakened, the property rights of women as daughters-in-law were strengthened. This can be considered another characteristic of Jeju Island’s inheritance culture.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제주도의 초알일 별급의 관행에 주목하여 제주도 상속문화의 특징과 그 의미를 밝히고,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 배경을 역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알일 별...
이 논문은 조선 후기 제주도의 초알일 별급의 관행에 주목하여 제주도 상속문화의 특징과 그 의미를 밝히고, 이러한 특징이 나타난 배경을 역사적으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알일 별급은 혼인으로 며느리가 되는 여성에게 재산을 직접 상속하는 관행으로, 제주도를 제외하면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확인되지 않는 상속의 유형이다. ‘왜 제주도에 이 같은 상속의 관행이 나타나는가’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찾으려는 데서 출발한다.
조선후기 제주도에는 자녀들이 결혼할 때 재산 일부를 별급하는 관행이 있었다. 성혼 별급과 초알일 별급이 그것이다. 모두 결혼을 축하하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상속 대상이 다르다. 성혼 별급은 아들과 딸, 사위가 받는 것이고, 초알일 별급은 며느리가 받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듯이 자녀가 결혼할 때 재산을 상속하여 축하를 표시하는 일은 육지에서도 흔하다. 하지만 이 같은 상속이 균분의 원칙에 따라 이루어지고, 균분에 며느리가 포함되는 것은 제주도 상속문화에만 나타나는 특징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초알일 별급은 상속 대상을 며느리로 한정하는데, 이것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재산권의 보호와 상속 관행의 유지에 더 유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19세기로 갈수록 성혼 별급의 비율은 감소한 반면 초알일 별급의 비율이 높아진 것이 이를 뒷받침 한다.
이와 함께 초알일 별급이 19세기까지 행해진 사실은 제주도의 상속문화에 원칙을 달리하는 두 개의 상속 관행이 공존한 사실은 보여준다. 초알일 별급의 배경이 되는 균분의 원칙과 유교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18세기 중반부터 일반상속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는 차등의 원칙이 그것이다. 나아가 이것은 딸의 재산권은 약화되는데 같은 여성으로 며느리의 재산권은 보장된 사실을 보여주는 것으로 제주도 상속문화의 또 다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초알일 별급은 며느리에게 재산을 상속하던 조선 전기의 상속 관행을 계승한 측면과 몽골 상속문화의 유산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제주인과 몽골인 사이의 광범한 결혼과 대원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집단이 조선전기에 대거 등장한 사실 등을 배경으로 이 연구는 제주도 상속문화, 특히 초알일 별급에도 몽골문화의 유산 일부가 작동했다고 보고 그 구체적인 역사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배규상, "해은문집" 제주문화원 2015
2 Deuchler, Martina, "한국의 유교화 과정" 너머북스 2013
3 정향진,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4 강만익,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원 2019
5 권용철,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경인문화사 2020
6 고창석, "조선후기 제주지방 별급문기의 연구" 7 : 9-37, 1998
7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목 한동리의 김해 김씨 가문과 이들의고문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8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도 한동리 김해김씨 김덕경 가계와 이들의 경제기반-김덕경 가계의 ‘상속 및 거래’ 문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18 (18): 117-156, 2015
9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의 별급관행과 그 특성 -구좌읍 김해 김씨 가문의 별급문기를 중심으로-" 역사학회 (238) : 267-297, 2018
10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 여성의 재산 소유와 상속 - 구좌읍 김해김씨 가계의 별급문기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4 : 287-314, 2019
1 배규상, "해은문집" 제주문화원 2015
2 Deuchler, Martina, "한국의 유교화 과정" 너머북스 2013
3 정향진, "한국 가족과 친족의 인류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4 강만익,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제주대 탐라문화연구원 2019
5 권용철, "중세 동아시아의 해양과 교류" 경인문화사 2020
6 고창석, "조선후기 제주지방 별급문기의 연구" 7 : 9-37, 1998
7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목 한동리의 김해 김씨 가문과 이들의고문서"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8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도 한동리 김해김씨 김덕경 가계와 이들의 경제기반-김덕경 가계의 ‘상속 및 거래’ 문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18 (18): 117-156, 2015
9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의 별급관행과 그 특성 -구좌읍 김해 김씨 가문의 별급문기를 중심으로-" 역사학회 (238) : 267-297, 2018
10 이옥부, "조선후기 제주도 지역 여성의 재산 소유와 상속 - 구좌읍 김해김씨 가계의 별급문기를 중심으로 -" 한국고문서학회 54 : 287-314, 2019
11 김동전, "조선후기 제주거주 몽골 후손들의 사회적 지위와 변화 -호적중초에 보이는 본관명 大元 가문의 사례분석-" 역사문화학회 13 (13): 301-328, 2010
12 문숙자, "조선후기 濟州 지역의 재산상속과 奉祀 관행-分財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학회 (81) : 199-228, 2006
13 배상훈, "조선의 상속관행에 관한 연구 : 17~18세기 삼남지방 분재기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14 윤창현, "조선씨족통보" 한성도서주식회사 1924
15 손계영, "조선시대 별급別給 분재의 사유와 변화 양상" 한국국학진흥원 (39) : 9-46, 2019
16 강영봉, "제주어와 중세 몽골어의 비교 연구" 20 : 1-16, 1999
17 이창기, "제주사회론" 한울아카데미 1995
18 최재석, "제주도의 친족조직" 일지사 1979
19 이창기, "제주도의 인구와 가족" 영남대 출판부 1999
20 고창석, "제주도 고문서연구"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2
21 김혜숙, "제주도 가족과 궨당" 제주도출판부 1999
22 김영길, "제주 상창리 양씨가 고문서" 제주학연구센터 2018
23 Peterson, Mark, "유교사회의 창출" 일조각 2000
24 김지홍, "온평리 고문서 연구" 6 : 75-116, 1987
25 "신증동국여지승람"
26 전영준, "삼별초의 항파두리 토성 입거와 전략적 활용" 한국역사민속학회 (47) : 194-220, 2015
27 "만력28년경자식년퇴행어신축하[문무잡과방목]"
28 "국조방목(國朝榜目)"
29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30 김새미오, "구한말 제주 문인 海隱 金羲正의 삶과 문학" 탐라문화연구원 (54) : 265-291, 2017
31 김학수, "고문서집성 114: 제주 진주강씨, 谷山康氏, 김해김씨, 경주김씨, 제주고씨, 동래정씨 고문서"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32 김학수, "고문서집성 110: 제주 於道 진주강씨, 朝天 김해김씨, 舊左동래정씨 고문서"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33 전영준, "고려후기 제주 移居 元이주민과 通婚"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5) : 395-425, 2013
34 김일우, "고려후기 濟州?몽골의 만남과 제주사회의 변화" 고려사학회 (15) : 45-74, 2003
35 김경주, "고고자료로 본 원나라 주민의 탐라 이주와 정착"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7) : 33-66, 2020
36 "갑자증광문무과방목(甲子增廣文武科榜目)"
37 송준호, "朝鮮社會史硏究" 일조각 1987
38 김일우, "朝鮮後期 이후 제주 金羲正 家系의 정치·사회적 위상과 그 변화 -제주시 金基洪宅 소장 古文書·古書 자료를 중심으로-"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7 (17): 277-321, 2012
39 배숙희, "元나라의 耽羅 통치와 移住, 그리고 자취" 중국사학회 (76) : 95-122, 2012
40 斉 穎賢, "モンゴル社会における小家族と末子相続" 1 (1): 107-117, 2011
41 Birge, Bettine, "Women, property, and confucian reaction in Sung and Yuan China (960-1368)"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2 Holmgren, Jennifer, "Observations on marriage and inheritances practices in early Mongol and yuan society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levirate" 20 (20): 127-192, 1986
43 Birge, Betting, "Levirate Marriage and the Revival of Widow Chastity in Yuan China" 8 (8): 107-146, 1995
44 이강한, "13~14세기 고려와 원제국의 ‘탐라(제주) 정책’" 한국학연구소 48 : 73-124, 2017
45 전영준, "13~14세기 元 목축문화의 유입에 따른 제주사회 변화" 40 : 49-78, 2013
1970~1990년대 한국 유전자 산전진단기술 도입 — 성 감별에서 기형아 공포로
적합한 몸의 선별과 집단 사이의 위계화 — 1950~60년대 한미 해외입양 과정에서의 혼혈아의 몸에 대한 지식 생산과 활용을 중심으로
5·18민중항쟁에서 시민군의 조직과 활동 — 시민군의 무장이 가능한 이유 및 역사적 의미를 중심으로